• Title/Summary/Keyword: 보급

Search Result 7,100,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Subsidizing Program (신.재생에너지 보급보조사업 고찰)

  • Lee, You-Ah;Sinkim, Hwa-Young;Kim, Ji-Hy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29-231
    • /
    • 2009
  • 신 재생 에너지 보급보조사업은 신 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하여 설치비의 일정부분을 정부에서 무상보조 지원함으로써 국내 개발제품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초기 시장 창출 및 보급 활성화를 유도하는 사업이다. 기술연구개발 사업의 경우 성과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국내 신 재생 에너지 보급지원제도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효율적인 보급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을 위해서는 보급보조 사업의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신 재생에너지 보급보조 사업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현재까지 수행 되었던 보급보조 사업의 개요 및 지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국내 보급보조 사업은 크게 일반보급사업, 시범보급사업, 계획보급사업으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있다. 일반 보급사업의 경우 최대 60% 이내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시범 보급 사업의 경우 최대 80% 이내의 설치비를 지원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지원현황 고찰 결과 현실적인 시설별 지원 비율 차등의 시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향후 보급보조사업의 제도적 개선점 검토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체에너지 현주소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s.89
    • /
    • pp.57-59
    • /
    • 2001
  • 자원고갈로 인해 국가적 사명을 투자되고 있는 대체에너지 개발은 현재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고유가 시대 도래로 인해 에너지비용이 증가하고 대외적으론 기후변화협약시대가 다가오면서 국내 산업체에겐 대체에너지 개발보급은 절대절명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심야전력 보급에서 정책적인 문제를 드러내면서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현재 대체에너지 개발보급은 그동안 기술개발에 치중해 보급에는 문제점을 들어내고 있는 상태다. 88년부터 2000년말까지 태양열, 연료전지 등 11개 분야에 1742억원이 투자되었다. 부문별 보급실적을 보면 태양열의 경우 태양열 온수기 18만 5천대와 급탄설비 3천대, 태양관의 경우 마라도등 12000개소에 약 4000kw, 풍력은 제주지역 등 17기를 보급, 약8000KW, 폐기물은 서울 경기 부산 등에 473기를 설치 가동중에 있다. 이 대체에너지의 현재 비중을 보면 폐기물이 $93.4{\%}$, 바이오 $3.3{\%}$, 태양열 $2.1{\%}$, 소수력 $0.8{\%}$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2003년까지 대체에너지 $2{\%}$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에너지는 산발적인 기술개발 과제추진으로 인해 특정분야의 전략적 개발 보급에 문제를 드러내는 등 회의적이다. 이와 함께 정부에만 매달려 있는 업계의 자립부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현재의 개발과 보급의 괴리를 해결할 보완책을 제시하고, 정부는 기술성 경제성 시장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 PDF

Korean Residential New and Renewable Energy Propagation Program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택보급 사업의 현황 고찰)

  • Lee, Dong-Geon;SinKim, Hwa-Young;Yi, Sul-Ki;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188-191
    • /
    • 2009
  •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 계획에서는 기존의 태양광10만호 보급사업을 확대하여 모든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통합형 보급 사업으로서의 "2020 그린홈(Green Home) 100만호 사업"이 새로이 추진 중에 있다. 이 사업의 핵심 내용으로는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주택공급과 이로 인한 민간시장의 활성화, 그리고 하이브리드형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개발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2차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기본 계획"에서 추진된 주택용 신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결과와 일본, 독일 등의 해외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중인 제 3차 기본계획 추진 과정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 있다. 즉, 향후 신재생에너지 주택보급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치밀한 준비를 통해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해야 하고, 계획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사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합리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체계적인 보급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기술개발과 보급 양 부문에 대한 적절한 균형을 도모해야 한다.

