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포장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2초

수도(水稻)에 대(對)한 Cytozyme 처리효과(處理效果) (Effect of Cytozyme Enzyme Complexes on Rice Yield)

  • 유순호;박무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4호
    • /
    • pp.246-250
    • /
    • 1980
  • Biological support products로서 알려진 효소복합제(酵素複合劑)인 Cytozyme이 한국(韓國)의 재배환경조건(栽培環境條件)에서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檢討)하였다. 진흥품종(振興品種)을 사용(使用)하여 강서사양토(江西砂壤土)(Fluvaquentic Eutrochrepts)의 서울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답작포장(畓作圃場)에서 Seed Plus Cytozyme 종자침지(種子浸漬), Crop Plus Cytozyme 묘근침지(苗根浸漬), 생육기별(生育期別), 농도별(濃度別), Crop Plus 엽면살포(葉面撒布) 등의 효과를 분석(分析)하였다. 1980년(年)의 불리(不利)한 기상조건(氣象條件) 및 병발생(病發生)으로 반복간(反覆間) 변이(變異)가 심(甚)하여 처리간(處理間)에서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엽면살포(葉面撒布)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출수기(出穗期)보다는 분벽기(分蘗期)에,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450ml/ha보다는 900ml/ha 처리(處理)하는 것이 증수(增收)되는 영향이었다. 종자침적(種子浸漬) 및 엽면살포(葉面撒布)의 이중처리(二重處理)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16%의 증수(增收)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에서 Sclerotinia minor에 의한 쑥부쟁이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by Sclerotinia minor on Aster yomena in Korea)

  • 이상엽;최효원;원항연;한지희;김다연;안성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0-204
    • /
    • 2018
  • 2016년 4월에 한국 구례지역에서 재배하는 쑥부쟁이 줄기에 균핵병이 발생하였다. 그 병징은 주로 줄기에 발생하여 물러 썩어서 심하면 식물체가 마른다. 흰색 균사가 감염된 식물체 줄기와 땅 표면에 퍼져있으며, 병든 줄기 내와 병 발생 부위에 작은 흑색 균핵을 형성하였다. 균핵병은 쑥부쟁이 재배 포장에서 20~80% 높게 발생하였다. 분리균의 형태적 특성 및 유전자 분석에 의하여 이 균은 Sclerotinia minor로 동정하였다. 한국에서 쑥부쟁이에서 분리한 Sclerotinia minor에 의한 균핵병 발생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파드득나물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핵 헝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clerotia Formation and Viabilit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orum Rot of Cryptotaenia japonica)

  • 장석원;이한범;김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47-51
    • /
    • 2003
  • 남양주, 양주, 양평에서 파드득나물 균핵병의 발생생태를 조사한 결과, 균핵병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주로 동계기간에 발생했으며, 지역별로는 양평에서 발생이 심했다. 포장에서 분리한 파드득나물 균핵병균은 기보고된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학적 특성과 일치하였고, 균사생장은 5~3$0^{\circ}C$에서 이루어졌으며, 15~3$0^{\circ}C$에서 활발하게 생장하였다 균핵형성은 20~$25^{\circ}C$에서 많이 형성되었으며,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가 큰 경향이었다. 균핵생존율은 균핵크기가 작을수록(~2 mm > 3~4 mm > 5 mm~) 높았으며, 치상온도에서의 정치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Phytophthora nicotianae에 의한 서향 역병 (Phytophthora Blight on Daphne odora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 권진혁;지형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72-76
    • /
    • 2005
  • 2002년에서 2003년까지 경상남도 사천시 와룡산 기슭의 서향 재배포장에서 Phytophthora nicotianae에 의한 서향 역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이 황화되면서 떨어지고 줄기 및 지제부워가 암갈색의 수침상으로 갈변되어 썩으면서 시들어 말라 죽는다. PDA 배지 상에서 균총은 전형적인 장미꽃 또는 거미집 형태를 나타내었고 균사생육은 느렸다. 유주자낭은 구형 또는 난형이며 많은 양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23~$56{\times}21$~$34\mu\textrm{m}$ 이었다.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이며, 후막포자는 구형이며 크기는 16~$32\mu\textrm{m}$이었다. 난포자는 비충만형으로 크기는 18~$26\mu\textrm{m}$ 이다. 장정기는 저착이며 구형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25~$30^{\circ}C$ 였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 (Stem Rot of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곽연식;최옥희;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139-141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형성하였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며 잘 자라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강낭콩에서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다협 다수성 녹두 신품종 "다현" (A New Mungbean Cultivar, "Dahyeon" with Many Pod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최진경;이야성;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6-39
    • /
    • 2009
  • 녹두 신품종 "다현"은 전남11호와 AV-1-3-34-2를 작물과 학원에서 인공교배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협수는 21.0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4.0개 많고, 경장은 57 cm, 천립중은 48 g, 나물수율은 표준품종보다 5% 많다. "다현"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 수량은 1.90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17% 많다.

