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벽-슬래브 접합부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RC 슬래브와 SC 벽 접합부의 전단마찰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Friction Behavior of RC Slab and SC(Steel Plate Concrete) Wall Structure with Connection Joint)

  • 이경진;황경민;김우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23-6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RC 구조 슬래브와 SC 구조 전단벽이 만나는 접합부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고 RC구조 슬래브-SC구조 전단벽 이질접합부의 전단마찰내력을 평가하고 KEPIC SNG의 접합면 소요전단강도 기준의 안전율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접합면의 전단마찰내력은 약 300kN으로 나타났고, 변위가 증가할수록 철근의 내력분담이 증가하게 되며, 상부철근보다는 하부철근의 전단내력 분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철근을 구성한 경우에는 하부철근이 없는 실험체에 비해 40% 이상 전단내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 수평접합부의 지지력 성능에 관한 연구 (Compressive Strength of Horizont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ystem)

  • 서수연;정봉오;이원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8-147
    • /
    • 1994
  • 대형 콘크리트 판넬구조 수평접합부는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축하중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며 이때의 저항내력은 그라우트와 판넬의 강도, 접합부의 형태 및 단부 모멘트, 그라우트의 폭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 연구는 패쇄형 수평접합부에 대한 실험연구로서 슬래브의 단부형태, 벽판넬의 단부보강 및 슬래브의 횡변위 구속에 따른 내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현재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 수평접합부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국내 규준식은 국내의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와는 다소 다른 형태의 실험결과에 의해 유도된 식으로서 그 적용성에 대한 평가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결과를 근거로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폐쇄형 수평접합부의 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이론식을 제시 하였다. 실험결과, 상부 벽판넬의 단면이 결손(10mm)됨에 따라 약 23.5% 내력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래브 단부형태의 따른 차이와 벽판넬의 단부보강에 따른 내력의 차이, 슬래브의 횡변위 구속 유무에 따른 내력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되 이론식과 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론식에 의한 결과가 실험결과와 좋은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벽-슬래브 접합부에 매립된 열교차단장치의 반복하중에 대한 거동특성 평가 (Cyclic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Bridge Breaker Systems embedded in Reinforced Concrete Slabs)

  • 신동현;오명호;김영호;김형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11-521
    • /
    • 2015
  • 건물외피 발생하는 열교현상은 건물의 단열성능 및 외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며, 국내의 일반적인 주거형식인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있어서 이러한 열교현상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내 외부 발코니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교차단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다수의 건설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벽-슬래브 접합부에 열교차단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건물의 단열성능을 향상될 수 있으나 풍하중과 같은 양방향의 하중에 의해 열교차단장치 삽입부위가 적합한 구조성능을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적용된 열교차단장치의 구조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변위제어 방식으로 30 싸이클의 반복하중을 가력하였다. 열교차단장치가 삽입된 접합부는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확보하며, 최대 모멘트강도, 에너지소산능력, 연성비가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비교하여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힌 후 편 철근의 겹침 이음 및 기계적 이음을 갖는 벽-슬래브 접합부의 반복하중에 대한 거동 (Cyclic Behavior of Wall-Slab Joints with Lap Splices of Coldly Straightened Re-bars and with Mechanical Splices)

  • 천성철;이진곤;하태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5-283
    • /
    • 2012
  • 초고층 건축물의 선행 코어 후행 슬래브 접합부, 지하 연속벽과 바닥구조의 접합부, 임시 개구부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부의 철근 이음을 위하여, 다수의 커플러를 전단키가 있는 얇은 강판에 설치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 공법을 사용한 접합부의 구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벽체-슬래브 접합부에 대한 반복하중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굽힌 철근 박스를 이용한 접합부와 이음이 없는 접합부도 함께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사용한 접합부는 이음이 없는 접합부와 동일하게 [인장철근 항복]-[충분한 휨변형]-[압축 콘크리트 압괴] 후 압축 철근의 좌굴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설계에서 가정한 충분한 연성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굽힌 철근 박스를 사용한 접합부의 경우, 탄성구간에서는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과 유사하게 거동하였으나, 측면 피복 콘크리트가 빨리 탈락되었으며, 슬래브 상하부면의 겹침이음 구간에 부착 균열이 다수 발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음 없는 실험체 및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사용한 실험체에 비해 강도와 변형능력이 저하되었다. 또한 굽힌 후편 철근을 겹침이음한 실험체가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강성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굽힌 후편 철근의 탄성계수는 직선 철근에 비해 낮고, 완전한 직선으로 펼 수 없기 때문에 인장력을 받으면서 일부 구간이 펴지므로 접합부의 강성을 저하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2종류의 철근 지름(D13, D16)과 강종(SD300, SD400)에 대해, 철근이음용 매립 강판을 적용한 접합부는 공칭 강도를 충분히 상회하였다. 그러나 굽힌 후 편 철근을 사용하면 강종이 높을수록 그리고 지름이 굵을수록 휨강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굽힌 후 편 철근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중공 전이 슬래브의 뚫림 전단 강도 (Punching Shear Strength of the Void Transfer Plate)

