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형 측정

Search Result 2,50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sign and Development of Strain Measurement System Based on Zigbee Wireless Network (Zigbee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반 변형측정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Kim, Sang-Seok;Park, Jang-Sik;Go, Seok-Jo;Ro, Hee-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3
    • /
    • pp.585-590
    • /
    • 2012
  • In this paper, a system using vibrating wire sensor and zigbee wireless network has been implemented to monitor and manage the structure. The implemented strain controller drives vibrating wire sensor and computes strain from measuring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Temperature sensor is included to compensate strain by temperature. Using two axis acceleration sensor of strain controller can measure the direction of strain or deformation. To measure strain more effectively,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included in this device. As results of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developed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measure strain of the structure.

스트레인 게이지의 온도특성과 극저온 환경에서의 거동

  • 주진원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6
    • /
    • pp.514-523
    • /
    • 1992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측정을 할 때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겉보기 변형도와 게이지 상수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실제 측정시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위한 온도보상 방 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온도변화에 의한 겉보기 변형도의 값은 기계적 하중에 의한 변형도에 비하여 무시할 수 없는 큰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절한 보상에 의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 내야 한다. 항공우주산업, 원자력산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는 극저온 환경에서 겉보기 변 형도와 게이지 상수의 측정결과를 제시하였다. 극저온에서는 자체 온도보상된 스트레인 게이지라 할지라도 대단히 큰 온도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시험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측정결과를 온도보 상하여 처리해야만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시험에서 4차식으로 구해진 겉보기 변형 도에 대한 특성곡선과 게이지 상수에 대한 시험결과는 극저온에서 변형을 측정할 때 직접적으로 보상하여 사용될 수 있다.

  • PDF

Effect of the strain rate on friction factor and flow stress at Al 6061 alloy (Al 6061 합금에서 마찰인자 및 상온 유동응력에 미치는 변형율 속도 영향)

  • 박종수;윤존도;김국주;이정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95-95
    • /
    • 2003
  • 특정한 마찰 또는 윤활조건 하에서 변형율 속도가 마찰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약 1$\times$$10^{-3}$/sec, 1$\times$$10^{-2}$/sec, 1$\times$$10^{-1}$/sec에 해당되는 3종류의 변형율 속도에서 평활금형, 흑연계윤활제 및 2황화 몰리브덴계 윤활제에 대한 마찰인자를 상온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서는 외경, 내경 및 높이 비가 6 : 3 : 2인 Al 6061 연주재 ring시편을 공칭변형율 65%까지 약 10% 씩 단속적으로 압축한 후 재윤활 하여주는 단속적 상온 압축시험 방법을 적용하였다. 측정결과, 변형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은 평활금형에서의 마찰인자는 0.25에서 0.31로 증가, 흑연계 윤활제 적용시에는 0.23에서 0.15로 감소하는 경향을 각각 나타내었고, 2황화 몰리브덴계 윤활제 적용시에는 각각의 변형속도에서 측정된 인자는 0.09-0.10 범위 내로써 마찰인자에 미치는 변형율속도 영향이 아주 미미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 측정결과로부터 각각의 변형속도에서 Al 6061 연주재의 원통형 압축시편으로부터 구한 압축측정응력으로부터 상온유동응력을 구하여 상호 비교하고자 하였다.

  • PDF

Measuring and Correcting The Compressive Axial Strain of Concrete Cylinders Retrofitted by External Jackets (외부자켓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압축시편의 압축변형률 측정 및 보정)

  • Choi, Eun-soo;Lee, Young-Ge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3 no.2 s.54
    • /
    • pp.215-222
    • /
    • 2009
  • In this study, steel and FRP jackets are used to confine concrete cylinders. The FRP jacket behaviors compositely with concrete since there is bonding between them. However, the used steel jacket in this study do not behavior compositely with concrete since there is not an adhesive between them. The steel jackets are attached by external forces and the welding. This study suggests the measuring method of the axial strain for the confined concrete cylinders showing noncomposite behavior with the jackets and the correcting method of the measured strain for the composite-behavior jackets. For the noncomposite-behavior steel jacket, the axial strain of the steel surface does not represent the axial strain of the concrete inside. Also, a compressormeter can not be used. Thus, the two rigid plates at the top and bottom of a cylinder are placed and the distance of the two plates are measured and used for estimating the axial strain of the concrete. For the composite-behavior FRP jacket, the vertical strain measured on the FRP surface can be used for estimating the axial strain of the concrete. However, the vertical strain on the FRP surface contains the tensile strain due to the bulge of the concrete and, thus, the tensile strain should be corrected from the vertical strain. The corrected verticals strains compared with the measured strain or a existing constitute model; the result is satisfactory. The uncorrected stress-strain curves have the potential to under estimate the ductile behavior and the energy-dissipation-capacity of the composite-behavior FRP jackets.

Analysis of the O-Ring Deformation Behavior by the Computed Tomography (전산화 단층촬영에 의한 오링 변형 거동 분석)

  • Kim, Dong-Ryun;Kim, Jae-Hoon;Park, Sung-Han;Lee, Hwan-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8 no.1
    • /
    • pp.1-8
    • /
    • 2008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xamination technique for measuring the O-ring deformation behavior under the pressure and the squeezed condition simultaneously. The O-ring deformation measuring device in which two grooves were dug to insert the two O-rings was manufactured to be not deformed under the high pressure and the 1 mm and 0.1 mm gap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extrusion lengths under the internal pressure. The beam hardening correction, the histogram analysis and the dead zone correction were executed to exactly measure the shape of O-ring deformation and the lengths of the O-ring deformation were measured by the LSF and the ERF. The computed tomography applied the pressure of 0, 1.378, 4.902, 9.804, 15.692 MPa at 22.3% squeezed condition and the expanded diameter, contact length and extrusion depth were measured in each pressure. The shape of O-ring deformation was evaluated by the FEM to verify the results of measuring by the computed tomography and the area of O-ring was mutually compared to the area measured by the computed tomography.

