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병원선택요인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atisfaction of the aged with their dental treatments and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for dental hygienic education about the aged (노인환자의 치과진료만족도 및 노인에 대한 치위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Yun, Kyoung-Ok;Kim, Jin-Soo;Kim, Sook-Hy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10 no.4
    • /
    • pp.765-775
    • /
    • 2010
  • Objectives : 노인 환자들이 제공받고 있는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하여 노인 환자에게 양질의 구강보건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의 구강보건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관련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치과 병 의원을 이용하는 노인 환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및 병 의원 선택이유를 조사하였다. Methods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일부지역의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을 이용하는 노인 환자 300명을 편의추출 하였으며, 2009년 4월 1일부터 5월 8일까지 면접 및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4개영역으로 구분하여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22문항,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14문항, 재이용 권유의사 4문항 및 일반적 특성과 치과이용에 관한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노인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연구대상자의 병원인지경로, 치과선택이유에 따른 치과의료서비스 만족도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치과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인자, 만족도에 미치는 치과위생사 요인 등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병원내원기간에 따른 치과선택이유는 카이제곱 (${\chi}^2$) 분포를 따르는 정확검정(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Results : 1. 노인환자들이 병원을 선택할 때 가족, 친척으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 경우 다른 인지경로에 비하여 치과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2. 치과선택 이유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첫째, 의사의 높은 진료수준, 둘째, 친절한 서비스에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치과선택이유가 의사의 높은 진료수준과 친절함을 포함한 의사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높은 진료수준과 친절도는 치과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노인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인에 대한 치위생교육이 필요하고 노인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태도에 대한 교육도 실시되어야 한다. 4. 동일한 치과를 계속적으로 다니는 이유는 첫 번째 의사의 높은 진료수준, 두 번째 친절도로 의사요인과 관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4년 이상의 장기내원환자는 의사의 높은 진료수준 다음으로 친절도를 중요한 이유로 선택하였다. Conclusions : 이상의 결과로 노인 환자가 만족하는 치과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진료수준이 높아야 하겠고, 다음으로 친절한 서비스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인에 대한 치위생교육이 필요하고 노인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태도에 대한 교육도 실시되어야 한다.

A Study on Determinants of Dental Clinic and Satisfaction of Dental Service i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의 치과병원 결정요인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 연구)

  • Baek, Hye-Jin;Kim, Yu-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666-6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decision factors and dental service satisfac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300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regions. A total of 28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12 with insufficient response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f there was no scaling experience, orthodontic treatment, high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high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dental hospital. Hospital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ost frequently answered that employee service satisfaction was important. As a result of t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hospital decision factors and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such as facility, recommendation of others, use procedures, service adequacy, employee service satisfaction. As a factor influencing dental hospital satisfaction, subjective oral health was shown as a good criterion, and usage procedures and staff servic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evance. Continuous trust builds up is important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Factors of the nurse's turnover in general hospitals (임상간호사의 이직요인에 관한 연구)

  • Kang, In-So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8 no.3
    • /
    • pp.403-410
    • /
    • 2002
  • 최근 병원행정가들의 가장 관심을 끄는 분야 중 하나가 간호사의 이직이다. 본 연구는 실제 이직을 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직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직대책을 제시함으로써 조기에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여 효율적으로 간호인력을 관리하고 간호의 질적 향상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46개 종합병원에서 1998년 1월${\sim}$1999년 1월 사이에 이직을 한 간호사 36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후향연구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이직결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혼상태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인 경우는 자식의 양육문제가 가장 원인이었으며, 미혼인 경우는 불규칙한 근무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식 양육문제의 경우, 근무병원 내에 탁아시설을 운영하거나 육아양육휴가제도 및 시간제 근무 등의 도입을 심각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불규칙한 근무시간은 근무외 수당을 지불하거나 간호사가 스스로 자신의 근무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스케줄링, 또는 승진평가 제도를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 PDF

집중조명 - 식품안전 정보제공 확대로 소비자 신뢰도 제고 - 소비자 '식품안전정보'에 민감 '과학적 사실' 쉽게 제공돼야

  • Jo, Jang-Yong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48
    • /
    • pp.24-27
    • /
    • 2009
  • 식품위해 요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이에 대한 인식도 사회 문화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다. 우리나라는 농약과 식품첨가물을, 미국은 병원성 미생물과 비만, 당뇨 등과 같은 영양학적 불균형을 가장 위험한 요인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식품안전은 이제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다.

