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이원성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45초

조리 조건을 달리한 가열조리된 육류(돼지고기)의 변이원성 검색과 제어에 관한 연구 (The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for cooked pork meats according to cooking conditions)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16-722
    • /
    • 2002
  • 조리조건을 달리하여 가열조리된 육류에서 형성된 단백질의 열분해 산물의 발암성을 검색하고 이의 제어방법을 검토하여 보다 안전한 조리법을 확립하고자 육류 중 돼지고기를 가스그릴(GG)과 전기그릴(EG) 및 전자렌지(MW)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조리 한 후 이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변이원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in vitro), micronucleus test(in vivo)를 실행하여 검색하였다. 또한 가열조리 중 생성되는 변이원성을 제어하고자 항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채소즙과 녹차 추출물을 시료로 침지후 조리하여 이의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가열 조리한 시료의 농도별(0.5, 2.5, 5.0, 10.0 mg/plate) 변이원성은 농도의존성을 나타내었고, 시료농도 5 mg/$m\ell$/plate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시료의 조리온도가 상승할수록 변이원성이 증가하여 조리온도 의존성을 알 수 있었고 S-9 mixture 첨가시 변이원성이 2-4배 정도 증가하여 간접 돌연변이원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육류의 종류별 변이원성은 돼지고기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변이원성을 보였고 닭고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를 채소즙 및 녹차즙에 침지후 GG, EG로 조리하였을 때 생강>양배추>무즙의 순으로 생강즙에 침지한 시료에서 변이원성이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돌연변이원 생성 억제 효과가 높았던 시료를 이용하여 Micronucleus test를 한 결과 생강즙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소핵 형성률을 나타내어 생강이 소핵 형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용적인 면에서는 생강즙은 물과 동량인 경우 냄새가 너무 강하여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양배추나 무즙을 이용한다면 고온 가열 조리시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접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 송근섭;안병용;이갑상;맹일경;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88-1294
    • /
    • 1997
  • 항돌연변이원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AFB_1$,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95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를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익모초와 지실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건부자 외 7종이었다. 두 종류의 변이원 모두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낸 생약재는 시호, 현호색, 천마, 강활, 반하, 지실, 행인 및 숙지황이었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계피 외 45종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연자육과 감국이었다.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은 $AFB_1$으로 유도된 변이원성을 대부분 증가시켰으나 B(a)P의 변이원성은 증가시키지 않았다. 두 종류의 변이원성을 모두 뚜렷하게 증가시킨 생약재(감국, 계피, 향부자, 삼백피, 패장, 관동화, 적하수오, 측백옆)의 열수 추출물 그 자체는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변이원성 유발을 도와주는 보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 Ames test에서도 강활, 정향, 황금을 제외한 생약제에서 SOS Chromotest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 PDF

어류의 가열조리 및 보존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원성 물질의 정량적 해석과 제어법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he mutagenicity for fishes accordind to cookery and storage)

