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변

검색결과 2,249건 처리시간 0.03초

거골의 골연골 병변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 이근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26
    • /
    • 2007
  • 최근에 스포츠 손상이 증가하고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가 발전하면서 조기에 더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추세이다. 또한 방사선 소견에 비하여 관절경하에서는 연골이 불안정하거나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존의 수술 적응증보다는 좀 더 광범위하게 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치료 방법을 하면 $1.5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 연골하 천공, 연마, 미세 골절술, 소파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50세 이상의 $3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환자 중 mosaicplasty와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적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시도해볼 수 있다. $1.5\sim3cm^2$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 그전의 관절경적 치료로 실패한 경우에는 자가골 연골 이식 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3cm^2$ 이상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이나 동종 골 연골 이식을 이용하여 치료하며, 50세 이상의 환자는 관절 고정술이나 족근 관절 인공치환술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초음파 영상에서 간 질환 병변 추출 및 분석 기법 (Focal Liver Mass Detection and Analysis in Ultrasound Images)

  • 이승강;박은비;김호준;황병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86-1389
    • /
    • 2013
  • 조영증강 초음파 동영상은 측정 부위의 혈류의 형태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를 육안으로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간 질환과 연관한 병변을 추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서 영상 처리 및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 형태의 노이즈와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각 프레임의 영상으로부터 근사화된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나타나는 병변을 추출하기 위하여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이용한 병변 추출 기법을 제시하며, 추출한 병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IC(time intensity curve)의 특성과 조영 효과의 전이 시간(transit time) 등의 정보를 영상의 형태로 가시화하는 방법과 MRF(Markov random field) 모델을 이용한 영상개선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이론은 실제 간 질환 진단 초음파 영상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한다.

Shiga-like Toxin II 항독소에 의한 shiga-like Toxin II-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H7 감염돼지에서의 뇌혈관 병변의 방어 (Shiga-like Toxin-II-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H7 infection in gnotobiotic piglets : Protection against brain vascular lesions with SLT-II antiserum)

  • 채찬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43-454
    • /
    • 1993
  • Shiga-like toxin-II(SLT-II)-producing Escherichia coli 0157 : H7 strain B2387이 분비하는 SLT-II가 gnotobiotic자돈에서의 뇌혈관 병변을 일으키는 pathogenesis에 관해서 실험을 했다.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난 자돈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 그룹에는 SLT-II 중화항체를 포함한 혈청을 구강을 통해서 수동면역을 시키고, 또다른 한 그룹에는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혈청을 구강을 통해서 수동면역시켰다. 24시간후 두 그룹 모두에게 SLT-II 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 H7 strain B2387를 구강으로 접종했다.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혈청으로 수동면역시킨 그룹의 자돈들은 설사와 맹결장염, 신경증상, 뇌혈관병변을 일으키고, plasma의 prostacyclin의 level이 증가했다. 하지만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는 혈청으로 수동면역시킨 그룹의 자돈들은 설사와 맹결장염은 유발했지만, 신경증상과 뇌혈관병변은 관찰되지 않았고, prostacyclin의 level도 증가하지 않았다. 이런 실험결과는 SLT-II 중화항체는 뇌혈관병변은 방어하지만 맹결장염은 방어하지 못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prostacylin의 증가는 뇌혈관의 endothelium의 병변을 의미한다.

  • PDF

유방 하모닉 초음파 영상에서 스펙클 잡음 제거 방법에 따른 영상 분할 성능 비교 (Comparison of Segmentation Performance depending on Despeckling Methods in Ultrasound Harmonic Imaging for Breast)

  • 조인아;이시형;권주원;노용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47-450
    • /
    • 2010
  • 하모닉 초음파 영상은 일반 초음파 영상에 비해 조직 간의 영상 대조도와 해상도를 향상 시키고, 경계가 보다 명확하기 때문에 초음파 영상 진단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초음파 영상이 포함하고 있는 스펙클 잡음 (speckle noise)에 의한 화질 저하는 하모닉 초음파 영상에서도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스펙클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스펙클 제거 (despeckling)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대부분의 방법들이 영상의 시각적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잡음개선정도와 영상의 정보 손실의 상반 관계 (trade off)를 갖는다. 한편 병변 분할은 이런 잡음 제거 방법에 따라 다른 분할 성능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병변 분할을 위해서는, 스펙클 제거 방법에 따른 병변 분할 성능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병변 분할에 효과적인 스펙클 제거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방 하모닉 초음파 영상에서 다양한 스펙클 제거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필터가 병변 분할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유방 병변 분할에 효과적인 전처리 역할을 수행하는 필터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견관절 병변의 진단에서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절조영술의 유용성 -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및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 - (The Usefulness of Multidetector CT Arthrography in the Diagnosis of Shoulder Pathology -Comparison with MR Arthrography and Arthroscopic Findings in the Same Patient-)

