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화

Search Result 122,908, Processing Time 0.087 seconds

A study on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s through period classification of SSP scenarios (SSP 시나리오의 기간 구분을 통한 유출 특성 변화 연구)

  • Nam Ki Moon;Dong Hyeok Park;Sang Woo Yim;Jaehyun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3-393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미래 기후변화 예측 전망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특히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기후변화 6차 보고서에 채택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 시나리오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한 상황이다. 이들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의 양상 비교를 위한 기간 구분은 통상적으로 F1(2011-2040), F2(2041-2070), F3(2071-2100)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단순하게 동일한 기간으로 나누어 설정한 것으로, 통계적 근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변화 추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패턴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 특히 미래 기후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간 분류와 관련하여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SSP 시나리오 모델 중 UKESM1 모델을 활용하여 ASOS(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기상관측소 기준 59개 지점에서 추출한 강수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후, 기후변화 비교를 위한 최적의 분류를 결정하기 위해 장마철인 6월부터 9월까지의 강수 데이터에 대해 통계분석 및 Pettitt 검정을 수행해 최적 기간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F1, F2, F3 분류 방식과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한 최적 시기의 유출 특성 분석결과의 변화양상을 비교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한 비교를 통해 기후변화 추이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는 연구 수행 시 기간 구분에 대한 발전된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ole of Runoff Ratio in the Sensitivity of Annual Streamflow (연간 유출량의 민감도에서 유출율의 역할)

  • Kim, Byeong-Hee;Kam,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5-95
    • /
    • 2021
  • 전 세계 담수 자원의 예측 및 관리에 있어서 유출량 변화의 예측은 중요하다. 하지만 강수량 대비 유출량의 비율인 유출율이 수자원 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의 1,636개 관측소에서 관측된 유출량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60년 (1956-2015) 동안 유출량, 강수량, 증발산량의 관계에 있어서 유출율의 역할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문 기후학적으로 습한 지역과 건조한 지역을 구분할 수 있는 임계값으로 유출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Budyko 공간에서 적용하여 건조 지수와의 비교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유출량 변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위해 강수량 및 증발산량 변화율에 따라 6가지의 범주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대부분의 관측소에서는 강수량의 변화와 일관된 방향으로 유출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출량의 변화는 강수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모든 범주에 있어서 유출율은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변화에 의한 유출량 변화의 크기에 상당한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우리는 기후 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에 대한 예측성 향상에 있어서 유출율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가 잠재적인 주요한 요소라고 제안한다.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과 같은 인위적 영향은 유출율을 직접 감소 또는 증가시켜 유출량의 민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치적인 접근 방식은 수자원 가용성에 대한 기후 변화 및 인위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ssessment of hydrological system change using Budyko curve (Budyko 곡선을 활용한 수문시스템 변화 분석)

  • Kim, Kyeung;Lee, Hyunji;Kim, Hakkwa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0-250
    • /
    • 2020
  • 수문시스템은 기후변화와 도시화와 같은 다양한 인간활동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변해오고 있다. 수문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주요한 과제였으며, 수문모델링, 기후탄력모델 등을 통해 변화의 원인과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수문모델링 방법은 변화 원인을 통제하고, 각 조건에 따른 영향분석을 수행하기에 용이하나, 유역별 수문모형의 보정과정은 연구자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기후탄력모델은 주로 Budyko 곡선이 활용되어왔으며, 장기간의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곡선에서 변화 폭을 통해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의 영향을 정량화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장기간의 실측자료가 미비한 유역에서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에 의한 수문시스템의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 climate elasticity model과 hydrological model을 접목하여 시범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장기간의 유역 유출량 자료는 HSPF 모형을 활용하여 모의하였으며, 2013~2015년은 보정, 2010~2012년은 검정된 모델을 활용하였다. 1970년부터 2015년까지 유출량자료를 활용하여 Budyko curve를 작성하였으며, 1970년대비 2015년의 수문시스템의 변화를 각 원인별로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는 수문시스템의 변화 원인 파악 및 회복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Mean Sea Level on the West Coast (서해안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 분석)

  • Yang, Su-Hyun;Choi, Seung-Bae;Ryu, Hong-Ryul;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0-270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반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Yoon and Kim, 2012; Jung, 2014, Yang et al., 2022). 해수면의 상승은 연안저지대 범람, 내수배제 불량 등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분석과 장래 해수면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해수면의 변화는 전 지구적 평균해수면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적으로 변동특성이 크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Yang and Hwang, 2021), 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가 중첩되는 경우 단기간에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취약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Arnoldo et al, 2017),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분포한 조위관측소의 조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해안의 북부보다 남부로 갈수록 평균해수면의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의 변화량보다 최근의 평균해수면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ynamics of Welfare Attitudes Change in Kore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s Welfare Attitudes Change (한국사회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 : 개인 복지태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

  • Lee, Sang-Rok;Lee, Soon-A;Kim, Hyeong-Kw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8 no.4
    • /
    • pp.59-89
    • /
    • 2017
  • Changes in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are very important to the welfare politics and policy. Considering that variability of public welfare attitudes has been ignored in previous studies, we analyzed welfare attitudes changes at individual level in Korea. Us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Additional Survey of 2010/2013/2016 Korea Welfare Panel Survey, we analyzed the changes in public welfare attitudes during 2010th-2016th yea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findings from analysis is that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are very active and dynamic in Korea. This finding is contradiction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are point to the stability or inertia of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and also in Korea. Second, occurrences of the welfare attitudes change are related with variou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ome status, occupation status, age, region, sex, political ideology, etc.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on the welfare attitudes change suggest that dynamics of the Korea welfare politics in recent years reflected the dynamic changes in public welfare attitudes. And, they suggest that Korea welfare politics are transformed from the traditional classes welfare politics to the new welfare politics which are influenced by various interests of the socio-demographic groups.

