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and Transmittion significance of Toichon Nongak in Changwon city

현전(現傳) 창원 퇴촌농악의 양식적 특징과 전승 의의

  • Received : 2018.06.23
  • Accepted : 2018.08.12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style of performance to contemporary nongak is not fixed in a specific period of time, but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change in society that has occurred during its long time from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time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rt forms that we see and feel today, including nongak, are constantly interacting with the times and are a change in the design that has been shaped in the past. Now, we must get rid of the negative idea that there is some fixed prototype in Nongak. Also, the value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current Nongak should not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 pure genealogy of village descent, ' which was possible only in villages with small population movements long ago. If can get rid of the stereotypes, can greatly expand the view that we read the values of a certain Nongak. Looking away from a few of these traditional fixed perceptions can significantly broaden the view of reading the winning values of some farmers ' songs. In this regard, this report determined the performing style and nature of Changwon's Toichon-noangak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Toichon-noangak in contemporary,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mittion of Toichon-noangak. Changwon Toichon Nongak started out as an even-present ritu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ligious natur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actively exchanged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began to accumulate in the modern changes. Generally, the performance style of village Nongak has a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itual, Dure(collective labor), entertainment, and these three functions. Toichon Nongak is also a village Nongak style and in which of ritual nongak and village entertainment nongak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one in the big total structure. The origin, background, purpose, and style of towing of Toichon noangak demonstrates that the Toichon noangak is originally ceremonial noangak derived from a prayer style of Dongje. Then, various factors influences are interacting with Toichon noangak within the orbit of modern society, such a style of playing, popular nongak, is believed to have undergone an extended change. Overall, Toichon nongak performance style can be called nongak, which maintains traditional customs and it also ha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s of village society.

본고는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 현전하는 퇴촌농악의 공연 양식적 면모와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전승 의의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창원 퇴촌농악은 마을공동체의 종교적 심성을 바탕으로 제의성이 두드러지는 농악으로 출발하여 근현대 시대 새로이 쌓이기 시작한 대한민국의 경제, 사회, 문화적 토대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한 전승사를 가지고 있다. 마을농악은 의식농악, 농사풀이 농악, 마을 연예농악의 세 성격이 종합적으로 나타난다. 현전 퇴촌농악 역시도 의식농악과 마을 연예농악의 성격이 하나의 거시적 구조 안에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마을농악 양식이다. 이 농악의 유래와 배경, 목적, 연행양식 등을 종합해 봤을 때 공동 축원 형태의 동제에서 비롯된 의식농악이 본령(本領)이고, '퇴촌'이라는 특정 마을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변천 궤도 안에서 다양한 영향요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세시-놀이 형태의 연예농악 양식이 확대된 변화를 담지한 농악임이 분명하다. 공동 축원 형태의 의식농악에 속하는 근거는 마을의 형성 배경과 공유하고 있는 전설, 신목(神木)과 동제의 유래 및 전개에 관한 토착민 보전 지식이 이를 뚜렷이 뒷받침하고 있다. 또, 크게 확장된 연예농악 양식은 해방이후 급속히 전국적으로 번진 '대회용 농악 공연 양식'의 출현이 이후의 농악 공연-향유 방식, 농악 학습-전승 방식의 변화와 맞물리면서 전문 농악 공연집단 뿐만이 아니라 마을단위 농악대, 일반 시민농악대에 이르기까지 연예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과 외부로 부터의 수혈이 맞닿은 변모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퇴촌농악 황일태(보존회장, 설장구)에 의해 연행되는 '지신밟기 고사소리'와 치밀한 의도 하에 구성된 것으로 보이는 음악구조이다. 종합적으로, 현전 퇴촌농악 공연양식은 마을농악의 시대적 변천 맥락을 그대로 투사하고 있는, 다시 말해 전통성과 변천성을 동시에 보전한 농악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