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병렬구조해석

Search Result 19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UWB Bandpass Filter Using Capacitive Coupling with Cross Resonator ("+"자 공진기와 용량성 결합을 이용한 초광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

  • Dong, Thai Hoa;Lee, Jae-Young;Kim, Ihn-Se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1 no.5
    • /
    • pp.486-493
    • /
    • 2010
  • This article introduces a novel ultra wideband(UWB) bandpass filter(BPF) with sharp roll-off characteristics in stripline structure. The UWB characteristic is basically obtained from capacitive coupled cross resonator. The resonator has ${\lambda}/2$ length. And at the center of the resonator, two stubs are loaded, one is a ${\lambda}/8$ short-circuited stub and the other is a ${\lambda}/8$ open-circuited stub. The two stubs provide two attenuation poles at lower and upper cutoff frequencies. For input and output lines, two identical capacitively coupled lines have been installed to suppress the unwanted signals in the lower and upper stopbands. The filter has been designed for the U.S. UWB band(3.1~10.6 GHz) with two transmission zeros at 2.4 and 11.1 GHz. The filter has been realized with Low Temperature Core-fired Ceramic(LTCC) green tape which has the dielectric constant of 7.8. Measurement results agree well with HFSS simulation results. Insertion loss less than 0.7 dB and return loss better than 14 dB in the pass band have been measured. The group delay in the center frequency is 0.27 ns and the group delay variation within pass band is less than 0.5 ns. The size of the filter is $6{\times}18{\times}0.6\;mm^3$.

Mid-loop 운전중 RHR 기능 상실사고시 최대압력 및 보조급수 공급 여유시간 분석

  • 김원석;정영종;장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473-480
    • /
    • 1996
  • 영광 3/4호기 mid-loop 운전중 잔열제거(RHR) 기능 상실사고시 열수력적 현상을 최적 전산코드인 CATHARE2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사고시 열수력적 현상은 일,이차측 냉각재 방출유로와 계통내 비응축성 가스의 거동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경우를 모의하였는데, 하나는 계통내 방출유로가 있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방출유로가 없는 경우를 계산하였다. 이 때 사용된 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 계통은 부분충수 운전 상태로 상부에 비응축성 가스나 증기로 가득 차 있다. (나) 증기발생기는 1대만이 이용 가능하고 이차측은 습식보관 상태이며, 보조급수는 공급되지 않고 이차측 압력은 대기압 상태이다 (다) 사고는 원자로 정지후 2일후 발생한다. 이와같은 조건하에서 사고시 계통 최대압력은 방출유로가 있는 경우 사고후 6,000 초에 0.27 MPa이며, 방출유로를 통한 유량은 총 2.4 kg/s이다. 이 방출유량을 외삽하여 계통수위가 고온관 바닦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사고후 약 5.67시간이다. 증기발생기 U-튜브를 통한 열전달에 의해 이차측 증기 발생으로 이차측 수위가 하락하면 증기발생기 reflux cooling은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차측 수위가 U-튜브의 active 영역 상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사고후 약 10시간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므로 이 경우 보조급수 공급 여유시간보다 노심 노출시간이 더 빨리 도달하여 노심을 손상시킨다. 사고시 수위지시계는 계통감압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닫아 계통 inventory를 유지하는 것이 이차측 보조급수공급보다 우선한다.합한 설계방안으로 분석되었다.크다는 단점이 있다.TEX>$_2$O$_3$ 흡착제 제조시 TiO$_2$ 함량에 따른 Co$^{2+}$ 흡착량과 25$0^{\circ}C$의 고온에서 ZrO$_2$$Al_2$O$_3$의 표면에 생성된 코발트 화합물을 XPS와 EPMA로 부터 확인하였다.인을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오류의 시발점을 정확히 포착하여 동기가 분명한 수정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셋째, 음운 과 정의 분석 모델은 새로운 언어 학습시에 관련된 언어 상호간의 구조적 마찰을 설명해 줄 수 있다. 넷째, 불규칙적이며 종잡기 힘들고 단편적인 것으로만 보이던 중간언어도 일정한 체계 속에서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종전의 오류 분석에서는 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PDF

A Study on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and Transmittion significance of Toichon Nongak in Changwon city (현전(現傳) 창원 퇴촌농악의 양식적 특징과 전승 의의)

  • Yang, Ok-Kyung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7
    • /
    • pp.187-221
    • /
    • 2018
  • The style of performance to contemporary nongak is not fixed in a specific period of time, but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change in society that has occurred during its long time from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time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rt forms that we see and feel today, including nongak, are constantly interacting with the times and are a change in the design that has been shaped in the past. Now, we must get rid of the negative idea that there is some fixed prototype in Nongak. Also, the value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current Nongak should not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 pure genealogy of village descent, ' which was possible only in villages with small population movements long ago. If can get rid of the stereotypes, can greatly expand the view that we read the values of a certain Nongak. Looking away from a few of these traditional fixed perceptions can significantly broaden the view of reading the winning values of some farmers ' songs. In this regard, this report determined the performing style and nature of Changwon's Toichon-noangak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Toichon-noangak in contemporary,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mittion of Toichon-noangak. Changwon Toichon Nongak started out as an even-present ritu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ligious natur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actively exchanged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began to accumulate in the modern changes. Generally, the performance style of village Nongak has a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itual, Dure(collective labor), entertainment, and these three functions. Toichon Nongak is also a village Nongak style and in which of ritual nongak and village entertainment nongak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one in the big total structure. The origin, background, purpose, and style of towing of Toichon noangak demonstrates that the Toichon noangak is originally ceremonial noangak derived from a prayer style of Dongje. Then, various factors influences are interacting with Toichon noangak within the orbit of modern society, such a style of playing, popular nongak, is believed to have undergone an extended change. Overall, Toichon nongak performance style can be called nongak, which maintains traditional customs and it also ha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s of villag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