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동요인

Search Result 1,2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미국 재고량이나 OPEC 생산량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국제원유가격 변동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분석-

  • 서성진;허은녕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331-340
    • /
    • 1999
  • 국제원유가격의 변동은 세계 각국의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원유가격의 변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원유가격 변동요인의 정립이 필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원유가격의 중요한 변동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OPEC의 원유생산량과 걸프전쟁 이후 주요한 국제원유가격 변동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OPEC의 원유생산량과 걸프 전쟁 이후 주요한 국제원유가격 변동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의 원유재고량의 영향과 역할을 공적분(Cointegration) 모형과 오차수정모형(Error-Correc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유생산량과 더불어 원유재고량도 원유가격의 중요한 변동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장·단기 탄력성의 경우, 원유생산량의 생산탄력성은 단기에 비해 장기에 더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에는 원유재고량의 변동이 생산량의 변동보다 오히려 원유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유가격은 첫해에서 나타난 불균형을 대략 12%의 조정속도로, 장기균형으로 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국 재고량이냐 OPEC 생산량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국제원유가격 변동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분석 -

  • 서성진;허은녕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33-340
    • /
    • 1999
  • 국제원유가격의 변동은 세계 각국의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원유가격의 변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원유가격 변동요인의 정립이 필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원유가격의 중요한 변동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OPEC의 원유생산량과 걸프전쟁 이후 주요한 국제원유가격 변동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의 원유재고량의 영향과 역할을 공적분(Cointegration) 모형과 오차수정모형(Error-Correc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유생산량과 더불어 원유재고량도 원유가격의 중요한 변동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장·단기 탄력성의 경우, 원유생산량의 생산탄력성은 장기에 비해 단기에 더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원유재고량의 재고탄력성은 단기에 비해 장기에 더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에는 원유재고량의 변동이 생산량의 변동보다 오히려 원유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유가격은 첫해에서 나타난 불균형을 대략 12%의 조정속도로, 장기균형으로 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AADT estimation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using irregular factor decomposition method (불규칙변동 분해 시계열분석 기법을 사용한 AADT 추정)

  • 이승재;백남철;권희정;최대순;도명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65-73
    • /
    • 2001
  • Until recently, we use only weekly and monthly adjustment factors in order to estimate the AADT. By the way. we can suppose that the traffic is time series data related to flow of time. So we tried to analyse traffic patterns using time series analysis and apply them to estimate the AADT. We could divide traffic patterns into trend, cyclic variation, seasonal variation and irregular variation like as time series data. Also, in order to reduce random error components, we have looked for the weather conditions as an influential factor. There are many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falls, but, temperatures, and sunshine hours among others but we selected rainfalls and lowest temperatures. And then, we have estimated the AADT using time series factors. To compare the results of, we have applied both irregular variation joined to weather factors and that not joined to. RMSE and U-test were opted at methods to appreciate results of AADT estimation.

  • PDF

Quantitative separation of discharge impacted by human activities and climate change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변화되는 유량의 정량적 분리)

  • Kim, Sang Ug;Kim, Hyeo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5-165
    • /
    • 2016
  • 장기적인 수자원 계획의 수립이나 수공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수문학적 순환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문학적 순환은 인간활동과 기후변화의 요인으로 인하여 시간 및 공간에 따라 항상 변화되기 때문에 특정지점에서의 유량도 수문학적 순환의 변동으로 인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점에서 취득된 과거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법을 개발하였다. 인간활동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인간활동 유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 증가, 토지이용 변화 등을 들 수 있고, 기후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유량(기후변화 유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온난화로 인한 강수, 기온, 습도 등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한 유량의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측된 자료가 가지고 있는 변동점을 분석하여 변동점 이전 구간을 비영향구간(non-impacted period), 이후 구간을 영향구간(impacted period) 로 나누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이중누가곡선, 선형회귀분석, Mann-Kendall 검정, Pettitt 검정을 이용하였다.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정량적으로 분리함에 있어서는 두 가지 분석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먼저 분석한 이후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반대로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한 이후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산정할 수도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기법을 모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인간활동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비영향구간에 대해 SWAT-CUP을 활용하여 보정된 SWAT 모형을 구축하여 결과의 산정에 활용하였으며,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먼저 산정하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영향구간에 대해 민감도 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Budyko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두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인간활동 및 기후변화 유량변동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비교함에 있어 한강 유역의 소양강댐 상류유역과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과거 관측자료를 취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양강댐 상류유역과 섬강유역의 변화된 유량에 대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의 비율이 높은지 인간활동으로 인한 영향의 비율이 높은지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두 유역에서의 인간활동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된 유량의 변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를 활용하여 수문학적 순환 관계에 있어 앞으로 어떠한 요인이 유량변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미래에 변화하는 유량에 대해 계획하고 수공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는 설계지침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KOSPI 200 Futures, Stock Market Volatility and Market frictions (KOSPI 200 선물거래, 주식시장의 변동성 그리고 시장마찰요인)

  • Kwon, Taek-Ho;Park,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143-1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기업특성변수를 고려하여 KOSPI 200을 구성하는 포함종목에 대응되는 대응 종목을 선정하고 두 집단간의 변동성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KOSPI 200 선물거래가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개별기업의 체계적 위험, 시장가치, 회전율, 주가수준 등의 특성변수들을 통제하였으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환노출의 영향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는 KOSPI 200 선물거래는 현물거래의 제약요인을 줄여주어 현물시장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단기변동성의 증가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선물거래 도입 이후 현물시장의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환위기 이후에 들어서야 변동성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선물거래 도입 이후에 현물시장의 변동성과 자기상관에 나타난 변화는 시장마찰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규제완화가 상당히 이루어진 외환위기 이후에는 포함종목의 변동성이 이전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시장마찰요인에 의한 영향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Fluctuation Factors in Spectrum Valuation (주파수 가치산정의 변동요인 연구)

  • Yeo, Ink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74-477
    • /
    • 2013
  • As the market-based spectrum policy is introduced, an interest in the economic value of the frequency is increasing.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concerning the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frequency and its determinants are actively engaged, which are used for setting a reserve price and bid price of spectrum auction and a spectrum clearance cost. In this study, by the analysis of the spectrum valuation methodology, we derive the chang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valuation and propose to apply improved. In the model frequency value is consist of technical value, commercial value and strategic value, we find the dynamics of fluctuation factors and suggest how to apply them to spectrum policy.

