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propose a blind watermarking method that embeds a binary pseudo-random sequence (watermarks), (-1, 1), into wavelet dc components, while most watermarking techniques embed watermarks in the middle frequency range for robustness and fidelity. In our scheme, the watermarks are embedded into particular locations to be selected by a key, where some watermark embeddings are skipped to avoid severe degradation in quality. Our robustness is compared to some results registered to the ChechMark [1] that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nchmarking tools.
Yang Sun-Woong;Kim Moon-Joon;Park Jae-Heung;Chang Hoo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v.4
no.3
/
pp.31-37
/
2003
In this paper, an efficient non-scan design-for-testability (DFT) method for finite state machine(FSM)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always guarantees short test pattern generation time and complete fault efficiency. It has a lower area overhead than full-scan and other non-scan DFT methods and enables to apply test patterns at-spee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using well-known MCNC'91 FSM benchmark circui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20.07a
/
pp.656-659
/
2020
초해상화 딥러닝 기법은 학습 시 수렴하기까지 최소 수백 번의 에폭을 필요로 하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최근, 영상 인식용 딥러닝 모델에서는 학습 수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픽셀, 채널간 불필요한 상호연관 정보를 제거하는 Deconvolution 기술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Deconvolution 기술을 초해상화 딥러닝 방법에 적용하여 학습 수렴 속도 증가를 시도했다. 영상 인식 딥러닝 기법과 다르게 초해상화 딥러닝 기법은 이미지 특성 추출 부분과 이미지 복원 부분의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EDSR을 Baseline 모델로 사용하여 양쪽 끝의 레이어는 기존의 Convolution 연산을 그대로 유지하고, 중간 레이어의 ResBlock 내의 Convolution 연산만 Deconvolution 연산으로 바꿔서 구성하였다. 초해상화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 결과, 수렴속도가 빨라지지 않는 결과를 도출했다. 본 논문에서는 Deconvolution 기술이 Baseline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지 못하는 이유를 초해상화 분야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Residual Learning 기법 때문으로 분석했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v.14
no.1
/
pp.138-144
/
2010
Tachyon primary system which introduces recently is a high performance supercomputer that composed with AMD Barcelona nodes. In this paper, we will verify the performance and parallel scalability of TachyonIn by using multi-zone NAS Parallel Benchmark(NPB) which is one of a program with hybrid parallel method. To test performance of hybrid parallel execution, B and C classes of BT-MZ in NPB version 3.3 were used. And the parallel scalability test has finished with Tachyon's 1024 processes. It is the first time in Korea to get a result of hybrid parallel computing calculation using more than 1024 processes. Hybrid parallel method in high performance computing system with multi-core technology like Tachyon describes that it can be very efficient and useful parallel performance benchmarks.
Memory reference instructions such as loads or stores are critical factors that limit the processing power of processor. The prefetching technique is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latency caused from memory access. However, excessively aggressive prefetch leads to cache pollution so as to cancel out the advantage of prefetch. In this study, four filtering schemes have been compared and evaluated which dynamically decide whether to begin prefetch after referring a filtering table to decrease cache pollution. First, A bi-states scheme has been shown to analyze the lock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cheme, this scheme such as conventional scheme used to be N:1 mapping, but it has the two state to 1bit value of each entries. A complete state scheme has been introduc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mparative study. A block address lookup scheme has been proposed as the main idea of this paper which exhibits the most exact filtering performance. This scheme has a length of the table the same as the bi-states scheme, the contents of each entry have the fields the same as the complete state scheme recently, never referenced data block address has been 1:1 mapping a entry of the filter table. Experimental results from commonly used general benchmarks and multimedia programs show that average cache miss ratio have been decreased by 10.5% for the block address lookup scheme(BAL) compare to conventional dynamic filter scheme(2-bitSC).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11.06b
/
pp.338-341
/
2011
프로그램 코드 사이즈는 내장형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중의 하나이다. 프로그램 사이즈는 해당 시스템의 메모리 크기, 전력소모, 성능, 가격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코드 사이즈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자원 중에서 효과적인 것 중 하나가 복수 로드/스토어 명령어(Multiple Load/Store Instruction, MLS)이다. MLS 명령어는 하나의 명령어로 하나이상의 메모리 값을 레지스터로 블록 전송 (block transfer)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MLS명령어를 기존보다 효과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코드 크기를 감소시키는 최적화 기법에 대해 논의한다. 실험을 통하여 Mediabench와 DSPStone 벤치마크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통하여 평균 메모리 접근 코드사이즈가 10.3% 감소하였다.
회로분할 기법은 VLSI 칩 설계 시 핵심적인 기술로서 오랫동안 연구가 행해져 왔는데, 대부분의 회로분할 휴리스틱에서 Fiduccia-Mattheyses(FM) 알고리즘을 기본 기술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FM 알고리즘을 기본 분한 기술로 이용하되 선형배치 및 클러스터링 기법을 추가로 적용하여 효과적인 회로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CNC 벤치마크 회로를 이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과 FM 알고리즘을 실험적으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회로에 따라 적게는 14%, 많게는 57%까지 개선되는 것을 보여준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5.07a
/
pp.718-720
/
2005
딥-서버마이크론 기술에서, 버스 상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설계 목표들 가운데 하나이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효과적인 기법들은 근본적으로 데이터 압축 또는 데이터 인코딩을 이용하고 있지만 압축과 인코딩을 모두 사용한 기법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버스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전력소모량을 크로스톡 지연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최대한 줄이는 통합된 데이터 압축 및 인코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문제를 셀프 천이와 크로스-커플된 천이 양에 대한 가중 합을 최소화하는 문제로 형상화하여 풀었으며, 이 과정에서 자주-인용 데이터에 기반한 압축과 셀프-쉴드 인코딩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였다. 벤치마크를 사용한 실험에서 우리는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순차적인 압축 및 인코딩 적용 방식보다 $7.9\%-39.4\%$ 더 적은 전력 소모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v.6
no.3
/
pp.148-156
/
200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pproach to design a robust servo controller based on the mixed $H_2/H_{\infty}$ theory, and confirm its validity by applying to a benchmark problem. First, the existing $H_{\infty}$ servo problem is modified to a structure for the mixed $H_2/H_{\infty}$ control problem by virtue of the internal model principle. By making use of proposed structure, we can divide specifications required in the robust servo system design into $H_2$ and $H_{\infty}$ performance criteria, respectively.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design approach is quite effective through an application to a three inertia benchmark problem.
The FAT (File Allocation Table) compatible file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and memory cards because of its data exchangeability among numerous platforms recognizing the FAT file system. By the way. modern embedded systems have tough demands for instant power failure recovery and superior performance for multimedia applications. The key issue is how to achieve the goals of superior write performance and instant booting capability while controlling compatibility issues. To achieve the goals while controlling compatibility issues. we devised a temporary meta-data journaling scheme for a FAT compatible file system. Benchmark results of the scheme implemented in a FAT compatible file system shows that it really improves write performance of the FAT file system by converting small random write for meta-data update to a large sequential write in journaling area. Also, it provides natural way to implement the instant booting capability. Nevertheless, the file system compatibility is temporarily compromised by the scheme because it stores updated meta-data in the temporary journaling area rather than to their original locations. However, the compatibility can be fully recovered at any time by journal-flushing that copies meta-data in journaling area to their original locations. Generally, the journal-flushing is done before un-mounting a memory card so that it can be used in other mobile devices which recognized FAT file system but not the temporary meta-data journaling schem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