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조 인식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3초

SDR 플랫폼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무선 자동 변조 분류 기술 연구 (A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 Method on SDR Platforms)

  • 장정익;최재혁;윤영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568-576
    • /
    • 2022
  • 무선 신호 인식 및 자동 변조 분류(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 기술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단일 단말에서 유연하게 이용 가능한 SDR(Software Defined Radio) 플랫폼의 핵심 요소 기술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학습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정확도가 향상된 여러 가지 자동 변조 분류 모델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모델에 입력되는 무선 신호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에 초점을 맞추고 길이가 가변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DR의 개방형 플랫폼의 요소 기술로써 임의의 무선 신호의 길이에 대해 변조 분류가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입력 크기에 대해 학습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기반의 주 모델(main model)과 하위 모델(small model)로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나머지 구간의 길이로 수신된 신호에 대해서는 자기 복제 패딩 기법으로 입력 샘플을 증강시켜 변조 분류를 수행한다. 분류 성능 정확도 및 계산 복잡도의 비교분석을 위한 RadioML 2018.01A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모든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영역에서 기존 방식보다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낮은 연산량을 필요함을 보였다.

손끝 움직임 인식과 질감 표현이 가능한 촉각정보 입출력장치 (Tactile Transceiver for Fingertip Motion Recognition and Texture Generation)

  • 윤세찬;조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6호
    • /
    • pp.545-550
    • /
    • 2013
  • 본 논문은 정전기력을 이용한 마찰력 변조를 이용하여 손끝을 통한 촉각정보의 입출력을 동시 구현하는 소자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촉각소자들이 촉각정보의 입력 및 출력을 개별적으로 구현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손끝의 수직/수평 방향 동작 인식과 질감 구현을 동시에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실험분석을 통해 검증한 손끝 동작 인식기능은 수직방향의 클릭의 경우 0.146nF/$40{\mu}m$, 수평방향의 경우 0.09nF/$750{\mu}m$의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인식 가능하였으며, 질감 구현의 경우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마찰력을 32~152mN의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류전압을 이용한 수평적 진동은 60V, 3Hz에서 최대 128.1mN의 마찰력 변조를 구현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 대비 32% 향상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손끝에서 정보의 입출력을 동시 구현하여 정보기기의 촉각인터페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차원 바코드와 위.변조 방지 시스템 (Forgery Protection System and 2D Bar-code inserted Watermark)

  • 이상경;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825-830
    • /
    • 2010
  • 일반적으로 인쇄 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위해 복사방지마크와 이차원 바코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차원 바코드는 복사 방지 마크와 분리 배치되어 있어 사본 구별이 시각적으로 힘들고, 스캐너로만 인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차원 바코드에 워터마크를 삽입해 시각뿐만 아니라 스캐너로 정확하게 구분 할 수 있는 위변조방지기술에 대해 연구했다. 복사 방지마크는 디지털 입출력 장치의 저주파 필터 특성으로 인해 특정 패턴이 소실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이용해 패턴으로 만들었다. 원본과 사본을 스캔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분석을 통해 성능검증을 했다. 그리고 이차원 바코드를 웹캠이나 핸드폰 카메라로 인식한 인증키로 온라인 서버에 접속해 내용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스마트빌딩용 디지털 IoT 도어락 시스템의 다중접속 능력 (Multiple Access Capability of Digital IoT Doorlock System for Smart Building)

  • 이선의;선영규;심이삭;황유민;윤성훈;차재상;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9-105
    • /
    • 2018
  • 본 논문은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의 컬러그리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접속 방식을 제안한다. 컬러그리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도어락으로 접근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증하기 위하여 가시광 신호를 다중으로 접속하는 방법이다.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여 가시광 다중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심벌 에너지 간격을 최대한 넓게 해야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시광 컬러그리드 기반 심벌을 모듈레이션하여 가시광 채널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다. 다중 접속 사용자의 수를 인식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변조신호의 실제 채널 실험 결과를 보인다.

유리창의 레이저 탐지음에 대한 음성명료도 분석 (Speech Intelligibility Analysis on the Laser Detected Sound of the Glass Windows)

  • 김석현;이현우;김희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7-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두께의 유리창을 대상으로 레이저 원격 도청 가능성을 검토한다. MLS 신호음을 사용하여 유리창을 진동시키고 레이저 도플러센서로 진동음을 탐지한다. 탐지된 진동음으로부터 음성정보의 인식 수준인 음성명료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평가에는 변조전송함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음성전송지수를 사용한다. 또한, 외부 스피커와 유리창 교란기로 각각 교란파를 발생시켜, 배경소음과 도청방지기의 음성명료도에 대한 교란효과를 평가한다. 다양한 두께의 유리창을 대상으로 레이저 원격 도청음의 음성인식 수준과 국산 도청 방지장치의 도청방지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Two-pupil 광학 스캐닝 기술과 PAL-공간변조기를 이용한 패턴 인식 (Pattern Recognition using Two-Pupil Optical Scanning Technique and PAL-Spatial Light Modulator)

