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감염 관리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7초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법과 감염관리 (Diagnostic Methods of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and Infection Control)

  • 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18
    • /
    • 2021
  • 호흡기 바이러스는 감염된 방문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병원 환경에서 감염된다. 감염관리 분야에서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병원내 획득 감염의 주요한 문제를 유발한다. 임상 검사실에서 파생된 감시 데이터는 또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공중 보건 분야에서 치료, 소모품 및 진단 제품 구매를 위해 병원과 지역 사회에 의료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호흡기바이러스의 감염에서 조기 진단은 필수적이며 호흡기 검체를 사용하는 진단법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에는 바이러스 배양, 분자 진단 및 분석 등이 포함된다. 랩온어칩(LoC)/마이크로칩은 보다 다양하고 강력한 기술인 차세대 현장검사 시험법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제공한다. 호흡기계의 중요성은 의료관련 종사자의 직업적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감염 관리 지침에 엄격히 적용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포함하여 점점 더 많은 임상적 효능 증거가 감염 전파에 대한 오랜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바이러스의 감염 가능성을 의심하는 새로운 호흡기 증상이 시작된 입원 환자로부터 호흡기 바이러스를 탐지하기 위한 빈번한 검사에 대해 추가 지원이 요구되고 감염통제의 노력에 집중적으로 도움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음식물에 의한 기생충성질환

  • 홍성태
    • 건강소식
    • /
    • 제10권7호통권92호
    • /
    • pp.16-19
    • /
    • 1986
  • 음료수나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병원체의 매개물로 이 경우 소화기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범주에 드는 전염병으로는 수인성 전염병과 식중독등 음식물에 야기되는 질병이 포함되며 열대지방으로 이동시 기생충성 질환으로서 음식물을 통해 감염되는 각종 질환을 소개하여 국민 건강관리에 증진코자 한다.

  • PDF

서울소재 한 정신병원 환자들의 이 감염 상황 (Infestation rate of lice in patients in a mental hospital, Seoul, Korea)

  • Sun Huh;Jina Kook;Jong-Yil Chai;Ki-Soo P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75-276
    • /
    • 1994
  • 서을 소재 한 정신병원에서 이가 유행한다며. 관리를 요청받아 1988년 6월 27 28 이틀간 이 병원을 방문하여 환자들의 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입원환자들의 일부인 대상자는 8개의 병동에 있었으며 모두 17세 이상이었다. 남자 143명 가운데 22명, 여자 438명 가운데 142명이 이에 감염되어 있었다. 이에 감염된 여자 142명 가운데 47명(33.1%)에서 층체가 발견되어 이 집단에서 매우 활발한 전파가 일어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병원에는 행려자들의 수용병동이 있어서, 새로 입원하는 사람들이 감염원이 되기에 계속 정기 검사와 화학요법을 통하여 관리하여야 이 퇴치가 가능할 것이다.

  • PDF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의 반영에 관한 연구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과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반영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 acceptance of CDC guideline on practical emergency department planning -Focusing on comparison CDC guideline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 윤형진;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237-7243
    • /
    • 2015
  • 응급실은 병원으로 입원하는 주요 경로로서, 감염환자의 1차적 내원의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국내에서 질병관리본부가 2009년에 제정한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이 응급실 감염환자 관리 방안과 표준시설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나 각 병원 응급실의 감염환자 시설은 병원마다 차이가 있고 지침에 따른 일관된 감염환자 관리시설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의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법적 강제성을 갖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과 비교하여, 첫째 지침이 법률 시설기준에 반영된 여부를 분석하였고, 둘째 2009년 전후에 신축 또는 개축한 응급실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각 시설기준 항목들의 반영여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침과 법률 시설기준의 상호연관성은 없었다. 분석대상 응급실들의 시설은 법적기준을 모두 충족한 반면 지침의 감염관리시설은 선별적으로 적용되어 있었고, 설치 항목들이 건축년도에 관계없이 분석대상 응급실에 대부분 적용되어 "응급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의 제정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응급실의 감염관리시설의 법적기준 체계 보완에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감염관리 대한 분석 (Analysis on infection control of general hospital radiology)

  • 신정섭;박철우;전병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35-342
    • /
    • 2012
  • 경상북도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오염도를 계수하고, 오염 원인균을 배양하여 동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영상의학과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표면오염 균주는 Staphylococcus, Micrococcus, Pseudomonas stutzeri, Pseudomonas oryzihabitans로 병원 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균주였고 영상의학과의 오염원으로 특이성을 가진 균주는 없었다. 조사대상 병원은 비슷한 감염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병원별 오염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 병원별 접촉원에 따른 오염도의 차이는 방사선사 사용, 환자사용, 공통사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사용이 방사선사사용, 공통사용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p<0.001). 병원별 월평균 검사건수의 차이가 적은 장치는 모든 병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에 비해 촬영건수가 가장 많은 일반촬영장치, 흉부전용촬영대의 오염도가 다른 촬영장치에 비해 오염도가 높았다. 또한 월평균 촬영건수가 많은 A, B, C 병원은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환자와 공통으로 사용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사무용책상, 출입문 손잡이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