  • 한상환;박진아;김준삼;임주혁;박영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67-374
    • /
    • 2010
  • 전이슬래브 시스템은 상부 전단벽 구조로부터 하부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상당한 두께의 슬래브를 필요로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이 단점은 슬래브내에 중공부를 두어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플랫플레이트 구조로써 기둥-슬래브 접합부 부근의 뚫림전단파괴을 일으키는 취성파괴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중공부를 갖는 전이슬래브 시스템의 뚫림전단 성능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기준에서는 중공부를 갖는 슬래브의 뚫림전단성능에 대한 명확한 강도산정 규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중공 시스템의 뚫림전단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행기준 및 기존연구를 토대로 실험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중공시스템의 뚫림전단강도는 기둥면으로부터 위험단면 d/2의 위치와 중공부 중심에서의 위험단면으로 계산된 값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되었다. 여기서 강도 계산을 위하여 위험단면의 유효단면적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탄소섬유와 L형강을 이용한 벽-슬래브 접합부의 보강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Seismic Resistance Capacity of Carbon Sheet-Angle Retrofitting Method in Wall-Slab Joint)

  • 노공기;박태원;박현수;정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65-68
    • /
    • 2004
  • In the seismical capacity evaluation for RC structure wall-slab joint is very important factor. Because lateral load is resistance element and gravity load resistance element are acted mutually in the wall-slab joint.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seismic capacity of the wall-slab joint in the existing wall type apartments experiment which improve and retrofit a seismic capacity by unequal angle bracing and carbon sheet attachment are carried out. These methods are also economic and simple in mitigating seismic hazard, improve earthquake-resistance performance, and reduce risk level of building occupant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hange of strength, degration of stiffness, and energy dissipation are evaluat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method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 PDF

RC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비선형 해석모델 (Nonlinear Analytical Model for RC Flat Plate Frames)

  • 박영미;황보진;한상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241-244
    • /
    • 2008
  • RC 플랫 플레이트 골조는 중력저항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횡력저항 시스템인 전단벽이나 모멘트 골조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진하중과 같은 횡하중은 횡력저항 시스템의 변형을 일으키며 일체로 연결된 중력저항 시스템도 예상치 않았던 횡변위가 발생하여, 접합부에서 큰 불균형 모멘트가 발행하게 된다. 따라서 횡하중에 의해 유발된 불균형모멘트의 고려가 필요하며, �躍꼭患� 파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RC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하여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비선형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석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중력전단비가 다른 2개의 2경간 플랫 플레이트 구조물의 실험결과와 해석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해석모델은 실험체의 뚤림전단파괴 및 파괴모드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그린건축을 위한 열교차단 특허기술의 조사 및 분석 연구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atents for the Thermal Bridge Breaker in Green Buildings)

  • 김영호;김형준;이희영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5-43
    • /
    • 2013
  • The green building is one of biggest factors to go the goal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friendly energy technology, recycling of resour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ese green buildings realized by the energy-saving technology such as the thermal bridge breaker(or thermal bridge block). Thermal bridges are localized elements that penetrate insulated portions of building envelope that results in heat lo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technical interactions for patents of a thermal bridge breaker(TTB) used in green building practices, and be subject to investigation to TTB in the leading countries, that is, United State, Europe Union, Japan, and Korea. As a result, there are four TTB categories(roof, wall-slab connection, opening, footing) in house or building. The TTB categories is remarkable technology that is apparatus in slab-wall joints and sealing element of opening frame in walls.

인방보의 형태에 따른 개구부가 있는 전단벽의 거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oupled Shearwalls with different Coupling Member)

  • 배백일;최현기;최윤철;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7-40
    • /
    • 2008
  • 세대병합형 리모델링의 경우 벽체의 개구부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23%의 개구부면적을 가질 경우 큰 강성의 저하나 강도의 저하가 없다는 판단 아래, 인방보의 형태가 다른 세 실험체를 계획하여 횡력 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슬래브를 인방보로 가지는 CW-RS는 형상비의 증가에 따른 휨파괴가 지배적이었고, CW-RBS와 CW-CS의 경우 인방보의 모멘트 분담에 의해 벽판의 전단 파괴 현상이 지배적이었다. 인방보의 면적에 따라 강도와 강성의 감소율이 영향을 받았으며 개구부의 형태가 결정하는 인방보와 벽체와의 접합 면적이 벽체의 거동을 지배한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