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색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39초

박막형 전기변색 소자 특성 연구

  • 황도연;박성은;박재성;김삼수;김헌곤;노재승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6.2-266.2
    • /
    • 2014
  • 박막형 전기변색 소자의 특성파악을 위하여, 투명전극층으로 ITO를 이용하였으며, 가장 우수한 전기변색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WO_3$를 DC magnetron sputtering방식을 이용하여 증착하였으며, 무기전해질층은 E-beam evaporation 방식으로 증착하고, 이온저장층을 제외한 박막형 전기변색 소자 구조를 제작하여 전기변색층의 증착조건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증착온도와 혼합gas의 분합비 등의 조건의 변화를 통한 박막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XRD, SEM, TEM, Transmission Measurement 등을 이용하여 박막 분석을 하였다. ITO층의 저항에 따른 변색효율을 확인하였으며, $WO_3$층의 산소분합비에 따른 투과율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온저장층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박막형 전기변색 소자의 투과율변화가 가시광선 영역에서 45%의 변색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Tantalum Oxide를 활용한 스마트 윈도우용 전기변색 디바이스 특성

  • 박재성;서창택;이동익;신한재;황도연;이정환;박성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6-496
    • /
    • 2013
  • 스마트윈도우는 디스플레이, 산업용 외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전기변색을 이용한 디바이스는 나노코팅 기술을 통한 나노입자 및 나노가공제어 등 나노융합기술을 접목할 수 있다. 전기변색 디바이스는유리 또는 필름 기판소재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전기변색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재료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을 증착하여 기존 라미네이터 및 Sol-Gel방식의 전해질보다 열화현상에의한 성능저하를 막아주는 박막전해질 코팅 연구이다. 전기변색 소자는 외부 인가 전압(external voltage)에 의해 유도된 전하의 주입(injection) 과 추출(extraction)을 통하여 그 광학적 특성(optical property)을 가역적으로(reversibly) 변 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기변색소재의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대표적인 환원착색 물질인 전기변색층(WO, MoO, Nb2O5 등)으로 Li+ 또는 H+과 전자가 주입되면 전기변색되고 방출 시는 투명하게 되며, 반대로산화착색 물질인(V2O5, NiO, IrO, MnO 등)으로 Li+ 또는 H+과 전자가 방출되면 변색되고 주입되면 투명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가 주입되는 환원착색물질인 WO와 함께 Ta2O5박막을 증착하여 광학적특성을 연구하고 박막의 두께 및 전압인가에따른 변색 및 응답속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변색김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Extraction of Porphyran from Decolored Laver)

  • 김선재;문지숙;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7-1021
    • /
    • 2003
  • 건조김과 변색김의 탄수화물과 지방 및 회분함량은 거의 동일한 함량을 나타냈으나 단백질함량은 건조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김의 chlorophyll과 carotenoids 색소는 95% 에탄올 농도에서 그 추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변색김 보다 건조김에서 그 함량이 총 chlorophyll은 1.5배, 총 carotenoids는 10배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의 비타민 C 함량은 건조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를 나타내, 건조김이 변색 김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은 건조김이 15.6%, 변색김이 15.2%를 나타내 거의 동일한 함량이 존재하였다. Crude porphyran의 함량은 건조김이 12.5%, 변색김이 12.3%를 나타내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crude porphyran의 추출율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crude porphyran의 총당 함량은 건조김 porphyran이 64.5%, 변색김 porphyran은 63.7%를 나타내어 각각의 crude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다. 황산기 함량은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이 건조김 porphyran은 17.6%, 변색김은 16.9%을 나타내었고, 3,6-anhydrogalactose은 건조김 porphyran이 18.8%, 변색김 porphyran이 18.1%를 나타내어 거의 같은 수준의 화학조성을 갖고 있어 변색김으로부터도 포피란의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한 전기변색 박막의 물성평가 (Investigation of electrochromism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 조상현;이재근;이성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5
    • /
    • 2015
  • 전기변색 (electrochromism) 박막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과정을 통해 가역적인 광학 특성의 변화를 갖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 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력 소모가 적고 변색 효율이 크다는 장점으로 인해 Smart window, display, mirror 등에 응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기 변색 물질인 WxOy, NixOy 전기 변색 재료의 Sputtering법으로 증착한 박막의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 PDF

고속 전기변색 소자의 구동 방법에 대한 연구 (Driving mechanism of high speed electrochromic devices by using patterned array)

  • 김태엽;김한나;조성목;아칠성;류호준;김주연;김용해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0.1-210.1
    • /
    • 2016
  • 전기변색 소자는 가시광선의 투과도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메모리특성 이라는 독특한 특성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변색 소자는 전기변색 물질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 투명 디스플레이 그리고 자동차용 룸 밀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변색 속도와 안전성 (durability)를 가지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4 Hz (125 ms)구동 속도에서 약 30,000 cycles 구동에도안정적으로 작동하며 투과도 변화폭은 약 50% 이다.

