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화 추출

Search Result 6,12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llumination Robust Extraction of Facial Region including Hair Method (조명에 강인한 머리카락을 포함한 얼굴 영역 추출 방법)

  • Park, Sung-Soo;Lee, Hyung-Soo;Kim, Da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415-418
    • /
    • 2007
  • 본 논문은 머리카락을 포함한 얼굴 영역 추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변화에도 강인 한 얼굴영역 추출방법과 다양한 머리카락의 모양과 색의 변화에도 신뢰성 있는 머리카락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영상은 개인의 특징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정보로써,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여 이를 실제 얼굴영상정보를 이용한 얼굴인식, 관상정보 서비스를 위한 전처리, 기반기술을 제공하고, 실사 캐릭터 제작에도 바로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템플리트 매칭, 곡선추적 알고리즘 등과의 같은 추출방법에서는 얼굴크기 변화, 안경 및 장신구의 착용 여부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 따라 얼굴영역 추출하는 처리속도가 많이 걸리고,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크기변화, 안경 및 장신구의 착용 여부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서도 얼굴 영역을 잘 추출 할 있는 방법과 다양한 머리카락의 색, 형태 변화에도 신뢰성 있는 머리카락 추출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변량추출비 ${\bar{X}}$ 관리도의 통계적 효율 비교

  • Lee, Jae-Heon;Park, Chang-Sun;Jeon,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5-140
    • /
    • 2002
  • 변량추출비 관리도는 현재의 관측값에 기초하여 다음 시점의 표본크기와 표본추출간격을 변화시키면서 공정의 변화를 탐지하는 관리도 절차이다. 만일 공정에서 추출한 현재의 관측값을 살펴볼 때 공정변화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시점의 표본추출비를 증가시켜, 즉 표본크기를 크게 하고 표본추출간격을 작게 하여 예상되는 공정변화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함으로보다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변량추출비 ${\bar{X}}$ 관리도에서 사용하는 표본크기와 표본추출간격의 수를 달리하며 각각의 경우에 대한 통계적 효율을 계산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PDF

Car License Plate Extraction and Recognition Using Vertical/Horizontal Intensity Variation and Circular Pattern Vector (수직 및 수평 명암도 변화값과 원형 패턴벡터를 이용한 차량번호판 추출 및 인식 알고리즘)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2
    • /
    • pp.195-20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입력 차량 영상으로부터 명암도 변화 정보와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차량 영상에서는 번호판 영역에서 문자와 배경이 뚜렷하게 구별되고, 일정한 명암도 변화를 가지면서 번호판 이외의 다른 영역 보다 빌집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먼저 명암도 변화값을 사용하여 번호판을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영상 입력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따라 차량 영상이 어둡거나 밝게 입력될 경우에도 동일한 추출 성능을 얻기 위하여 밝기 보정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추출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입력 문자의 크기, 이동 및 회전에 무관한 특성 추출을 위해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번호판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계산 속도가 향상되어 실시간 처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Extracts of Allium tuberosum and Growth Inhibition of Related Microorganisms (부추추출물의 김치발효 지연 및 관련 미생물 증식억제)

  • Kim, Seon-Jae;Park, Keun-H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5
    • /
    • pp.813-818
    • /
    • 1995
  • The effect of retard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by the extract of leek(Allium tuberosum) were test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pH, acidity and total cell number as well as number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such as Lactobacillus, Leuconostoc, Pediococcus, Streptococcus and yeasts. The changes of pH and acidity of Kimchi stored at $25^{\circ}C$ indicated that the shelf-life of Kimchi with leek extract was retarded by 1.5 days compared with Kimchi without leek extract. Growth of Lactobacillus, Leuconostoc, Pediococcus and yeasts in Kimchi were remarkably inhibited by adding the leek extract at the initial and the 1st day of ferment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e methanol extract of leek can be sucessfully used for the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 PDF

Image Change Tracking System (영상 변화 추적 시스템)

  • Park Young-Hwa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 no.3
    • /
    • pp.154-158
    • /
    • 1999
  • This paper introduces a partial edge detection technique, that improves the processing time of an automatic change tracking system for multi-temporal images. In the conventional change tracking systems for multi-temporal images, the edge detection is performed over the whole image. In the proposed method, however, the necessary portions for the edge detection is selected first and the edge detection is performed over the selected parts only. As a consequence, the improvement in the processing time could be achieved. The proposed change tracking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very efficient tool to configure changes in large data set such as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ry or geophysical time laps images.