  • PDF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NAFTA 지역 경기변동의 영구적 요인과 일시적 요인)

  • Kim, Jan R.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3
    • /
    • pp.55-76
    • /
    • 2011
  • In this paper, we estimate a model that incorporates key features of business cycles, co-movement among economic variables and switching between regimes of expansion and recession, to aggregate quarterly data for the NAFTA region. Two common factors reflecting the permanent and transitory component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urning points from one regime to the other,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by using the Kalman filter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pproach of Kim (1994). Estimation results confirm that a typical aspect of business cycles are also observed (i.e., recessions are steeper and shorter than recoveries) in the region, and that both co-movement and that regime switching are found to be important features of the business cycle. The two common factors produce sensible representations of the trend and cycle, and the estimated turning points are in line with independently determined chronologies. It also turns out that the degree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 NAFTA region and Kor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AFTA.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Analyzing Factors of Agrifood Price Fluctuation (농식품 가격변동 요인분석을 위한 개체명 인식)

  • Park, Chan;Lee, Kung-S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47-350
    • /
    • 2020
  • 농식품 가격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농식품 가격 변동에 대한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식품 가격 변동의 요인 분석을 위해 인과관계 템플릿을 정의하고, 요약을 위한 개체명 인식 방법을 적용한다. 농식품 일일동향 데이터에 대한 평가에서 딥러닝 기반 BiLSTM-CRF 실험 결과 F1-점수 0.93으로 베이스라인 Bi-LSTM 실험 결과 0.75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동중국해 북부해역 수온, 염분의 분포 변동 특성

  • Jang, Lee-Hyeon;Kim, Sang-U;Go, U-Jin;Geleekko, Yamada;Seo, Yeo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1-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현장관측 수온, 염분자료를 분석하여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계절별 수온, 염분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층의 경우 춘계 수온상승에는 공간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서부해역($125^{\circ}E$ 이서)에서는 32 psu 이하의 저염 분포가 나타나고 제주 남서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저염수가 춘계부터 제주 주변해역으로 확장한다. 하계 표층염분은 $28.0{\sim}32.4$ psu로 연중 최저값은 보이며, 전해역 표층 염분이 33psu 이하로 저염의 양자강 희석수가 하계에 동중국해 북부해역 표층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추계의 표층수온과 염분은 동고서저형의 수평분포를 나타낸다. 수온 하강은 서부해역인 대륙 연안수역이 동부의 대마난류수역에 비해 크고, 서부해역에서 33psu 이하의 설상형 저염분포가 이시기에 남동쪽으로 관입되는 형태로 나타나 동계의 남북방향의 염분전선과 이어지게 된다. 연직해황의 경우 동계 수온과 염분은 활발한 대륙작용에 의해 전수층에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며, 대륙연안수역에서는 저온, 저염($12^{\circ}C$, 33psu 이하)의 분포를, 대마난류수역에서는 고온, 고염($16^{\circ}C$, 34.4psu 이상)분포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구별된다. 춘계에는 수온약층이 형성되며, 저층에는 동계에 형성되어 대륙연안수와 외양수 사이에 고립된 $13^{\circ}C$ 이하의 냉수괴가 분포한다. 염분은 표층 저염화가 시작된다. 하계에는 양자강 유출수의 영향으로 전해역 표층에서는 30psu 이하로 전해역에서 저염화 양상이 나타나며, 표층에서 30m 층까지 매우 강한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추계 수온 엽문은 균일한 연직수온분포가 나타나며, 동부해역에서는 수심 $75{\sim}100m$사이에서 수온, 염분약층이 형성된다. 동중국해의 수괴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이며, 대마난류수역인 동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의 요인으로 계절 수온변동이 지배적이고, 수온변동은 춘계와 하계 사이에 가장 크다. 중앙부와 대륙연안역인 서부해역에서는 수괴 계절변동에 수온외에 염분 변화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염분은 하계와 추계 사이에 가장 변동이 크게 나타난다. 즉, 동중국해의 수괴변동에는 변동요인에 따른 공간적인 차이가 있으며, 수괴변화 특성으로 동중국해는 수온변화가 수괴변동에 직접요인이 되는 동부 대마난류수역과 염분변화가 수괴변동의 직접요인인 서부의 대륙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of Policy Change in Latecomer Nations : Through the case of Korea's renewable energy policy change (후발국의 제도 변화 요인 연구 :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동 사례를 통해)

  • Yoon, Youngchul;Choung, Jae-Y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7 no.2
    • /
    • pp.1-36
    • /
    • 2019
  •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movemen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Korea implemented FIT(Feed in Tariff) in 2002 as part of its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roject. Although the policy had shifted to full-scale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in 2012, policymakers are still seeking changes due to policy ineffectiveness. While previous studies explain sudden policy changes through external factors, recent research sheds light on internal factors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responsible for rapidly changing policies in latecomer nations. In order to find this, we look at the case of transition from the FIT to the RPS in Korea's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polic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Top-Down decision making system of Korea and the external regulatory change cause rapid policy transition. By looking at these variables, we propose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to minimize the policy failure in future policy design and 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