  • PDF

차세대 다기능 전기변색 소자 (Next-Generation Multifunctional Electrochromic Devices)

  • 윤태용;문홍철
    • 공업화학전망
    • /
    • 제23권2호
    • /
    • pp.12-22
    • /
    • 2020
  • 전기변색 물질은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흡수도나 투과도 같은 광학적 물성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전기변색 물질에 기반한 전기변색 소자는 높은 투과도 변화, 낮은 구동 전압, 간단한 소자 구조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투명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기변색 소자에 변색 특성 이외에 유연성 및 에너지 저장성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전기변색 소자의 기본적인 구동 원리 및 다기능 개발 동향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Flexible 기판 위의 전고상 전기변색 소자 제작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s on flexible substrate)

  • 나윤채;심희상;조인화;성영은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29-129
    • /
    • 2003
  •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과정을 통해 가역적인 광학특성의 변화를 갖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력 소모가 적고 변색효율이 크다는 장점으로 인해 smart window, display, mirror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는 구조상 투명 기판, 투명 전도체, 환원 착색 물질 (cathodic coloration material), 산화 착색 물질(anodic coloration material), 그리고 투명 이온 전도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으로는 열적 안정성이 좋은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window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소자를 제작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 PDF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서 변재변색 발생 (Development of Fungal Sapstain in Logs of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 김규혁;김재진;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28-133
    • /
    • 2002
  • 본 연구는 동절기(1월 중순)에 벌채된 후 목재집하장으로 운반되어 야적장에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을 대상으로 변재변색의 발생시기와 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벌채 후 3, 4, 5, 6, 8개월 경과시 변색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매 평가시 원목 3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원목당 수축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7~9개의 두께 3 cm 원판을 채취하여 변색 원인균을 분리한 후 변재변색의 방사방향 최대 침투깊이와 % 변색율을 측정하였다. 변재변색은 전적으로 충형변색이었으며, 주요 변색원인균인 Ophiostomatoid 균을 매개하는 수피천공충은 소나무좀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은 5월 이전까지는 변재변색의 위험없이 저목할 수 있으나 5월 이후부터는 원목의 변재변색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변색의 정도는 소나무보다 잣나무에서 심하였으며, 장마철 저목 중에 소나무 원목에서 개떡버섯과 치마버섯의 자실체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앞으로 동절기에 벌채되어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 발생하는 변재변색을 예방하기 위한 제반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청변목재의 추출물함량 변화와 펄프화특성 (Changes in Extractives of Blue Stained Woods and Its Pulping)

  • 조남석;이종규;정선화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
    • /
    • 2003
  • 변색목재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처리전.후의 유기용매추출물 함량에 있어서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 공히 노화 및 변색균처리포 그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는바, fatty acids와 sterols 은 3주간 노화처리로 10.6-11.2%, 변색균처리로 36-41.1%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triglycerides도 3주간 노화처리로 5.68-9.4%, 변색균처리로 38.5-40.0%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resin acids의 경우 3주간 노화처리로 6.1-11.3%, 변색균처리로 36-41.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변색목재의 펄프화와 관련하여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의 크라프트펄프화결과, 알칼리펄프화에 비하여 펄프수율이 2-3% 높아졌다. 최적펄프화조건으로 활성알칼리농도 20%에서 펄프수율이 46.9-47.8%, reject율이 3.21-3.52%로 낮았다. 변색균처리한 목재도 활성알칼리 20%에서 펄프수율이 비교적 높은 43.5-45%를, reject율이 1.3-1.45%로서 변색균처리 모두에서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변색된 생활치아의 표백술

  • 이정석;최성근;박동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0권11호통권162호
    • /
    • pp.921-926
    • /
    • 1982
  • 치과의술의 발전과 시회·경제적인 인식의 발달로 심미안이 높아져 치과학 영역에서도 미적개념이 자연적인 것으로 환원하는 추세에 맞춰 치수치료시에 환자가 치료후 변색에 대한 우려를 종종 표시한다. 이러한 변색된 무수치아에 대한 표백술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구강내 생활치아 모두가 전신적인 질환 및 환경요인등에 의하여 변색될 경우의 표백술은 아주 최근에 소개된 데 불구하며 (Cohen, 1970),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Cohen의 보고이후 Arens(1972, 5증례), Corcoran(1974, 6증례), Cohen(1979, 18증례)의 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해 변색된 생활치아의 성공적인 표백술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McInn(1966), Bailey와 Christen(1968), 그리고 Wayman과 Cooley(1981)에 의한 불소중독증에 걸린 변색생활치아의 표백술이 보고되었다. 이에 간편한 생활치아의 표백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