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건실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32초

일 도시 초·중등 학생의 보건실 이용률과 건강문제 및 보건교사의 간호수행도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Nursing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a City)

  • 김진희;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80-1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성별 및 소재지별 보건실 이용률 및 건강문제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교사가 제공하였던 간호중재수행 빈도 및 난이도를 분석함에 있다. 자료분석은 경력 3년 이상의 보건교사 59명이 응답한 조사지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재적 총학생수는 매년 감소한 반면에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보건실 이용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00% 정도 상위를 보였다. 초등학교 도심지역 여학생들의 보건실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중등학교 도심지역 남학생들이 가장 낮았다. 남학생은 피부 피하계, 근골격계, 소화기계 건강문제 순으로, 여학생은 피부 피하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건강문제 순으로 이용률을 보였다. 도심지역이 변두리 농촌형보다특정 건강문제에서 보건실 이용률이 높았다. 간호중재수행은 자기건강관리교육과 상담 영역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해, 발작, 순환기계 건강문제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여 보건교사의 업무는 가중되었으며, 특별하고 위급한 건강문제를 보건실에서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응급처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질 있는 보건교사의 인력확충과 표준화된 업무지침이 요청되며 나아가 전문가적 역량을 강화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여대생의 생활 스트레스 및 보건실 이용 만족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일개 여대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Life Stress and Health Clinic User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focused on the one women's University)

  • 이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9-96
    • /
    • 2016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보건실 이용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10월 29일부터 11월 11일까지 일 광역시 여대생 20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 t-test와 ANOVA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대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학업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취업 스트레스였으며, 교우 스트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자연과학계열이 보건계열보다 취업스트레스가 높았고, 보건계열이 인문사회계열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았다. 음주를 하는 군이 이성 스트레스가 높았고, 식사시간과 식사습관에 따라서 하부 영역에 차이를 보였다. 교내 보건실을 이용하는 동기는 약품이용 및 응급처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체지방 측정이었으며 가장 만족스러운 항목에서는 무료투약, 응급처치, 비만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나 이용자 특성을 반영한 보건실의 융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