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화 추출

검색결과 6,124건 처리시간 0.039초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지윤;장주연;이미경;박은미;김명주;손동화;정현채;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12-1118
    • /
    • 2002
  • 민들레의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Wistar계의 이유한 웅성 흰쥐 64마리를 난괴법으로 8군으로 나누어 streptozotocin(55 mg/kg BW)과 식이 kg당 11.45g의 민들레가 함유되도록 부위와 분획별로 나누어 식이에 첨가하여 50일간 사육하였다. 당뇨-대조군의 총혐기성균은 14일간 증가하다가 당뇨로 인하여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잎 추출물 급여시 50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뿌리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급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총혐 기성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추출물 급여초기인 14일의 총호기성균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35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일에 총호기성균수의 변화결과는 총혐기성균의 변화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장내 미생물의 변화는 당뇨가 유발된 50일에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열수 추출물 군과 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에서 Lactobacillu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E. cofi 감소는 잎과 뿌리의 열수 추출물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이 당뇨-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열수 추출물군의 E. coli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 결과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된 흰쥐의 장내 미생물에 유익한 효과로 숙주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이블렛 기반 변화탐지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velet-Based Change Detection Technique)

  • 정명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5-638
    • /
    • 2006
  • 현재 인공위성 영상은 지구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표에 대한 변화탐지는 원격탐사영상으로부터 지표변화를 찾아내 정량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렛을 이용한 텍스쳐 분석의 효율성이 연구되었다. 분석된 영상은 0.6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지진 전후로 하여 지진피해 지역을 탐지하기 위해 영상에서 관찰되는 풍부한 텍스쳐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텍스쳐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GLCM이 이용되었는데 직접적인 GLCM의 적용보다는 웨이블렛변환 후 GLCM의 적용이 텍스쳐 특징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임이 검사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렛 텍스쳐 특징 추출 후 상관관계에 기반한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면 피해지역을 매핑할 수 있다.

  • PDF

강정의 상온저장 중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에 따른 품질 변화 (The Quality of Gangjung Added with Detoxified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Extract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 김경미;김태영;김명곤;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7-933
    • /
    • 2008
  • 강정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강정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으며 특히, 대조군과 무독화 옻 추출물 1% 첨가군은 저장 30일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무독화 옻 추출물 3{\sim}5%$ 첨가군은 저장 40일에, 7% 첨가군은 50일에 감소가 시작되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강정의 경도는 저장동안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강정의 아삭함을 나타내는 피크수의 변화는 $0{\sim}3%$ 첨가군은 저장 60일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반면에 5%와 7% 첨가군은 저장동안 변화가 없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BA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7% 첨가 강정의 산가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과산화물가는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으며 TBA가도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3% 이상 첨가 시 추출물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연어(Oncorhynchus keta) 추출물 중의 Anserine, 단백질 및 철분 함량에 미치는 추출방법의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Method on Anserine, Protein, and Iron Contents of Salmon (Oncorhynchus keta) Extracts)

  • 민혜옥;박인명;송호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0-228
    • /
    • 2017
  • 본 연구는 수산동물을 원료로 한 천연 anserine의 추출을 위해 여러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연어로부터 anserine을 추출하였으며 각 추출방법에 따른 불순물(protein, iron)과 anserine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Anserine 추출용 시료로서 연어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anserine은 약 43.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용 시료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가열처리와 한외여과처리, 그리고 이온교환 및 한외여과처리를 이용한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60^{\circ}C$, $80^{\circ}C$, $100^{\circ}C$로 가열 처리한 경우 $100^{\circ}C$ 가열처리구가 총철과 단백질 등 불순물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anserine 함량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외여과방법을 통해 분자량을 조절한 추출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가열처리 추출물보다 단백질 약 81%, 총철 함량이 약 97%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nserine의 함량 변화는 가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Dowex $1{\times}8$ 수지를 이용하여 1차 이온교환을 하고 이온 교환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MW 500까지 한외여과처리를 한 후 CM-cellulose를 이용하여 2차 이온교환을 병행한 추출물의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가열-한외여과처리 추출물보다 단백질 및 총철의 함량은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anserine 함량을 나타내어 이온교환-한외여과처리 추출방법이 단백질 및 총철과 같은 불순물의 함량은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anserine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출방법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전기영동 및 HPLC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LC/MS를 이용하여 표품 anserine과 1차 이온교환-한외여과처리 추출물, 2차 이온교환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모두 동일한 분자량(MW 240)을 가진 물질로 확인되어 1, 2차 이온교환 및 한외여과처리를 병행한 추출법이 anserine의 추출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오가피 추출액의 저장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during Storage)

  • 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4-208
    • /
    • 2005
  • 오가피 열수추출액의 유통 품질의 변화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오가피($8{\sim}20$ mesh)를 열수 추출한 액을 nylon/PE(0.08 mm) pouch로 밀봉포장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가온조건(40, $60^{\circ}C$)에서 10일간 보관하면서 1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보관 중 추출액의 탁도, pH, 총폴리페놀 함량 및 DPPH 유리기 소거능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온과 포장에 의해 감소가 억제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고온에서 증가함을 보였으나 포장에 의해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포장과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품질변화 kinetics를 model화 하기 위하여 반응속도론에 상사시켜 본 결과 오가피 추출액의 품질변화는 1차반응 속도식이 적합하였으며 품질변화 속도상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Arrhenius 식에 잘 따른다고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가피 열수추출액의 부패억제와 항산화능 유지를 위해서는 포장과 저온유통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단백질의 SDS-PAGE패턴 및 항원성의 변화 (Changes of SDS-PAGE Pattern and Allergenicity of BSA and BGG in Beef Extract Treated with Heat and High Pressure)