  • PDF

Comparing locus of control in orthodontic patients of a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those of a private dental clinic. (치과의원과 대학치과병원 교정환자의 통제소재 특성)

  • Ku, Seung-Jun;Lee, Shin-Jae;Chang, Young-II;Kim, Tae-Woo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6 no.6
    • /
    • pp.442-450
    • /
    • 2006
  • Objective: Many factors are considered when a patient chooses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 they wish to receive treatment from.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is issue.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in analyzing the patient's psychological aspects when he/she decides to choose the dental institution they wish to receive treatment from. Methods: A locus of control test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aspects in orthodontic patients of a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a private dental clinic. The locus of control test is known to be useful in predicting a human being's behavior.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locus of control tests were carried out in 934 orthodontic patients atten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1466 orthodontic patients from a private dental clinic. Results: The orthodontic patients at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showed a stronger extrinsic locus of control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private dental clinic. Conclusion: The orthodontic patients at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value the doctor as the authority figure and the treatment quality more than those at the private dental clinic.

국립대 병원 입원환자의 재이용의사 결정요인

  • 정승원;서영준;이해종;이견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9-185
    • /
    • 2004
  • 최근 병원 간 경쟁이 격화되고 의료시장의 개방이 임박하면서 많은 병원들이 경쟁력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산업의 경영에 있어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경영관리에 반영하는 것은 중요한 경쟁력강화 전략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의료서비스에 있어서 환자 만족은 소비자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Burns, 1994). 최근 강조되고 있는 환자중심의 병원도 병원을 찾는 환자를 의료소비자 개념의 고객으로 보고 그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의료 기술적, 인간 관계적, 서비스 편의적 노력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환자만족 향상 노력은 그 자체가 매우 다차원적인(multidimensional) 개념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환자들에게 병원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줌으로써 충성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tertiary hospitals in patients with diabetes or hypertension (당뇨 또는 고혈압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이용에 미치는 요인)

  • Choi, Jae Woo;Park, So Hee;Choi, Yun Su;Kim, Tae Kyung;Yun, Hyo Jung;Kim, Tae Hyun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1 no.4
    • /
    • pp.13-22
    • /
    • 2016
  • 목적: 이 연구는 당뇨와 고혈압 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관찰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조사하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였다(2008년, 2010년, 2012년). 연구대상은 20세 이상 성인이었으며 각 2008년에 2409명, 2010년에 2424명, 2012년에 2429명을 관찰하였다. 당뇨와 고혈압에 대한 외래방문 건수는 총 64,438건이었으며 당뇨 또는 고혈압 환자의 3차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관찰하기 위해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교육수준이 높은 환자가 낮은 환자에 비해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할 확률이 각각 2008년에 2.04배, 2010년에 1.83배, 그리고 2012년에 1.65배 더 높았다. 또한 고소득 환자가 저소득 환자에 비해 3차 의료기관을 이용할 확률이 2008년에 1.77배, 2010년 1.91배 그리고 2012년 1.94배 더 높았다. 결론: 정책입안자들은 의료전달 시스템과 관련하여 정책을 실행할 때 이러한 환자의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Factors Influencing on Hospital Choice of the General Hospital among Mongolian Customers with Loyalty (몽골 종합병원 충성고객의 병원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Hyun Sook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6 no.2
    • /
    • pp.68-78
    • /
    • 2021
  • Background: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hospital choice of the general hospital among customers with loyalty in Mongolia. Methods:This study was divided into 5 types of hospital choice factor such as physical, human,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hospital image. Data were assessed using 229 patients who visit at a general hospital in Mongolia. The collected data from June 20 to July 20 in 2020 were conduct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frequency, t-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SPSS 25.0. Results:The level of education was significant in the mean difference of customer typ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ially, factors affecting hospital choice of loyalty customers were human and hospital image.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resent and potential consumer's needs, wants, and demands. Also, it is important to concern about aspect of marketing strategy of the general hospital in Mong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