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정보관리자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ity Health Information System (대학교 보건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wang, Jae-Jun;Kim, Dong-Hui;Lee, Sung-Ryong;Ki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115-1118
    • /
    • 2002
  • 대학 보건정보 시스템이란 대학교 내의 보건소의 담당자가 서비스와 의료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이용, 저장, 검색,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용자 보건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보건 실무를 관리하며 발전시키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대학교 보건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관리자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보건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보건정보관리자는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 가공 및 검색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들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보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PDF

공학 및 기술연구개발업 보건관리 사례

  • Lee, Ju-Yeong
    • 월간산업보건
    • /
    • s.198
    • /
    • pp.44-48
    • /
    • 2004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 한다.

  • PDF

Health Information Manager's Role in IT-Based Medical Environment (IT기반 의료 환경에서 보건정보관리자의 역할)

  • Jeon, Y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213-21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which Medical Record Technician, who has main task as efficient creation an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is changed successfully to health information manager in IT-based med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research objective, it carried out an analysis on future model(To-be) for being changed into health information manger in addition to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for task as medical record technician. The subject materials of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included 1) state-exam subjects for medical record technician 2) qualification examination subjects for health information manger 3) analytical data of the current task for domestically medical record technicians 4) symposiums and educational topics for the recent 3 years in Korean Medical Record Association. Future-model(To-be) data included 'HIM Professional Roles in E-HIM (R)' suggested by AHIMA(America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ssoci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materials, a role of being needed currently medical record technicians' new entry was analyzed to be Business change manager, IT training specialist, Consumer advocate, Clinical alerts and reminders manager, and Enterprise application specialist.

조선업 보건관리 실태

  • Lee, Gang-Chan;Yu, Hyeon-Jong;Ryu, Pil-Seok
    • 월간산업보건
    • /
    • s.199
    • /
    • pp.44-48
    • /
    • 2004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 한다.

  • PDF

통신 & 사이버 상담

  • Lee, Gye-Hwa
    • 월간산업보건
    • /
    • s.197
    • /
    • pp.53-56
    • /
    • 2004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 한다.

  • PDF

호텔업 종사자의 건강관리

  • Lee, Yang-Sun;Han, Jin-Suk
    • 월간산업보건
    • /
    • s.200
    • /
    • pp.48-52
    • /
    • 2004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 한다.

  • PDF

산업보건 정보 - 건강진단결과표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 위반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 내용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s.270
    • /
    • pp.70-70
    • /
    • 2010
  •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에 따라 건강진단기관이 작성하여 사업주에게 제공하는 건강진단결과표 중 사후관리소견서(2면)에 기재되는 내용이 근로자의 개인정보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기재하는 행위는 개인정보보호 관련법령에 위반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하여 고용노동부가 개인정보보호관련 법률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에 당해 사항의 법령 위반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질의한 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후관리소견서상에 개인정보를 기재하는 것과 이상소견이 있는 지에 대한 검진결과 수치를 기재하는 것 모두 개인정보보호 관련법령에 위반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회신되어 이를 안내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근골격계질환 예방

  • Park, Chang-Yong;Song, Rae-Yeong;Go, Seung-Gwan
    • 월간산업보건
    • /
    • s.202
    • /
    • pp.39-43
    • /
    • 2005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 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실란트제조(원료믹싱) 공정의 근골격계질환 예방

  • Kim, Mi-Gyeong;Im, Seong-Geun
    • 월간산업보건
    • /
    • s.196
    • /
    • pp.39-44
    • /
    • 2004
  • 수요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온 협회가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축적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일환으로 보건관리대행 사례를 소개하고 한다.

  • PDF

산업보건관련 기록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중심으로 -

  • Go, Bong-Ryeon;An, Min-S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2-77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보건관련기록의 표준화를 위하여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수집하여 기록의 종류, 내용과 양식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간결하고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록을 개발코자 조사연구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총 32개 산업체로써 조사기간은 1991년 2월 4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우편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건강관련 정보기록으로 일일업무기록은 모두 쓰고 있었으며, 의약품 보호구 수불현황은 65.6%에서 사용하였고, 개인건강기록부, 매월업무보고서, 진료의뢰서는 각각 40.6%, 21.9%, 28.1%에서 사용하였다. 2. 간호사의 건강관리 업무관련정보기록은 일일간호 및 처치기록은 84.4%가 사용하였고, 현장순회일지, 환경위생점검일지 사용이 가장 낮았으며, 건강상담일지, 보건교육일지, 건강관리대상자 관리현황, 공상자 치료 및 관리현황은 제조업인 경우에는 21~26%가 사용하였고 기타 사업장인 경우에는 업거나 사용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업장의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사항이나 작업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순회일지나 환경위생점검일지에 대한 기록이 정확히, 철저히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담 및 보건교육일지 작성도 보건교육이 전반적인 산업보건 사업계획과 통합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록양식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양식의 내용을 업종별 중요성에 따라 표준화된 기록지 개발을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