석영의 파동소광을 이용한 포천-기산리 일대의 화강암 변형의 정량화

  • 정원석;윤현수;나기창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80-80
    • /
    • 2003
  • 포천-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의 변형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석영의 파동소광의 강도(IWE : Intensity of Wavy Extinction)를 편광현미경, 디지털 카메라, NIH Image로 측정하였다. 파동소광이 나타나는 석영입자의 한 부분이 편광현미경 상에서 최대 소광이 될 때 IWE를 측정하고, 이 때 나타나는 파동소광의 아입자경계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NIH Image는 파동소광을 보여주는 각 부분의 광도를 256단계의 흑백 농담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측정 길이에 대한 농담변화로 IWE를 구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IWE를 5$^{\circ}$ 단위로 묶어 돗수분포표로 처리하였으며, 자료의 분포특성상 히스토그램의 최빈값과 중간값 사이의 중간값을 그 암석의 대표 IWE로 정의하였다. 이를 다시 5단계의 변형대(무변형, 저변형, 중변형, 고변형, 최고변형)와 각각의 변형지수(D1, D2, D3, D4, D5)로 묶었다. 본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는 흑운모화강암(Gb), 동부의 석류석흑운모화강암(Ggb) 그리고 북부의 복운모화강암(Gtm)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본 연구에는 크게 포천읍을 기준으로 서부에 분포하는 Gb와 동부에 분포하는 Ggb에서 파동소광의 강도 측정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Gb는 D2 이하의 낮은 변형도가 나타났고, Ggb는 D3이상의 고변형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조사지역의 북서부에서 남동부로 갈수록 변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ment of Closed-loop Adaptive Optics system for Wavefront Correction (파면 보정을 위한 폐회로 적응광학계 개발)

  • 서영석;백성훈;박승규;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88-189
    • /
    • 2000
  • 원자력 산업에서는 레이저진동측정기와 같은 원격/비접촉 측정기술이 많이 사용된다. 가동 중인 연구용 원자로의 핵연료 진동측정 같은 경우도 이러한 원격측정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측정 대상체가 유동하는 유체 안에 있으므로 입사한 레이저의 파면이 변형되어 레이저진동측정기의 적용이 어렵다. 적응광학계(adaptive optics system; 또는 능동광학계)는 유동 층에서 변형된 파면을 파면측정 센서로 측정하고, 변형거울(deformable mirror)등의 파면보정 장치를 사용하여 파면을 보정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Shack-Hartmann 파면측정센서를 개발하고, 변형거울과 파면측정센서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레이저 파면의 왜곡상태를 폐회로(closed-loop)로 보정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Pressuremeter for Evaluation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 at Whole Strain Ranges (전체변형률 범위에서 변형특성 평가를 위한 공내재하시험 장치 개발)

  • 권기철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6
    • /
    • pp.335-342
    • /
    • 2003
  • In order to analyze the deformational behavior accurately, the in-situ testing technique which provides the reliable deformational characteristics at whole strain ranges, needs to be developed. The pressuremeter is a unique method for assessing directly the in-situ shear modulus of soils with strain amplitude. This paper introduces a new alternative, the cavity strain measuring system in pressuremeter designed for whole strain ranges of $10^{-5}$%∼20%. Not only in the synthetic calibration chamber but also in the field, the pressuremeter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mpliance of the new developed pressuremeter system. The variation in shear modulus with strain amplitude above $5\times 10^{-2}$% was reliably determined by the developed pressuremeter. It is concluded that the major cause of error in small cavity strain measuring is not from the cavity strain measuring system but from the friction between measuring arm and membrane during unloading-reloading loops.

Measurement of Transverse Strain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편광 유지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횡방향 변형률 측정)

  • Yoon, Hyuk-Jin;Kim, Dae-Hyun;Hong, Chang-Sun;Kim, Chun-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6
    • /
    • pp.30-35
    • /
    • 2003
  • In this paper, the transverse strain was measured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Bragg grating(PMFBG) sensor. PMFBG sensor was fabricated using phase mask and Excidmer laser. The reflected wavelength of PMFBG sensor had dual peaks due to intrinsic birefringence. To find the polarization axes, peak sensitivity was measured under compression test.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PMFBG sensor were also examined in embedding condition. The embedded PMFBG sensor in epoxy block was loaded for the transverse strain measurement, The wavelength-swept fiber laser(WSFL) was used to construct the PMFBG sensor system.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MFBG sensor could successfully measure the transverse strain.

Deformation Measurement of the Slope Using Free-Net Bundle Adjustment (Free-Net 광속조정법을 이용한 사면의 변형측정)

  • Lee, Jin-Duk;Lee, Ho-Chan;So, Jae-K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55-160
    • /
    • 2004
  • 근거리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사면의 3차원 변형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에 근거한 사진삼각측량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표준적인 기법과 Free-net 기법으로 각각 처리하여 사면의 약 1/35000의 정확도로 3차원 측정과 변형량을 도출하였으며, 토털스테이션에 의해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Free-net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잡한 산업현장에서 기존의 측지학적 기준점측량을 행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