  • 김동수;박경진;김용민;최의성;손현철;조병기;박지강;김석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15-125
    • /
    • 200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환자에게서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 관절조영술 (CT arthrography, CTA)와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MR arthrography, MRA) 및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견관절의 다양한 병변을 진단함에 있어 CTA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질환이 의심되는 49명의 환자에게 MRA와 CTA를 동시에 시행하고, 각각의 영상을 통하여 극상근 전층 파열, 상부 관절와순 전후방 병변 (SLAP 병변), 극상근 관절측 부분층 파열 (PASTA 병변), 극상근 점액낭편 부분층 파열의 총 4개의 병변을 진단하고 MRA와 비교하여 CTA의 민감도 (sensitivity), 특이도 (specificity), 양성예측도 (positive predictive value), 음성예측도 (negative predictive value)를 평가하였다. 또한, 49명의 환자 중 수술을 시행한 34명의 관절경 수술 소견을 분석하여 CTA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CTA는 MRA와 비교할 때 극상근 전층 파열 및 SLAP 병변에서 민감도가 각각 90%, 100%, 특이도는 100%, 97.5%로 거의 대등한 진단적 유용성이 있었으며, PASTA 병변에서는 민감도 71.4%, 특이도 97.7%로 일부에서 유용성을 보였으나, 극상근 점액낭편 부분파열의 진단에는 민감도가 10%로 취약하였다. 또한 CTA에서 진단된 병변은 수술 소견과 비교할 때 극상근 전층 파열 100%, SLAP 병변 87.5%, PASTA 병변 71.4%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CTA는 MRA와 비교할 때, 4개의 견관절 병변 중, 점액낭편 부분 파열을 제외하고 극상근 전층 파열, SLAP 병변, PASTA 병변을 평가함에 있어서 MRA와 거의 대등한 유용성을 보였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인 검사로서 견관절 병변 진단 및 수술 후 추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 미백 평가 시 기미 병변 부위에서의 적색도 평가의 효용 (Use of Redness Assessment in Melasma Lesions in Skin Whitening Evaluation)

  • 이정아;김주연;이선화;김보라;김남수;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7-342
    • /
    • 2016
  • 기미는 몇몇의 병인학적 요인을 갖고 있지만, 많은 연구가 멜라닌 형성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 형성과 구별되는 혈관의 감소에 의한 기미의 개선을 보고자 하였다.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평가를 통해 기미와 일광 흑자를 가진 한국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8주 간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Chromameter 기기로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기미 병변, 일광 흑자 병변 및 정상 피부 부위에서의 각 피부색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와 적색도가 정상 피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기미 병변 및 일광 흑자 병변 부위의 피부색 밝기의 개선 정도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시료 사용 8주 경과 후 기미 병변 부위의 적색도가 일광 흑자 병변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기미 병변 부위에서 피부색 밝기 뿐만 아니라 적색도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적색도가 기미 병변 부위의 평가를 위한 부가적이고 적합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중투사영상을 이용한 표적체적의 3차원 재구성 (Three Dimensional Target Volume Reconstruction from Multiple Projection Images)

  • 정광호;진호상;이형구;최보영;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3호
    • /
    • pp.167-174
    • /
    • 2003
  • 정위적방사선수술과 같은 경우 치료계획 수립 시 병변의 정확한 위치뿐만 아니라 정확한 부피와 모양을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병변의 확인을 위해서 때로는 혈관조영영상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동정맥 기형과 같은 경우 이 방법이 병변의 구별을 위하여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병변의 정확한 위치는 두개의 투사영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두 개의 투사영상 만으로는 병변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수의 투사 영상들을 이용하여 병변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병변의 위치는 기존에 제안된 방법에 의하여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병변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표적좌표계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의 투사영상이 이용되었는데 정면과 측면 투사영상은 체적소(voxel)로 구성된 재구성상자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나머지 네 개의 투사영상은 역투사 방법(back-projection method)에 의하여 재구성 상자(Reconstruction Box) 내에서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이용되었다. 이 방법의 정확도와 해상도는 병변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듬의 검증을 위하여 C 언어와 Matlab을 이용하여 타원체 모델과 말굽형 모델에 대하여 투사영상을 얻고 그 영상을 이용하여 재구성해보았다. 타원체모델의 경우에는 원래의 모델보다 약간 크게 재구성되었지만 모양과 방향, 위치가 정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굽형 모델은 재구성된 모양이 원래의 모양과 차이가 많이 났지만 기존 방법에 비하여 실제 모양에 근접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으므로 병변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양한 관전압에 따른 CR과 DR 모의병변 흉부 영상의 ROC 평가 (ROC Analysis of Simulated Chest Lesions for Computed Radiography and Digital Radiography at Various Tube Voltages)