Moderating Effect of Population Dro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and Crime Decline (인구통계학적 구조 변화와 범죄 감소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인구 감소의 조절 효과 검증)

  • Soo-Chang Lee;Dae-Cha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95-10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opulation dro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and crime decline in local cities facing population decline in Korea. The study employs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men, elderly, foreign residents, and population movement as factors of demographic changes, including types of the city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The rate of change in population drop is us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the rate of change in crime decline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are collected from 155 cities with declining populations from 2010 to 2022 through KOSIS,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and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Data collected are analyzed using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analysis, they show that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population movement, foreign people, population drop, and the type of city affect the change in crim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nly the interaction terms among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changes in population movement, and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foreigners and the population drop affects change in crime significantly.

The effect of lip thickness on lip profile change after orthodontically treated patients with 4 first bicuspid extraction (Basic upper lip thickness에 따른 교정치료 후 입술 이동량의 차이)

  • Park, Sun-Hyung;Park, Sung-Hun;Cho, Young-Moon;Kim, J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2 no.5 s.94
    • /
    • pp.355-360
    • /
    • 2002
  •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re are several changes in soft tissue profile. Changes appear at lower anterior facial profile area, especially upper and lower lip. But there are many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pattern of change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the basic upper lip thickness could be one of the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treatment results. The samples were composed of 43 adult patients who had their 4 first premolars extracted. Groups were classified by their basic lip thickness. In group 1(thin upper lip group),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entolabial angle and lower lip change. In group 2(average lip thickness group), upper lip change was related to upper incisor change, lower incisor change, lower lip change and nasolabial angle change. And lower lip change was related to upper lip change, upper incisor change, lower incisor change. In group 3(thick upper lip group),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both lip change and other variables.

Review of the Role of Land Surface in Global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서 지표환경의 역할에 대한 고찰)

  • Kim, Seong-Joong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3 no.1
    • /
    • pp.42-53
    • /
    • 2009
  • In response to the abrupt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atmosphere, ocean and cryosphere are reported to be altered. In addition to these changes, the land surface is also gradually changing and its impact on the global climate may not be negligible. The land surface change impacts the global climate via two ways, the biogeochemical and biophysical feedbacks. The biogeochemcial change in the land surface modifies the atmospheric trace-gas concentrations through a change in photo synthesis, while biophycal changes of the land surface alters the surface albedo, which influences the amount of the short wave radiative heat fluxes. There are many examples in the past that the change in land surface greatly influences the global climate change. The recent IPCC report has suggested that the climate change will occur rather abrubtly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climate accurately, the impact of the land surface change is fully considered.

  • PDF

Prediction of Future Agricultural Land Use Change of Geum River Basin using CLUE-s (CLUE-s 모형을 이용한 금강권역의 미래 농업지역 토지이용변화 예측)

  • Son, Moobeen;Kim, Jinuk;Lee, Yongg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1-131
    • /
    • 2020
  • 우리나라는 농산물시장개방이후 휴경면적의 증가, 농지전용, 도시화의 가속화, 시설작물 재배면적 변화 영향에 의한 논과 밭의 이용 패턴변화 등으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구조가 변화되어 왔다. 이는 곧 국내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로 연결되고, 농업구조의 변화는 농촌경관, 농업용수 이용, 농촌지역 비점오염 물질 발생패턴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권역을 연구지역으로 하여, 농업지역의 토지이용변화 중 논 내 시설작물 재배면적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토지이용변화 예측모형인 CLUE-s(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농업지역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CLUE-s 모형의 입력 자료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의 1980~2010년까지 5년 간격 토지이용 통계자료 및 환경부 2008, 2013년 중분류 토지이용 자료에서 금강유역을 추출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를 위해 토지이용 항목을 총 7개(수역, 시가지, 논, 밭, 시설재배지, 산림, 초지)로 분류하고 특별토지이용 정책 자료로 농업진흥구역도 및 국토환경성 평가도를 이용하였다. 관측자료의 경향을 이용하여 환경부 중분류 토지이용 변화를 기준으로 농업지역(논, 밭, 시설재배) 변화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농업지역 변화에 따른 수문 및 수질의 영향을 파악하고 미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비점오염 물질 발생패턴 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cience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the Climate Changes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과학기술의 책임과 기후변화윤리 - 책임을 중심으로 -)

  • Byun, Sunyong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8
    • /
    • pp.7-34
    • /
    • 2010
  • The ethical problems related to climate changes have basically different character from the ethical problems which we have experienced until now. In order to approach ethical problems of climate changes for forseeing, mitigating and adapting many complicated situations which result from climate changes we should breake away from the point of anthropocentrism at first. Secondly, the education of the ethics of climate changes is very important in all levels of schools. I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o decide what and how we should teach. Finally, the sustainability has important role in the justification of why and what we should take actions against climate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