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종

검색결과 1,346건 처리시간 0.025초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50-68
    • /
    • 2000
  •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흰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 PDF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High-Interaction 클라이언트 허니팟 적용방안 연구 (A High-Interaction Client Honeypot on Android Platform)

  • 정현미;손승완;김광석;이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381-386
    • /
    • 2013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새로운 변종 악성코드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보다 빠르고 능동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High-Interaction 클라이언트 허니팟을 적용하였다. 시스템 적용방안을 위하여 전체 흐름을 설계하고 각 세부모듈의 기능을 분석하여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최적화 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PC 환경의 High-Interaction 클라이언트 허니팟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관리 서버와 저장 서버를 분리하여 보다 유연하고 확장된 형태로 설계되었다.

시그너처 패턴기반의 악성코드 탐색도구의 개발 (A Development of Malware Detection Tool based on Signature Patterns)

  • 우종우;하경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7-136
    • /
    • 2005
  • 최근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는 상업용 백신의 지속적인 개발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신은 이미 알려진 악성코드는 효과적으로 탐색이 가능하지만 아무런 정보가 없는 악성코드를 탐색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최근의 악성코드들은 백신의 갱신속도보다 훨씬 빨리 새로운 변종들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백신의 대응이 늦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탐색도구의 설계 및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의 도구는 악성코드의 기능을 분석하여 특정한 시그너처를 추출함으로서 기존의 악성코드들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그 변종들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 PDF

한국 청주지역의 유곡변형충목 및 유곡사상근족충목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원생동물아계 : 내질편모충문: 근족충상강) (A Taxonomic Study of Orders Arcellinida and Gromiida (Protozoa ; Sarcomastigophora ; Rhizopoda) from Ch'ongju Area, Korea)

  • 정완호;최진복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183-204
    • /
    • 1989
  • 1988년 9월부터 1989년 8월까지 청주지역에서 채집한 유각변형충 및 유각사상근족충류를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동정하고 이를 재기재하였다. 동정된 5과 19종 1변종 중에서 Arcella gibbosa Penard, A. polypora Rhumbler, Nebela tuberculata(Wallich), Difflugia acuminata var. inflata Penard, D.crassa Cash and Hopkinson, D.curvicaulis Penard, D.elegans Penard, D. lithophila Penard, Pontigulasia compressa(Carter), P. vas(Leidy), Eugly-pha scutigera Penard 등 12종 1변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이다.

  • PDF

Erebus 랜섬웨어에 대한 암호학적 분석 연구 (Study on Cryptographic Analysis of Erebus Ransomware)

  • 김소람;김지훈;박명서;김대운;김종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339-346
    • /
    • 2018
  • 랜섬웨어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프로그램이다. 전 세계적으로 랜섬웨어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 공공기관,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타깃형 공격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랜섬웨어가 서비스화 되어 유포되기 때문에 하나의 랜섬웨어가 발견되면 이후에 해당 랜섬웨어와 유사한 변종이 많이 발견된다. 이에 따라 랜섬웨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해당 랜섬웨어뿐만 아니라 변종 랜섬웨어 복호화 방안 모색에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7년 6월에 발견된 Erebus 랜섬웨어에 대해 암호학적 요소와 암호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암호학적 취약점 및 메모리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플래시 TAG Frequency를 이용한 악성 플래시 탐지 기술 (Flash Malware Detection Method by Using Flash Tag Frequency)

  • 정욱현;김상원;최상용;노봉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5
  • 다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에 존재하는 원격권한 획득이 가능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플래시 플레이어는 브라우저, 오피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되고 있어,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ActionScript에 대한 사전 분석된 특성을 이용해 탐지하기 때문에 신종/변종 탐지에 한계가 있다. 한계점의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전 분석된 특성을 사용하지 않고 플래시의 Tag빈도를 기계학습을 적용해 악성/정상 플래시에 대한 분류방법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신종/변종 악성 플래시를 효과적으로 탐지 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 PDF

시간지연 신경망을 이용한 침입탐지 시스템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Time Delay Neural Networks)

  • 강흥식;강병두;정성윤;김상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778-787
    • /
    • 2003
  • 기존의 규칙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사후처리식 규칙 추가로 인하여 새로운 변종의 공격을 탐지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기반 시스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간지연 신경망(Time Delay Neural Network; 이하 TDNN) 침입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네트워크상의 패킷은 바이트 단위를 하나의 픽셀로 하는 0에서 255사이 값으로 이루어진 그레이 이미 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속된 패킷이미지를 시간지연신경망의 학습패턴으로 사용한다. 정상적인 흐름과 비정상적인 흐름에 대한 패킷이미지를 학습하여 두 가지 클래스에 대한 신경망 분류기를 구현한다 개발하는 침입탐지 시스템은 알려진 다양한 침입유형뿐만 아니라, 새로운 변종에 대해서도 분류기의 유연한 반응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 PDF

Cimicifuga foetida L. Complex 및 근연종(미나리아재비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Cimicifuga foefida L Complex and Related Species (Ranunculaceae))

  • 박종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11-12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C. foetida complex 및 그 근연종들에서 나타나는 형태 변이 양상을 수리분류학적으로 분석하여, 각 분류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한계 및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 complex 및 근연종들의 주요 식별형질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C. foetida에 기재되어 있는 종하위 분류군들은 C. foetida var. foetida, C. foetida var. micrantha 및 C. foetida var. velutina의 3변종으로 정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C. brachycarpa, C. frigida, C. heracleifolia, C. yunnanensis는 각각 독립된 종으로 인식하는 것이 합당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C. heracleifolia는 주로 잎의 형태 및 털의 특징에 의해 var. heracleifolia 및 var. bifida의 2변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 mairei 및 C. foetida var. foliolosa는 C. foetida var. velutina와, C. foetida var. longbracteata 및 C. foetida var. bifida는 C. frigida와 각각 동일한 분류군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