  • 한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94-599
    • /
    • 2006
  • 이전의 연구에서, 우육중의 주된 알레르겐은 우육추출물 중의 BSA, BGG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단백질의 열처리와 초고압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에 따른 SDS-PAGE상의 변화와 우육알레르기 환자의 혈청을 이용한 알레르겐성의 변화를 Western blots로 관찰하였다. 우육추출물에 대한 열처리에 의한 알레르겐 단백질의 변화에서, $100^{\circ}C$ 가열처리군에서 BSA band는 큰 감소를 보였으나, BGG band는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 있었고, 항원성 역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는 하였으나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다. $120^{\circ}C$이상의 열처리는 추출물중의 BSA와 BGG band 의 소실과 이에 따른 항원성의 큰 감소를 가져왔다. 우육추출물중의 BSA단백질은 열처리에서와 달리 초고압처리에 의하여 전기영동상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BGG 단백질은 400 MPa 가압처리군부터 전기 영동상 band가 감소하였고, 항원성 역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초고압처리 정도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를 포함한 여러 분자의 SDS-PAGE상의 특이적 변화가 최초로 시사된 결과이다. 이러한 BGG 단백질의 고압처리에 의한 변화는 추출물중의 어떤 효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었고, 고압처리 후 $37^{\circ}C$숙성 실험으로 이러한 가설이 확인되었다. 우육추출물에 존재하고 초고압처리로 활성화되어 BGG분자에 특이적으로 관여하는 효소 및 이와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GCC 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Gas Turbine Air Compressor Integrated with Air Separation Unit in IGCC Power Plant)

  • 이찬;김형택;윤용승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8-103
    • /
    • 1996
  •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병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용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는 유선곡률방법과 압력손실모델을 결합한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예측결과들을 실제 압축기성능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압축기성능 해석방법을 근간으로, 압축기와 공기분리장치의 연계조건인 열교환기의 핀치포인트 온도차, 추출공기량 및 추출 공기압력이 압축기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공기추출량이 늘어나거나 핀치포인트 온도차가 커질수록, 압축기의 압축비 및 소요동력은 증가하나, 압축기 효율은 공기추출량의 증가에 따라 고압공기추출시에는 저하되고, 저압공기추출시에는 향상되었다. 더 나아가, 압축기의 일반화된 성능특성곡선의 제시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압축기/공기분리장치 간 연계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 PDF

향상된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퍼지 모델 기반의 감성인식 (Fuzzy-Model-based Emotion Recognition Using Advanced Face Detection)

  • 유태일;김광배;주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083-20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조명에 변화에 강인하고 기존의 퍼지 색상 필터보다 정확하고 빠른 얼굴 감지 알고리즘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로부터 특징점(눈, 눈썹, 입)틀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감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향상된 얼굴 인식 기술이란 퍼지 색상 필터의 단점이 영상의 크기와 성능에 따라 처리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규칙을 사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을 선별 적용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렇게 추출된 얼굴영역에서 감정이 변화 할 때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를 나타내는 눈, 눈썹 그리고 입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감성을 분류한다.

  • PDF

형태학적 특징과 명암 변화를 이용한 신 차량 번호판 추출 (New Vehicle License Plates Extraction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tensity Variation)

  • 한건영;한수환;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지능정보 및 응용 학술대회
    • /
    • pp.123-12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006년 11월 신 차량 번호판 등장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흰색 번호판 차량에서 흰색 번호판 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먼저 입력된 차랑 영상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 후, 국부적으로 밝기 보정을 수행하고, Otsu 판별식을 이용해 이진화 한다. 이진화 된 차량 영상에서 번호판 특성을 이용하며 라인 구조요소에 의한 침식연산과 채움 연산을 적용한다. 이후, 수평 투영으로 명암 변화가 심한 후보 영역을 찾고, 다시 수직 투영을 하여 일정구간에서 흰색의 값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구간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번호판의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해 번호판을 추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번호판 크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불규칙한 조명 상태에서도 번호판 추출이 가능하였다.

  • PDF

지능형 로봇 시스템에서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인간 몸의 제스처 추출 (Extraction of Human Body Using Neural Network in Intelligent Robot System)

  • 소제윤;김종선;주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081-208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로봇 시스템에서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인간 몸의 제스처 추출 기법을 제안 하였다. 지능형 로봇 시스템에서 사용된 컴퓨터 시각 기반에서는 시간상의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 추출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제스처 추출 기법을 제안 하였다.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제스처 추출은 오류 역 전파 학습방법을 사용하여 시간상에서 변화하는 영상 시퀀스에 정보를 생성하고 움직임 모델을 통해 두 정보간의 따른 제스처 추출에 가중치를 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은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