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별 관측

Search Result 2,07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hanges in characteristic of weather elements in Nakdong River caus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로 인한 낙동강 유역의 기상요소 변동 특성)

  • Yang, Jeong-Seok;Lee, Jeong-Won;Jang, W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7-351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낙동강 유역의 기온, 강수, 상대습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고자, 낙동강 본류의 상, 중, 하류 지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요소인 평균, 최저, 최고 기온과 상대습도 및 강우 자료를 기상청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평균, 최고, 최저 기온과 연평균, 최고, 최저 상대습도를 분석하였으며, 강우량 관측 자료를 통해 총 강우량, 강우집중률, 일 최대강우량을 고려하였다. 분석방법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자료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인 Mann-Kendall Test, Hotelling-Pabst Test, Sen's Test 3가지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표준정규변량의 크기를 통하여 변동 경향의 유의성을 비교해보았다. 또한, 각 요소별 관측 자료의 상위 10개, 하위 10개의 자료를 통하여 최근(1995~2011)과 과거(1973~1994)의 기상요소들을 비교하여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중 낙동강 중류 지점에 위치하는 구미의 경우, 요소별 자료 중 연평균기온의 상위 9개의 자료가 최근 17년 이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연 최저 및 최고 기온의 6개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기후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 최저 상대습도의 경우 3가지 경향성 검정 방법을 통하여 과거자료에 비해 하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강우자료 분석 결과 관측이 시작된 이래 연강수량 중 상위 10개의 자료에서 7개가 최근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일 최대강우량은 9개가 포함되어 있다. 위의 요소별 분석 결과 낙동강 유역의 연강수량 및 강우강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기온 또한 증가하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현상이 국내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Korea Coastal Floodin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기반한 국내 해수범람 유형 분류 및 분석)

  • CHO, KEON HEE;EOM, DAE YONG;PARK, JEONG SIK;LEE, BANG HEE;CHOI, WON JI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6 no.1
    • /
    • pp.1-10
    • /
    • 2021
  • In this study, Information for the case of seawater flooding and observation data over a period of 10 years (2009~2018) was collect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seawater flooding and observations by type were classified. Information for the case of seawater flooding was collected from the reports of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and th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cs Corporation. Observation data for ocean and meteorological were collected from the KHOA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KMA). The classification of seawater flooding incidence types is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into 5 development types through combination of 4 types. These types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types of seawater flooding according to the marine weather environ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idal movement, low pressure system, strong wind, and typhoon. Besides,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ocean, the thresholds of ocean factors for seawater flooding by region and type were derived.

Proposals for Korean Space Observation Data Strategies (한국 우주관측 자료 전략 수립 제안)

  • Baek, Ji-Hye;Choi, Seonghwan;Park, Jongyeob;Kim, Sujin;Sim, Chae Kyung;Yang, Tae-Yong;Jeong, Minsup;Jo, Young-Soo;Choi, Young-Jun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2
    • /
    • pp.241-255
    • /
    • 2021
  • Space observation data includes research data such as stars, galaxies, Sun, space plasma, planets, and minor bodies observed through space missions, including processing and utilizing the observation dat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observation systems are getting larger, and space mission opportunities and data size are increasing. Accordingly, the need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space observation data is growing. Therefore, in Korea, a strategy and policy for space observation data should be established. As a stage of preparation,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s data strategy, which developed from extensive understanding and long-term experience for space observation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opose a strategic direction and 10 recommendations for Korean space observation data strategies that will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space observation data policies in the future.

Photometric Monitoring of Globular Clusters with KMTNet pre-science Camera

  • Lee, Dong-Joo;Lee, Chung-Uk;Kim, Dong-Jin;Hong, Kyeongsoo;Koo, Jae-Rim;Lee, Jae Woo;Kim, Seung-Lee;Cha, Sang-Mok;Lee, Yongseok;Lim, Beomdu;Park, Byeong-Gon;Jeon, Young-Beo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55.3-55.3
    • /
    • 2015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KMTNet 망원경은 2014년 칠레(5월), 남아공(8월), 호주(11월)에 설치가 완료되었다. 망원경 설치 이후, 연구관측용 광시야 18k CCD 카메라를 설치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 시험관측용 4k CCD 카메라(STX-16803)를 활용하여 관측을 수행하였다. 시험관측 대상으로는 KMTNet의 주 관측 영역인 우리은하 팽대부처럼 별이 밀집된 영역에서 영상차감법(Difference Image Analysis; DIA)을 활용해 변광하는 천체를 찾기 위해 $25^{\prime}{\times}25^{\prime}$의 CCD 관측 영역에 적당한 6개의 남반구 구상성단을 선정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관측된 성단의 측광 결과와 영상차감법을 이용해 찾은 변광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