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of Policy Change in Latecomer Nations : Through the case of Korea's renewable energy policy change

후발국의 제도 변화 요인 연구 :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동 사례를 통해

  • 윤영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기획팀) ;
  • 정재용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부)
  • Received : 2018.09.21
  • Accepted : 2019.02.04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movemen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Korea implemented FIT(Feed in Tariff) in 2002 as part of its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roject. Although the policy had shifted to full-scale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in 2012, policymakers are still seeking changes due to policy ineffectiveness. While previous studies explain sudden policy changes through external factors, recent research sheds light on internal factors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responsible for rapidly changing policies in latecomer nations. In order to find this, we look at the case of transition from the FIT to the RPS in Korea's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polic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Top-Down decision making system of Korea and the external regulatory change cause rapid policy transition. By looking at these variables, we propose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to minimize the policy failure in future policy design and evolution.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국제 사회의 대응에 따라, 한국에서도 2002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보급 사업의 일환으로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2012년 의무할당제(RPS)로 전면적인 제도 변동이 이루어졌고, 지금 현재에도 정책의 실효성으로 인한 정책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급격한 변동을 설명하는 요인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정책 과정에서의 외부적 요인을 주로 이야기 하고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정책과정 내부에서의 변동 요인을 찾으려는 움직임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발국에서의 제도가 새로운 제도로 급격하게 변동되는 요인에 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례로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사업에서의 발전차지원제도(FIT)에서 의무할당제(RPS)로의 전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그 결과, 기존 논의에서 외부적 요인으로 정책 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설명한 것과는 달리, 내부적 요인인 의사결정방식(Top-down)과 외부적 요인인 정권변동이 결합하여 정책변동을 일으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동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 설계 및 진화 과정에서의 정책 실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 형성자들에게 유용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민교 (2013). 우리나라의 발전차액지원제도 사례 분석, 한국행정연구, pp 22(1), 1-27. https://doi.org/10.22897/KIPAJN.2013.22.1.001
  2. 구종서 (1996).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한국, 한국정치학회보, 30(2), pp 209-224.
  3. 권기창 (2012). 사회복지 공공전달체계의 변화과정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4. 권오성, 서용석, 허준영 (2012). 역대정부의 국정기조 비교분석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5. 권태형 (2012).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의 지대발생 효과와 규제, 에너지경제연구, 11(2), pp 141-163.
  6. 김명희 (2007). 공공부조정책변화의 역사 제도주의적 분석 : 미국, 영궁, 한국의 근로연계복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7. 김성욱, 이병량 (2010). 녹색성장위원회의 조직기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조직학회보, 7(1), pp 119-150. https://doi.org/10.21484/KROS.2010.7.1.119
  8. 김순양 (2009). 권위주의적 발전국가의 사회정책형성과정 분석, 한국행정논집, 21(1), pp 69-106.
  9. 김윤권 (2005).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 -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14.
  10. 김일영 (1996). 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재검토, 한국정치학회보, 30(3), pp 463-468.
  11. 김준영, 김성배, 박상욱 (2016). 의무할당제의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정책효과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2), pp 131-160.
  12. 김태은 (2009). 제도변화와 대체요인으로서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2(4), pp 179-210.
  13. 김태은 (2011).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영향요인 연구 : FIT와 RPS의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3) pp 305-333.
  14. 박기덕 (1999). 동아시아발전모델의 구성과 동아시아 지역 경제위기의 원인., 한국정치학회보, 32(4), pp 373-387.
  15. 박영철 (2009). 국가산업단지정책의 개선방안, 국토, pp 24-37.
  16. 방민석, 김정해 (2003). 대기업규제정책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741-767.
  17. 백종국 (1998). 동아시아 모델 위기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 외환위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2(3), pp 95-116.
  18. 산업통상자원부 (2017).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19. 심원섭 (2009), 한국 관광정책의 변화과정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하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3(7), pp 161-185.
  20. 연합뉴스 (2000). 김 대통령 과학기술위원회 주재, 연합뉴스, 12월 19일.
  21. 연합뉴스 (2000). 김대통령, 경제불안 조속해소 지시, 연합뉴스, 9월 19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027043
  22. 윤상우 (2005), 동아시아 발전의 사회학, 서울: 나남출판사
  23. 이데일리 (2004), 노대통령 해외자원개발전문사 설립검토, 이데일리. 11월 3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0219559.
  24. 이민식 (2011). FIT와 RPS 제도 비교와 시사점 - 태양광을 중심으로, 산업은행.
  25. 이상훈, (2014).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 환경법과 정책, 12, pp 63-82.
  26. 이수일, 노재형, 백철우 (2015),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KDI).
  27. 이종수 외(2014). 새 행정학 2.0, 대영문화사.
  28. 이종영 (2005). 신재생에너지의 이용.보급을 위한 제도, 환경법연구, 27(1), pp 197-230.
  29. 이종찬. (2014). 제도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48(1), pp 163-184.
  30. 임홍탁, 김신 (2011), 후발국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력, 에너지공학, 20(4), pp 267-277. https://doi.org/10.5855/ENERGY.2011.20.4.267
  31. 조선일보 (2008). 저탄소 녹색성장 신화 이룰 것, 조선일보, 8월 16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8/16/2008081600070.html
  32. 조선일보 (2011). 대통령 2011 신년연설 전문, 1월 3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03/2011010300570.html
  33. 지식경제부 (2009). 신재생에너지정책위원회 위원명단, 한국공공정보공개시스템.