  • 도규봉;김관인;김명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59-665
    • /
    • 2008
  • 본 논문에서 우리는 PAL-공간변조기를 사용한 Two-pupil 광학 스캐닝 기술에 의하여 실시간 JTC 상관 광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광학적 addressing(Optical addressing)은 빛에 민감한 $\alpha$-Si 층, 즉 액체 크리스털을 따라 전기장을 조절하는 얍은 층에 의하여 성취되었다. 제안된 기술은 광학적 Twin-pupil 헤테로다인 스캐닝(heterodyne scanning)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기법은 Fourier 평면에 위치한 광 공간변조기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는 본 기술의 이론적 근거를 개발하고 목표이미지와 참조이미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함으로서 본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공간 위치 변조에 의한 한글자소의 필터링 (On the Filtering of Hangul character Element with the Spatial Positioning Modulation)

  • 강대수;진용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029-1039
    • /
    • 1992
  • 본 논문은 한글인식 방법중 주파수 변환영역에서 행하는 필터링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한글 문자패턴을 2차원 변조처리하여 공간위치에 의존적인 한글자소의 위상문자적 특징을 주파수 영역으로 사상하였고, 이때 변조 주파수를 정규화함으로서 주파수 영역에서 문자의 크기를 정규화 한다. 또한 한글의 각 자소를 발생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표준패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자소의 표준패턴을 자소필터로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사상된 문자패턴을 필터링하였다. 한글자소의 분별 파라미터로는 정규화된 상호상관함수와 필터링 결과로 부터 유도된 코히어런스 함수를 산출하여 분별기준을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문자크기의 변화, 자소의 융착, 제한적인 자획의 유실이나 잡음의 혼입등의 요인이 발생하였음 경우에도 한글자소의 분별이 가능하였고 또한 표준패턴을 설정함에 따라 숫자, 영문자등의 분별에도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HOS와 WT을 이용한 디지털 변조형태 인식 (Digital Modulation Types Recognition using HOS and WT in Multipath Fading Environments)

  • 박철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5호
    • /
    • pp.102-109
    • /
    • 2008
  • 본 논문은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조건에서 사전 정보없이 입사하는 디지털 신호 10종의 변조형태를 고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차 통계량(HOS)과 웨이브릿 변환(WT)에서 선정된 특징(key features)을 이용한 견실한 하이브리드 분류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류기는 실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다양한 다중경로 환경(즉, 농촌, 소도시, 도심지역)에서 측정된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실제 측정된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Holdout-like 방식으로 총 15개 채널 중 9개 채널은 트레이닝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6개 채널은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분류기는 다중경로 환경에서 높은 변별력을 유지하는 HOS 특징을 기반으로 구현되었고, AMA(Alphabet Matched Algorithm) 또는 MMA(Multi-modulus Algerian)와 같은 등화기법의 적용없이 분류가 어렵다고 알려진 MQAM신호(M=16, 64, 256)들에 대해서만 WT 특징을 적용하였다. 선정된 특징들을 이용한 변조인식은 입력공간에서 최대 마진을 갖는 하이퍼 공간으로 매핑시킴으로서 분류 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SVM 메소드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제안된 분류기의 성능은 트레이닝 채널과 테스트 채널에서 WT 또는 HOS 특징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분류기에 비해 현저한 성능 향상을 보였고, 특히, MQAM 신호의 인식률은 낮은 SNR레벨에서도 거의 완전하게 분류되었다.

무선 센서노드용 동적 기준전압 방식의 복조회로 설계 및 구현 (Dynamic Reference Voltage Demodulation Circuit for Wireless Sensor Node)

  • 김종홍;황지훈;노형환;오하령;성영락;박준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57_1558
    • /
    • 2009
  • 다양한 환경에서 무선 센서노드 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해당 시스템의 통신 방식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통신 방식 중 진폭 변조 방식을 사용한 통신방식에서의 복조회로를 제안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복조를 위해 동적 기준전압 방식의 복조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저전압 입력 시에도 복조가 가능하게 하여 센서노드의 인식거리를 확대했다. 또한 제안된 회로를 시스템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 진폭변조신호의 복조가 가능한지 검증함으로써 센서노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 PDF

900MHz 대역 RFID 수동형 태그 전치부 설계 (900MHz RFID Passive Tag Frontend Design)

  • 박경태;김종철;노형환;박준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Techno-Fair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09-11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900MHz RFID 수동형 태그 전치부를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제거 구조의 전압 체배기, 전류를 이용한 복조 회로로 설계되었으며 파워다운 회로를 추가하여 정류동작의 안정성에 중점을 두었다.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이용한 변조기를 구조로 입력단에 용량성 임피던스의 변화로 변조 동작을 검증하였다. 삼성 0.18um 공정을 이용하였고, 인식거리는 15m, 평균 소모 전력은 약 60uW이며, 패드를 포함한 칩 사이즈는 $1.22mm^2$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