  • PDF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Growing-up Skills Program (성장기술 프로그램의 보급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Choi, Myung-M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2
    • /
    • pp.89-115
    • /
    • 2003
  • While many social work studies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e interven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efficac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way how the results can be disseminated and utilized in practice area. But attempts to bridge the research-practice gap empathize importance of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including knowledge utilization, innovation diffus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program replic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etc. I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that focused on the process after development of program tried to search and analyze the real disseminating process and utilization state with applying Growing-up Skills Program(GUSP)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this researcher. For the purpose, theories and models for program diffusion were reviewed, and dissemination & utilization of GUSP was analyzed on the 'Herie & Martin's model' with retrospective perspectives. Through this tracer study, these were confirmed or founded as problems of GUSP in disseminating process : lack of specific strategy for the dissemination ; unplanned coping due to little preparation ; and unclear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target system in the beginning stage of dissemination. And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 program dissemination & utilization in the field: to conduct diffusion process on the basis of a proper model; to consider integrative relationship between D&D and dissemination & utilization ; to endeavor for collecting feed back from the field ; and to reinforce social work education and study related to innovation diffusion. These results showed importance of dissemination & utilization in social work and utility of GUSP despite of several limitations. More concerns of dissemination & utilization are needed for the integra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in Korean social work.

  • PDF

Subsidy for purchasing Power Gener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대체에너지 이용 발전전력의 우선구매에 따른 지원규모 산정)

  • Jo, I.S.;Rhee,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b
    • /
    • pp.1325-1327
    • /
    • 2001
  • 우리나라는 장기전력수급계획 및 10개년 에너지기본계획, 그리고 최근에 수립된 대체에너지보급 3개년 기본계획의 달성 및 보급확대를 위한 보급시나리오 구성에 따른 보급목표를 설정하였다. 대체에너지 지원규모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체에너지수요전망에서 산출된 대체에너지원별 전망치를 이용, 지원비율을 책정하여 지원규모를 시산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망된 수요량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 및 장비에 드는 투자비를 산출하여 일정비율을 지원한다고 가정한 다음, 지원규모를 시산하는 방법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통하여 재생전원의 보급목표의 설정과 현재의 설치단가를 기준으로 보급에 필요한 설치비용에 대한 지원규모를 개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아울러 정부의 대체에너지 보급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원금액을 추정 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for relation between distribution of industrial cold storage system and power load leveling (산업용 축냉기기 보급과 전력 부하평준화의 연계성분석)

  • Ya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786-788
    • /
    • 2005
  • 전력 부하관리기기인 축냉시스템은 그동안 건물 냉방 공조용을 중심으로 보급되었다. 기저부하를 증진시키고 주간의 피크부하를 낮추어 주야간의 부하불균형을 해소하는 축냉시스템은 그동안 전력부하율 향상 및 부하평준화에 많이 기여해왔다. 산업용으로의 축냉기기보급의 타당성 및 부하평준화에 관한 연구시행 결과, 그 타당성과 보급확대의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가스식 냉방기는 피크억제측면에서, 축냉식은 부하이전 측면에서 장점이 매우 크며, 전체 부하관리 측면에서 이들의 균형보급발전 노력이 필요하다. 산업용으로의 축냉기기 보급은 특히 주야간 부하불균형이 심한 하계의 부하평준화효과가 크며, 그 보급시장 및 전력절감 잠재량 규모를 감안할 때 국가적 편익과 추가 발전설비건설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Diffusion Statistics for Demand Side Management (전력수요관리사업 보급실적 통계 개발)

  • Shin, Dong-Joon;Kim, Chang-Soo;Park, Jo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00-20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시행중인 전력수요관리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관리사업의 보급실적 통계를 구축하는 필요성과 구축 결과를 정리하였다. 일반적인 전력분야 통계와 구분되는 수요관리 분야 통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수요관리보급통계 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연구를 통해 개발한 수요관리보급 통계집은 수요관리평가 웹페이지를 통해 보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 PDF

Development Direction of Solar Thermal Energy Industry (태양열 산업의 발전 방향)

  • Kang, Yong-Hea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26-229
    • /
    • 2006
  • 현재 직면하고 있는 고유가 고착화, $CO_2$ 저감 의무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는 필수적이며, 현재로서는 신재생에너지 시설중 보급효과가 큰 분야가 바로 태양열시스템이다. 그런데 태양열시스템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은 물론이고 보급이 효과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시스템 적용기술의 개발에 따른 산업화이다.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보급문제점, 기술개발 현황 및 산업육성 정책 분석을 통해 국내 태양열산업 발전방향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