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형에너지밀도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ensing locations for a high-rise building us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nd strain energy density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활용한 고층 건물의 센싱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Hong-Min;Park, Sung-Woo;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7-220
    • /
    • 2009
  • 고층 건물에 대한 구조 안전성 모니터링은 건물 특성상 계측 대상 부재가 많고 하중과 구조반응의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센싱 위치 선정의 어려움으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반응 계측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 에너지 이론에 근거한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보, 기둥, 코어 전단벽, 그리고 아웃리거로 구성된 고층 건물을 대상으로 풍하중에 대한 부재 종류별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확인하고 전체 구조물의 거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 위치를 예상해보았다.

  • PDF

Selection of Sensing Members in a High-rise Building Structures us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s and Strain Energy Density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활용한 초고층 건물의 센싱 부재 선정)

  • Lee, Hong-Min;Park, Sung-Woo;Park, Hyo-Seo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4
    • /
    • pp.349-354
    • /
    • 2009
  • To rationally secure and maintain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a high-rise building, monitoring of structural responses of members is necessary. As such health monitoring of large-scale building structures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by researchers in recent years. However, due to a very large number of members complexity of structural responses of a high-rise building structure, practical difficulties exist in selection of structural members to be sensored for assessment of structural safety of a structure. In this paper, a selection technique for active members for safety monitoring of a high-rise building based on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nd strain energy density of a member is investigated.

Ambiguity of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and Maximum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최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의 모호성과 최대 극소 변형에너지 밀도 기준)

  • Gu, Jae-M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5 no.7
    • /
    • pp.1155-1162
    • /
    • 2001
  • Sihs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SED) often used in the mixed mode problem has the ambiguity of the choice of minimum values. In this paper, as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SED, maximum minimum strain energy density criterion is proposed that the crack propagates in the direction of having the maximum among the minimum values of modified strain energy density factor(MS), i.e., sign($\sigma$(sub)$\theta$).Smin.

유연소재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 저장체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 Yun, Tae-Gwang;O, Min-Seop;Hu, Liangbing;Hyeon, Seung-Min;Ha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97-698
    • /
    • 2013
  • 최근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전자기기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서 유연 전자기기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에너지 저장체의 유연한 성질도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의 많은 연구들이 유연한 금속 박막이나 특수 공정처리가 필요한 고분자를 이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유연 에너지 소자들은 에너지 저장체의 성능에 비해 고온과 산 약품과 같은 환경이 필요하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있다. 그에 반해 섬유는 앞에서와 같이 특수 공정 처리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상온에서도 손 쉽게 이용 가능하며, 신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효율적, 비용적으로 유연한 에너지 저장체에 유리한 소재이다. 몸에 해로운 산과 같은 약품처리의 필요도 없으며, 용매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용매를 이용한 도포 방법을 사용하면 다양한 물질을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적용 분야에 맞춰서 섬유의 종류를 조절하면 다양한 성질을 갖는 천 기반의 에너지 저장체가 형성되며, 면 섬유가 수소 결합과 높은 반데르 발스 결합에 의해 탄소나노튜브와 결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 저장체를 형성하는 것을 분석한 논문들도 보고되고 있다. 면 섬유의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체를 제작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 합성 섬유인 polyester와 면 섬유를 비교 제작하였으며, 용매의 형태로 손쉽게 도포 가능한 물질은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이며, 탄소 나노 튜브나 그래핀 등이 분산된 용액을 이용해 천에 도포 가능하다. 탄소 계열의 활물질들은 대표적인 슈퍼캐패시터 물질이며, 천에 도포를 함으로써 천 기반의 슈퍼캐패시터를 제작하였다. 일반 합성 섬유 polyester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Maximum specific capacitance)이 53.6 F/g으로 나타났으며, 면 섬유와 CNT를 결합한 형태의 전극은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이 122.1 F/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면 섬유에서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을 보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에너지 저장 능력이 뛰어난 면 섬유를 다음 전극 디자인에서도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슈도캐패시터의 대표적 물질인 금속 산화물인 망간 산화물(MnO2)을 3전극 도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에너지 축전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올리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특히 망간 산화물의 형태는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평균 지름은 200~300 nm 정도 되는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확연하게 에너지 축전 용량이 향상되었으며, 최대 에너지 축전 용량은 282.0 F/g, 에너지전력 밀도는 14.2 Wh/kg으로 나타나서 금속 산화물의 형태가 주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나노 입자의 형태로 제작된 금속 산화물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금속 산화물의 전기 전도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에 비례해서 전력 밀도의 값이 표현되는데, 전기 전도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전력 밀도도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다. 다음과 같이 전기 전도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은 추가의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오직 기계적인 인장응력만을 가해서 에너지 밀도와 전력 밀도를 증가시키는 전극을 제작하였다. 인장응력을 섬유 기반의 전극에 가했을 시에 가닥들간의 접촉 증가와 CNT가 정렬되면서 특정 변형률(strain) 이전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최대 50%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이를 이용해서 전기 전도성과 직결되는 전력 밀도의 양도 증가시키고 에너지 밀도의 증가 여부까지 확인한 결과 인장을 가하기 전 면 섬유의 전력 밀도와 에너지 밀도는 6.4 kW/kg and 6.1 Wh/kg으로 나타났으나 30% 변형 인장 후에는11.4 kW/kg과 7.1 Wh/k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망간 산화물을 첨가한 전극 역시 4.9 kW/kg과 14.2 Wh/kg으로 나타났었으나 인장 이후 전력 밀도는 14.2 kW/kg, 에너지 밀도는 17.6 Wh/kg으로 확연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ti-impulsive Strength of the Helmets for a Gas Industry (가스산업용 안전모의 내충격 안전성에 관한 연구)