  • 조효민;김희중;이창래;정지영;박혜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4호
    • /
    • pp.298-3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전압 사용에 따른 CR, DR 모의병변 흉부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 검출 정도를 ROC 평가하였다. 모의 제작된 미세 폐 병변, 초기 침윤성 병변, 작은 혹 모양의 병변은 아크릴 판을 이용하여 인체형 흉부 팬텀과 포개놓고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R과 DR에서 각각 3개의 관전압(70 kV, 90 kV, 120 kV) 조건을 사용하였다. 총 18,000개의 관찰결과를 ROC평가 하였다. CR에서는 모든 병변에 대하여 70 kV로 획득한 영상이 높은 $A_z$값을 나타내었으나 DR에서는 두 개 병변에서만 70 kV로 획득한 영상이 높은 $A_z$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검출기 종류와 관심 병변에 따른 최적의 관전압 조건을 사용하기 위하여 실제 환자에서의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상완 이두 건 장두의 병변 (Long Head of the Biceps Tendon Lesion Associated with Rotator Cuff Tear)

  • 김영규;김동욱;이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64-71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되어진 상완 이두 건의 병변 및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후향적으로 상완 이두 건의 병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92예를 대상으로 2년 이상 추시하였다. 상완 이두 건 병변은 건막염, 건의 마모 또는 비대, 파열, 불안정성의 4형태로 구분하였다. 회전근 개는 광범위 파열 중 4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봉합하였으며 상완 이두 건 병변에 대해서는 변연 절제 30예, 건 절단 10예, 건 고정 8예, 재배치 4예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UCLA 평가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상완 이두 건 병변을 보인 예가 70예 (76%)로 건막염은 19예, 건의 마모 또는 비대 22예, 파열 21예, 불안정성 8예의 병변을 보였다.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에 따라서 중범위 이하에서는 63%, 대범위 이상에서는 88%의 상완 이두 건 병변을 보였다. 치료 결과는 상완 이두 건 병변이 없었던 22예에서는 29.6점, 병변이 있었던 예 중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였던 66예에서는 28.3점이었다. 동반된 상완 이두 건을 절단하거나 재고정을 시행한 예에서는 28.2점이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상완 이두 건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형태도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완 이두 건 병변의 원인이 회전근 개 파열을 유발시키는 원인과 연관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동반된 상완 이두 건 병변의 치료로 건 절단이나 건 고정이 동통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만져지는 유방 병소를 평가하는데 있어 Tc-99m MIBI 유방스캔과 유방촬영 술의 비교: 예비 결과 (The value of Dedicated Tc-99m MIBI Scintimam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Palpable Breast Lesions in Comparison with Mammography: Preliminary Result)

  • 조응혁;조호진;윤미진;박병우;김민정;김은경;강원준;이종두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1호
    • /
    • pp.48-54
    • /
    • 2009
  • 목적: 기존의 Tc-99m MIBI 유방스캔은 유방암 진단에 어느 정도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작은 병변을 발견하는데 민감도가 낮은 것이 문제점이었다. 고해상도 유방 전용 스캔 또한 작은 병변에 대한 예민도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cm이상의 촉지되는 병변에 대해서 고해상도 유방 전용 스캔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명의 만져지는 병변이 있은 환자를 대상으로 Tc-99m MIBI 유방스캔을 시행하였다 약 925-1110 MBq을 투여한 10분 후에 조기 영상을 촬영하고, 30분 후에 지연 영상을 시행하였다. 결과: 19명중 23개의 병변이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고, 그 중 18개는 악성으로, 5개 병변은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고해상 유방스캔이 악성 병변을 찾는데 있어 민감도 100%로 매우 유용하였다. 다섯 개의 양성 중 2개는 초기 영상에서 섭취 증가를 보였으나 지연 영상에서 섭취감소를 보여 양성으로 판단하였고 병변 진단에 지연 영상이 도움이 되었다. 유방 촬영술이 13개의 병변들에서 모호한 결과를 보였고 1개의 악성 병변을 양성으로 진단한 것에 비해 유방 전용 스캔은 악성 선별에 훨씬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면 고해상 유방 전용 스캔은 1 cm 이상의 만져지는 병변에서 악성 병변을 선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는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해 검증되어야 하며 특히 지연영상을 촬영하는 최적의 시간에 대해서도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