  • 홍이진;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52-662
    • /
    • 2000
  • 섭취 빈도가 높은 어류중 붉은 살 생선인 고등어(Mackerel), 삼치(Saury pike), 방어(Yellowtail), 연어(Salmon), 흰 살 생선인 조기 및 염장조기(Croaker, Salted Croaker), 및 갈치(Trichiurus)를 시료로 하여 , 가스그릴, 전기그릴과 microwave oven으로 가열 조리한 후 일정기간 동안 냉장 및 냉동 보존한 시료와 보존한 시료를 microwave로 재가열하였을 때 변이원성을 in vitro test로 Ames/salmonella assay를, in vivo test 로 Micronucleous test를 실시하여 검색하고, 그 제어방법으로 항암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즙으로 전처리하여 돌연변이 억제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도를 측정하여 변이원 생성과 과산화 지질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어류의 가열조리에 의해 대조군(생시료)보다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 생성된 변이원은 모두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 mg/plate인 농도구간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조리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경우 무첨가시보다 2-4 배정도 돌연변이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조리기기에 따른 복귀 돌연변이 균수는 가스그릴과 전기그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MW에서 조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생선 종류별 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흰살 생선이 붉은 살 생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붉은 살 생선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어가 약간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흰살 생선중에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염장조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5.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후 가열조리을 한 시료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변이원성이 억제되었으며, 녹차>생강>무순으로 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6. 저장에 의해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냉장 저장시 저장 3일째부터, 냉동저장시에는 저장 7일째부터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냉동저장보다 냉장저장시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MW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변이원성이 증가되었다. 7. Micronucleus test 결과, 조리온도가 증가할수록 골수 소핵 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채소즙 처리군의경우 생강>녹차>무순으로 골수 소핵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8. 조리, 재가열 및 저장 조건에 따른 산패도(TB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고 냉장 저장시료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유의 적으로 산패도가 증가되었으며 냉동 저장 시료의 경우에 는 저장 7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다. 냉장저장 시료가 냉동저장 시료보다 더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으며, microwave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산패도가 증가되었다. 9.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한 고등어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DA)측정 결과는 양파>녹차>생강>양배추 순으로 양파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전기그릴 26$0^{\circ}C$에서 조리한 시료의 냉장저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냉장 저장했을 때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재가열했을 경우 0.98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역시 0.92를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재가열했을 경우에는 0.89로 오히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가열조리한 돼지고기의 저장${\cdot}$Microwave 재가열에 의한 변이원성과 지질과산화 및 육조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utagenicity, Lipids Peroxidation and Meat Structure of Cooked Pork in Relation to Storage and Reheating using a Microwave Oven)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43-649
    • /
    • 2004
  • 돼지고기를 전기그릴($EG;\;260^{\circ}C$, 5분) 및 전자렌지(MW, 6분)를 이용하여 조리 한 후 일정기간 냉장(0-14일), 냉동(0-90일) 보존한 시료와 이를 MW(1 min)로 재가열한 시료의 변이원성, 지질과 산화도(TBA), 및 육조직(SEM)을 연구하였다. S9 mix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 및 냉동 저장 기간에 따른 변이원성 유발 정도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변이원성이 증가하였고,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때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어 간접변이원이 더 많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MW 재가열 처리 시는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MW(6 min)로 조리했을 때 EG로 조리한 것보다 변이원 유발 가능성 면에서 보다 안전하다고 할수 있으나 냉동저장하고 재가열시는 변이원성 유발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사료된다.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냉장 저장시 r=0.85, 냉동 저장 시 r=0.86이었고, MW 재가열하였을 때 냉장 저장 시 r=0.98, 냉동 저장 시 r=0.83으로 냉장 저장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EM을 이용하여 육조직을 관찰한 결과 MW로 조리한 시료 및 MW로 재가열한 시료에서 더 많은 수증기 통로가 관찰되었다.

변이원성 Heterocyclic Amine에 대한 Maillard 반응생성물의 변이원성 억제효과 (Desmutagenic Effects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against Mutagenic Heterocyclic Amines)

  • 김선봉;박영호;조뢰문효;가등박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5
    • /
    • 1986
  • D-glucose-glycine계로 부터 조제한 Maillard 반응생성물을 한외여과로 각 분자량별로 분획(분자량 1,000이하, $1,000{\sim}5,000$, 5,000이상)하고, 투석에 의하여 비투석성 melanoidin을, 오존처리에 의하여 오존처리 melanoidin을 각각 얻었다. 이들 각 시료를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가열분해 유래의 변이원성 물질인 TrP-P-1, TrP-P-2, Glu-P-1, Glu-P-2 및 IQ에 각각 작용($37^{\circ}C$, 30분) 시켜서, 변이원성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Maillard반응생성물의 변이원성억제효과는 반응생성물의 분자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다. Maillard 반응생성물의 환원력 및 항산화력 또한 분자량이 큰 획분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Sodium borohydride로 melanoidin을 환원시켰을 때, melanoidin의 변이원성억제효과 및 환원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Trp-P-1의 일부가 melanoidin 분자중에 흡착되는 것이 밝혀졌고, 카르 보닐화합물(diacetyl 및 glyceraldehyde)로 이들 변이원성물질의 아미노기를 수식함으로써 변이원성물질의 변이원활성이 크게 저하하였다. 따라서, Maillard 반응생성물 즉 melanoidin의 변이원성억제효과는 melanoidin의 환원력 및 항산화능을 비롯하여 정전기적인 흡착 및 melanoidin 분자중의 카르보닐기에 기인한다고 추찰된다.