고수율 나물 녹두 신품종 '주현' (A New Mungbean Cultivar 'Juhyeon' with High Sprout Yield)

  • 김동관;손동모;최진경;김명석;신해룡;이석기;서민정;조상균;오영진;김현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8-221
    • /
    • 2011
  •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a으로 표준품종보다 6% 높다.

고품질 다수성 녹두 신품종 "소현" (A New High Quality and Yield Mungbean Cultivar "Sohyeon")

  • 김동관;이야성;정병준;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정봉;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07-511
    • /
    • 2008
  • 녹두 신품종 소현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수원28호와 KM94004를 인공교배하여 2006년에 육성되었다. 소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천립중은 42 g이고, 녹두나물 수량은 표준품종인 어울보다 9% 많다. 소현은 vitexin과 isovitexin을 각각 12.0, 12.4 mg/g 함유하여 표준품종보다 각각 38, 31% 많다.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 수량은 1.62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많다.

녹자색배축 다수성 녹두 신품종 "다선" (A New Mungbean Cultivar, "Daseon" with Greenish Purple Hypocotyl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이야성;정병준;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6-460
    • /
    • 2008
  • 녹두 신품종 '다선'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KM9003-2B-783과 금성녹두를 인공교배하여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선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배축색은 녹자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천립중은 52 g이고, 녹두나물 수율은 630%이고, 나물 생체에 안토시아닌(delphinidin-3-glucoside)이 $1.7{\mu}g/g$ 함유되었다. 다선의 경장은 표준품종인 어울보다 2 cm 작고,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며 평균 수량은 1.76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21% 많다.

벼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 처리에 의한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y Green Crop Treatments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안규남;박노동;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11
  • 벼 재배포장에서 녹비작물의 이용성을 조사하고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적용하여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무농약 4년차 벼 재배포장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보리를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녹비구),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다음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벼 수확 후 녹비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방임구(나지방임구)와 보리를 재배한 후 수확한 처리구(관행구)에서 호품벼를 2009년 6월 15일 평당 60주를 기준으로 기계 이앙하여 얻어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가 조금 길었으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미 수량은 관행구를 100%로 볼 때 보리녹비구가 90.3%,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가 95.9%로 나타났다. 2. 벼 품질 평가에서 보리녹비구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의 단백질 함량은 관행구 6.6%에 비해 5.7%로 낮았다. 아밀로스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18.8~19.1% 범위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백도는 관행구 37.7에 비해 보리녹비구 38.9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39.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3. 취반미 윤기치는 관행구 77.6에 비해 보리수확구가 82.0, 나지방임구가 83.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4. 완전립율이 나지방임구는 95.5%인 반면에 관행구, 보리녹비구,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에서 93.8~94.2% 범위로 약간 낮게 나타났다. 쇄립율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분상질립율은 관행구가 1.7%로 가장 높았다. 5. 본 시험에서 발생된 병해는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이었다. 해충으로는 굴파리류, 혹명나방, 줄점팔랑나방, 끝동매미충이었다. 기상환경이 병해충발생에 불리한 조건으로 경과되어 병해충 발생이 전반적으로 적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