  34. 지식경제부 (2008).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발전전략.
  35. 하연섭 (2006).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행정논총, 44(2), pp 217-246.
  36. 하연섭 (2011). 제도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37. 한국에너지공단 (2016). 2016 신.재생에너지 백서.
  38. 황혜신 (2013).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개혁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24(3), pp 333-360.
  39. Amsden, A. H.(1989). Asiaʼ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
  40. Beland, D. (2007). Ideas and Institutional Change in Social Security: Conversion, Layering, and Policy Drift, Social Science Quarterly, 88(1), pp 20-38. https://doi.org/10.1111/j.1540-6237.2007.00444.x
  41. Edquist, C. Johnson, B.(1997), System of Innovation: Technologies, Institutions and Organisations, London and Washington: Printer Publishers
  42. Caton, J.(2010). Support Schemes for Renewable Electricity in the EU.
  43. Chang, H.-J.(1994). The Political Economy of Industrial Policy,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7, pp 131-157.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cje.a035227
  44. Choung J-Y, Hwang, H-R, Choi, J-K (2016). Post catch-up system transition failure: the case of ICT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2(1), pp 78-102. https://doi.org/10.1080/19761597.2016.1207422
  45. Deans, P (2000). "The capitalist developmental state in East Asia." in R. P. Palan and J. P. Abbott(eds). State Strategies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London: Pinter, pp 78-102.
  46. European Commission (2008). The Support of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47. Gerschenkron, A. (1962).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rspective,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48. Goldstein, J., & Keohane, R. O. 1. (1993). Ideas and foreign policy: Beliefs, institutions, and political chang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49. Haasa, R. (2011). A Historical Review of Promotion Strategies for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in EU Countr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5 (2) pp 1003 - 1034. https://doi.org/10.1016/j.rser.2010.11.015
  50. Haggard, S & C-I Moon (1990), Institutions and Economic Policy : Theory and a Korean Case study, World Politics 42.
  51. Haggard, S (2004). Institutions and growth in East Asia,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38(4), pp 53-81. https://doi.org/10.1007/BF02686328
  52. Hall, P. A. and Rosemary C. R. T. (1996).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 Political Studies, XLIV, pp 936-957. https://doi.org/10.1111/j.1467-9248.1996.tb00343.x
  53. Ikenberry, G. J. (1988). Conclus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n G. John Ikenberry. DavidA. Lake. and Michael Mastanduno(eds.), The State and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54. Immergut, E. M. and Anderson, K. M. (2008).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West European Politics, West European Politics, 31(1-2), pp 345-369. https://doi.org/10.1080/01402380701835165
  55. Johnson C.(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Jonathan A. Lesser and Xuejuan Su(2008). Design of an economically efficient feed-in tariff structure for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Energy Policy, 36(3), pp 981-990. https://doi.org/10.1016/j.enpol.2007.11.007
  57. Kathleen Thelen (1999).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POLITIC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2(1), pp 369-404 https://doi.org/10.1146/annurev.polisci.2.1.369
  58. Klein, A., Pfluger, B., Held, A., Ragwitz, M., Resch, G. and Faber, T. (2008). Evaluation of different feed-in tariff design options - Best practice paper for the International Feed-In Cooperation. Institute System and Innovation Research.Energy Economics Group.
  59. Krasner, S. D. (1988). Sovereign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21(1), pp 66-94. https://doi.org/10.1177/0010414088021001004
  60. Lesser, J. A. and Su, X. (2008). Design of an Economically Efficient Feed-in Tariff Structure for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Energy Policy, 36(3), pp 981-990. https://doi.org/10.1016/j.enpol.2007.11.007
  61. Lowi, T. J. (1972). Four Systems of Policy, Politics and Cho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4).
  62. Mahoney, J. (2000). Path Dependence in Historical Sociology, Theory and Society, 29(4), pp 507-548. https://doi.org/10.1023/A:1007113830879
  63. Mahoney, J. and Thelen, K. (2010).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Ambiguity, Agency, and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McCord, W (1989). An East Asian model of development: growth with equity, The Pacific Review, 2(3), pp 209-217. https://doi.org/10.1080/09512748908718819
  65. North, D. (1990).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OʼDonnell, G. A.(1979). Modernization and Bureaucratic-Authoritarianism: Studies in South American Politics, UC Berkel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67. Rickerson, W. H., Sawin, J. L. and Grace, R. C. (2007). If the Shoe FITs: Using Feed-in Tariffs to Meet U.S. Renewable Electricity Targets. The Electricity Journal, 20(4), pp 73-86. https://doi.org/10.1016/j.tej.2007.03.007
  68. Scott, W.R. (2008).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deas and Interests, 3rd ed. Sage Publications, Los Angeles, CA.
  69. Wade, R.(1991). Governing the Market: Economic Theory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Industrializati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70. Woo-Cumings, M. J.-E (1998). National security and the rise of the DS in South Korea and Taiwan, in H. S. Rowen(ed.) Behind East Asian Growth: The Political and Social Foundations of Prosperity, London: Routledge, pp 31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