  • Kim, Chung Kyun;Kim, Tae W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6
    • /
    • pp.52-57
    • /
    • 2013
  • In this study, the strain energy density, stress and deformation behaviors have been analyzed as functions of a thickness and a force area of protective helmets with and without an extruder on the top of the shell structur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strain energy density in which is related to the absorption capacity of an impact energy transfer is one of a key element of the helmet safety. The FEM analyzed results show that when the impulsive force of 4,540N is appli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elmets, the maximum stress is linearly reduced for an increased area of impact forces. But, the maximum strain energy density has been reduced for the increased force area. The reduced strain energy density may increase the impulsive forces transferred to the head and neck of helmet wearers, which may decrease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safety of the helmets. In thus, it is safer design of the helmet in which has an extruded structure on the summit surface, but the modified helmet may decrease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capacity.

Investigation of the Strain Rate Effects of EPS Foam (EPS Foam의 변형률속도효과에 대한 연구)

  • Kang, Woo-Jong;Cheon, Seoung-Sik;Lee, In-Hyeok;Choi, Seon-Ung;Min, Je-Hong;Lee, Sang-Hyeok;Bae, Bong-Kook
    • Composites Research
    • /
    • v.23 no.3
    • /
    • pp.64-68
    • /
    • 2010
  • Expanded polystyrene(EPS) foams are often used in packaging to protect electrical appliances from impact loads. The energy absorbing performances of the EPS foams depend on several parameters such as density, microstructure and strain rate. Thus,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strength of the EPS foam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an optimized packaging design by FEM. In this study, various EPS foams which have different densities were quasi-statically and dynamically loaded in order to obtain the stress-strain curves. EPS foams of various densities from 18.5 to 37.0kg/m3 were considered in the experiments. A drop-mass type apparatus was developed for the intermediate strain rate tests up to several hundreds/second. It was fou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strength of the EPS foams increase about 170% as the strain rate increases from 0.06/s to 60/s.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train rate sensitivity increases as the strain increases.

A Closed Form Nonlinear Solution for Large Pure Bending Deformation of Solid Plate (고체 평판의 비선형 순수굽힘변형에 대한 수학적 정해)

  • Youngjoo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12
    • /
    • pp.220-225
    • /
    • 1998
  • 압축성 초탄성 평판의 순수굽힘에 대한 비선형 변형해석의 수학적 정해가 본 논문에 구해져 있다. 이차원 평면 변형도 상태가 해석을 위하여 가정되었으며, 비선형 순수굽힘 변형해석결과는 고전적인 선형 순수굽힘 변형해석결과와 비교되었다. 고전적인 선형굽힘 결과와는 다르게 비선형 순수굽힘 상태에서는 반경방향응력은 영이 아니며 또한 각방향응력도 선형 상태가 아닌 것으로 규명되었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Effect of Environments on Strain Hardening

  • Lee, Byoung-Whi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1
    • /
    • pp.21-31
    • /
    • 1971
  • The part of the work of plastic deformation of metal goes into the changes in the total surface free energy. This contribution is dependent on the specific surface free energy, which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Based on thermodynamical approach, volume constancy requirement and adsorption induced two distinct dislocation interaction mechanisms for strengthening or weakening of metals at surface, theoretical derivation has been made to show that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 on the strain hardening, the stress and the energy required for plastic de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solid surface tension in vacuum (${\gamma}$$_{s}$), interfacial tension (${\gamma}$$_{se}$ ), surface dislocation density ($\rho$$_{s}$), internal dislocation density ($\rho$$_{i}$) and fraction of surface site uncoverage (f). On the basis of theoretical derivation, the various mechanical behaviours under different environments are predicted.d.d.

  • PDF

Evaluation of Fatigue Characteristics of Rubber for Tire Using Strain Energy Density (변형률에너지밀도를 이용한 타이어용 고무의 피로 특성 평가)

  • Ahn, Sang-Soo;Kim, Seong-Rae;Park, Han-Seok;Kang, Yong-Gu;Koo, Jae-Mean;Seok, Chang-S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0
    • /
    • pp.1163-1169
    • /
    • 2012
  • Rubber, a hyperelastic material, is the main material used in tires. During the operation of a car, the tire receives various types of loads. The accumulation of strain energy due to such loads induces tire failure. Generally, because rubber materials used for tires have stress softening characteristics, unlike metals, test methods used for metals cannot be applied to rubber. Therefore,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fatigue properties of two types of specimens that have different material components, a tensile test and a fatigue test according to the extended strain range dissimilar to ASTM D4482 are performed, and fatigue life equa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 test results.

Crashworthy behaviour of cellular polymer under constant impact energy (동일 충격 에너지 조건하에서 다공질 고분자의 충격거동에 관한 연구)

  • Jeong, Kwang-Young;Cheon, Seong-Sik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4
    • /
    • pp.27-32
    • /
    • 2009
  • Characterisation of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as well as crashworthiness of cellular polymer was investigated under constant impact energy with different velocities, considering inertia and strain rate effects simultaneously during the impact testing. Quasi-static and impact tests were carried out for two different density (64 $kg/m^3$, 89 $kg/m^3$) cellular polymer specimens. Also, the equations, coupled with the Sherwood-Frost model and the Impulse-Momentum theory, were employed to build the constitutive relation of the cellular polymer. The nominal stress-strain curves obtained from the constitutive relation were compared with results from impact tests and showed to be in good agre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