  • PDF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miner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cinnamon extracts (계피의 추출조건이 추출액의 무기성분과 물리적성질에 미치는 영향)

  • Kim, Na-Mi;Jeon, Byeong-Seon;Park, Chae-Kyu;Kim, Woo-J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6 no.4
    • /
    • pp.249-254
    • /
    • 1993
  • The dried cinnamon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and studied for the several extraction conditions of temperature, time, solvent addition ratio and number of extraction on miner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Mineral compon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creased. More than 8 hours of extraction showed a little improving while solvent ratio (V/W) up to 60 times (V/W)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ineral components, particularly Cu, Zn, Fe, Na in water extracts and Fe, Mn, K in 70% ethanol extracts. Absorbance at 285 mm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raised up to the range of $60{\sim}80^{\circ}C$. The Hunter a-value was much affected with extraction conditions and L-value and transmittance were changed similarily while pH was little changed.

  • PDF

Ethanol Modified Supercritical$CO_2$ Extraction of Daidzein from Soybean (에탄올 보조용매 초임계$CO_2$를 이용한 대두 Daidzein 추출)

  • 부성준;변상요
    • KSBB Journal
    • /
    • v.16 no.1
    • /
    • pp.95-98
    • /
    • 2001
  •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daidzein from soybean were studied. Daidzein was not extracted with pur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he ethanol was an efficient modifier fo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o extract daidzein. The extraction efficiency increased as the pressure increased up to 300 bar. At $35^{\circ}C$ and 300 bar, 93% of daidzein was extrac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odified with 15% of ethanol.

  • PDF

Region Detection Using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from Medical Image (의료영상에서 특징점 추출을 이용한 영역추출)

  • 김엄준;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29-43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의료 영상 중에서 성대 운동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진단 파라미터를 구하는 비디오스트로보키모그래피(Videostrobokymography) 시스템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CCD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비디오 테이프에 저장된 후 이미지 캡쳐 보드에서 그레이 이미지(gray-level)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입력된 영상은 움직이는 영상을 촬영한 것이므로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각 프레임마다 다르다. 또한 실제로 입력된 성대영상들이 점진적인 농도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에지에 의해 영역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영역 추출방법은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번의 단계를 통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입력된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각 프레임에서 영상의 최소 에너지를 구한다. 두 번째로 농도 변화 값을 특징 값으로 이용하는 분할-합병 알고리즘(Split-merge Algorithm)을 적용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19명의 성대 영상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대의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상의 에너지 값을 이용하는 스네이크 알고리즘(Snake Algorithm)에 적용하여 비교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네이크 알고리즘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관심 영역 추출 방법은 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산 량이 적어 200x280크기의 이미지를 초당 약 40프레임에 대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Constituent Alterations of Pueraiae Radix and Lacquer Tree Mixture Extract and their Anti-allergic Effects (갈근과 옻 혼합추출물의 성분변화 및 항알러지 효과)

  • Jeong, Yong Joon;Yang, Yoon Jung;Kang, Se C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1
    • /
    • pp.103-110
    • /
    • 2013
  • Lacquer has traditionally been used to varnish. Many reports have revealed that lacquer has anti-microbical,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urushiol and their derivatives were known as an allergen. Therefore, we expected that lacquer will be used as a good health-food source if its side effect was solved. Here we analyzed their allergy induced constituents by using the GC/MS and evaluated comparative concentration of lacquer, puerariae radix and their mixture extracts. Our results showed that lacquer extract has allergenic compounds and mixture extract with puerariae radix has relatively lower amount. However, lacquer/puerariae mixture extract has strong anti-allergenic effects on the RBL-2H3 cell and puerariae extract was blocked allergenic effect caused by allergenic constituents contained in lacquer.

A License Plate Extraction and Recognition Using Intensity Variation and Circular Pattern Vector (명암도 변화값과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한 차량번호판 추출 및 인식)

  • 김규영;김종민;이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241-24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영상의 수평 및 수직 명암 값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고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하여 번호판 내용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에 관해 기술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번호판 영역에서 문자와 배경이 뚜렷하게 구별되고, 일정한 명암도 변화를 가지면서 다른 영역보다 밀집도가 높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명암도 변화값을 구하여 차량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며 상당히 어둡거나 밝게 입력된 영상에도 동일한 인식 성능을 얻기 위하여 밝기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 문자의 크기, 이동 및 회전에 무관한 특성을 추출을 위해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들을 적용한 결과 계산 속도가 훨씬 빠르며, 차량 번호판의 크기에 관계없이, 또한 잡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번호판 추출이 정확하여 실시간 처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번호판 영역이 불투명하거나 불규칙한 조명 상태에서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