  • PD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assia tora L. on the Mutageni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in E. coli PQ37)

  • 안병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49
    • /
    • 2009
  • 4-nitroquinoline 1-oxide (4-NQO)와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MNNG)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E. coli PQ37 이용한 SOS Chromotest법으로 검색하였다. $100{\mu}g$/assay 농도에서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변이원성 억제 효과는 27.5 및 40%로 나타났다. 결명자 물 추출물을 메탄을 가용성 부분과 메탄을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메탄을 가용성 부분이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결명자 메탄을 가용성 부분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그리고 물로 각각 분획하여, 4-NQO 및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물 분획물은 각각 19.0, 및 23.0% 억제효과로 가장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4-NQO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명자 열수추출물의 메탄을 가용성부분의 물 분획물의 농도를 assay당 1.0, 10, 100 및 $250{\mu}g$으로 증가시켰을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는 각각 8.0%, 12.0%, 25.5%및 43.0%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결명자 물 분획물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 의존적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SOS Chromotest에서 숙지황 물 추출물의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 (Bio-antimutagenic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in SOS Chromotest)

  • 안병용;이갑상;맹일경;송근섭;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9-445
    • /
    • 1998
  • 숙지황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4-nitroquinoline 1-oxide (4-NQO),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mitomycin C (MMC), $aflatoxin\;B_1\;(AFB_1)$, benzo(a)pyrene [B(a)P]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SOS Chromotest로 조사하였다. 숙지황 물 추출물을 메탄올 가용성 부분과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시험한 결과 5종의 변이원의 활성에 대하여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불용성 분획 보다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 순으로 순차용매 분리하였고 그 분획물 중, 물 분획이 5종 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가장 강한 억제효과$(4.5{\sim}29.5%)$를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AFB_1$의 변이원성을 촉진하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물 분획을 정제하여 9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 중 fraction III가 시험한 5종의 변이원으로 각각 유도된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반응의 억제효과와 함께 가장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400\;{\mu}g/assay$ 농도의 Fraction III는 4-NQO, MNNG, MMC, AFB1 및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각각 29, 35, 38, 25, 24%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Fraction III는 4-NQO, AFB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40% 이상의 강한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 PDF

돼지 췌장 유래 엘라스타제의 변이원성 시험

  • 조영우;백남기;안병욱;이상득;박충일;김원배;양중익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2
    • /
    • 1990
  • 돼지 췌장 유래 엘라스타제의 돌연변이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유동물 세포를 이용한 돌연변이 시험과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타아제에 의하여 CHO-K1-BH4 cell이 6-thioguanine에 대해 내성을 가지게 되는 변이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엘라스타아제의 농도 증가 (0-30mg/ml)에 따른 변이빈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변이빈도도 음성대조군 변이빈도 치의 2배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는 엘라스타아제를 1250, 2500 그리고 5000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1회 경구 투여 하였으며 양성대조군과 음성대조군에는 각각 mitomycin C 2mg/kg, 10skim milk 20ml/kg 을 각각 복강내와 경구로 투여하였다. 시험결과 엘라스타제 투여군의 소핵 출현빈도는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엘라스탄제는 이 시험계들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유전자 조작된 대장균이 생산한 알파 인터페론(rHu IFN-$\alpha$A)의 변이원성에 대한 연구

  • 조남진;정인환;김제학;김현수;유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0.2-520
    • /
    • 1986
  • Ames test와 포유동물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통하여 유전자 조작된 대장균이 생산한 알파 인터페론의 변이원성 유무를 조사하였다. rHu IFN-$\alpha$ A는 S. typhimurium (TA 1535, TA 1537, TA 1538, TA 98, TA 100) 에 30, 3000, 30,000 IU/plate의 농도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rat(Sprague-Dawley)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생체내 염색체 이상시험을 실시하여 양성대조군인 nitroso-guanidine과 rHu IFN-$\alpha$A 각각에 대한 염색체 구조 이상의 출현율을 조사하였다.

  • PDF

부재료 첨가에 따른 찌개의 항변이원성 검색 (The Study of Anti-mutagenic Activity of Various Additive Materials on Pot-stew)

  • 최은미;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5-481
    • /
    • 1998
  • 돼지고기와 챔을 이용한 찌개에서 생성되는 돌연변 이원성과 김치 , 표고버섯, 파, 마늘이 부재료로 첨가되었을 때의 억제효과를 검토하고 국산햄과 외국산챌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변이원으로 4-NQO, Trp-p-1을 사용하여 염기치환형 변이균주인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1. 0.025-0.02 g/Plate 농도에서, 김치는 가열했을때 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4-NQO, Trp-p-1의 변미원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햄과 돼지고기는 가열시 변이원이 자체적으로 생성되었고 돼지고기 0.02 g/plate 농도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어 육가공품에 첨가된 아질산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2.가열된 돼지고기와 햄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대체로 김치 첨가시 억제효과가 가장 컸고, 표고버섯 한가지보다는 표고버섯에 파 ,마늘을 함께 첨가했을때 억제효과가 더 컸다. 3. 외국산햄은 국산햄과 달리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가 더 많이 첨가되어 있어 0.02g/plate 농도에서 가열에 의해 변이원이 생성되지 않았고 변이원 존재 시 국산햄보다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