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벡터감정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Design of Knowledge-Emotional Reaction Model considering Personality (개인성을 고려한 지식-감정 반응 모델의 설계)

  • Shim, Jeong-Y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7 no.1
    • /
    • pp.116-122
    • /
    • 2010
  • As the importance of HCI(Human-Computer Interface) caused by dramatically developed computer technology is getting high, the requirement for the design of human friendly systems is also getting high. First of all, the personality and Emotiona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for implementing more human friendly systems. Many studies on Knowledge, Emotion and personality have been made, but the combined methods connecting these three factors is not so many investigated yet. It is known that memorizing process includes not only knowledge but also the emotion and the emotion state has much effects on the process of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step. Accordingly, for implementing more human friendly efficient sophisticated intelligent system, the system considering these three factors should be modeled and designed. In this paper, knowledge-emotion reaction model was designed. Five types are defined for representing the personality and emotion reaction mechanism calculating emotion vector based on the extracted Thought threads by Type matching selection was proposed. This system is applied to the virtual memory and its emotional reactions are simulated.

Short Text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Complex Keywords (복합색인어 기반 단문텍스트 감정 인식 기법)

  • Han, Ki-Hyun;Lee,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20-522
    • /
    • 2013
  • 스마트 폰의 확산으로 대화의 개념이 음성에서 텍스트로 확대 되고 있다. 방대하게 누적되고 있는 메신저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들을 찾아 사용자에게 추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 해주기 위해서는 텍스트 감정 인식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PMI기법과 감정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정을 분류 하였다. 그러나 특정단어로 감정을 분류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색인어 기반 텍스트 감정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문장에서 동사와 복합색인어를 추출하여 음운으로 분해한다. 그리고 스트링커널에서 벡터 값을 추출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SVM)으로 4가지 감정(행복, 슬픔. 화남, 평범)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동사와 감정에 영향을 주는 색인어를 추출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기법으로 실험결과 정확도는 기존에 동사만 사용했을 때 보다 15%향상됨을 보였다.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Level of Cosine Similarity of Emotion Word from Social Network (소셜 네트워크에서 감정단어의 단계별 코사인 유사도 기법을 이용한 추천시스템)

  • Kwon, Eungju;Kim, Jongwoo;Heo, Nojeong;Kang, Sanggi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9 no.3
    • /
    • pp.333-344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which recommends movies using information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containing personal interest and taste.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is as follows. The system gathers movies' information from web sites and user's information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The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is categorized into six steps of emotion level for more accurate processing following users' emotional states. Gathered data will be established into vector space model which is ideal for analyzing and deducing the information with the system which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existing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 for movie recommendation is presentation of vector information about emotion level and similarity measuring method on the coordinates using Cosine measure. The deducing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is two-phase arithmetic operation as follows. First, using general cosine measurement, the system establishes movies list. Second, using similarity measurement, system decides recommendable movie list by vector operation from the coordinates. After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vious recommendation systems and new one, it turned out the new system from this study is more helpful than existing systems.

The Research o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Multimodal Feature Combination (멀티모달 특징 결합을 통한 감정인식 연구)

  • Sung-Sik Kim;Jin-Hwan Yang;Hyuk-Soon Choi;Jun-Heok Go;Namm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739-74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음성과 텍스트라는 두 가지 모달리티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감정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멀티모달 모델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음성 데이터로부터 HuBERT 및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기법을 통해 추출한 특징 벡터와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RoBERTa를 통해 추출한 특징 벡터를 결합하여 감정을 분류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멀티모달 모델은 F1-Score 92.30으로 유니모달 접근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A Semantic Orientation Prediction Method of Sentiment Features Based on the General and Domain-Dependent Characteristics (일반적, 영역 의존적 특성을 반영한 감정 자질의 의미지향성 추정 방법)

  • Hwang, Jaewo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55-159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를 위한 중요한 어휘 자원인 감정자질(Sentiment Feature)의 의미지향성(Semantic Orientation) 추정을 위해 일반적인 특성과 영역(Domain) 의존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Sentiment Classification)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감정자질의 의미지 향성은 검색 엔진을 통해 추출한 각 감정 자질의 스니핏(Snippet)과 실험 말뭉치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검색 엔진을 통해 추출된 스니핏은 감정자질의 일반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실험 말뭉치는 분류하고자 하는 영역 의존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이렇게 얻어진 감정자질의 의미지향성 수치는 각 문장의 감정강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문장의 감정 강도의 값을 TF-IDF 가중치 기법에 접목하여 감정자질의 가중치를 책정한다. 최종적으로 학습 과정에서 긍정 문서에서는 긍정 감정자질, 부정 문서에서는 부정 감정자질을 대상으로 추가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분류에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일반적인 정보 검색에서 사용하는 내용어(Content Word) 기반의 자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3.1%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using Facial Expression (얼굴표정을 이용한 감정인식 및 표현 기법)

  • Ju, Jong-Tae;Park, Gyeong-Jin;Go, Gwang-Eun;Yang, Hyeon-Chang;Sim, Gwi-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95-2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얼굴표정을 통해 4개의 기본감정(기쁨, 슬픔, 화남, 놀람)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감정표현 시스템을 구현한다. 먼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법을 이용하여 고차원의 영상 특징 데이터를 저차원 특징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선형 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법에 적용시켜 좀 더 효율적인 특징벡터를 추출한 다음 감정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얼굴 표현 시스템에 적용시켜 감정을 표현한다.

  • PDF

Development of Facial Image Based Emotion Recongition System (얼굴 영상 기반 감정 인식 시스템 개발)

  • Kim M. H.;Joo Y. H.;Park J. 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04a
    • /
    • pp.433-436
    • /
    • 2005
  • 감정 인식 기술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필요한 기술임에 불구하고 인식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풀리지 않는 문제로 남아있다. 특히 얼굴 영상을 이용한 감정 인식 기술은 많은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얼굴 영상을 이용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는 복합적인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얼굴 영상 분석, 특징 벡터 추출 및 패턴 인식 등 다양한 기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에 연구된 얼굴 영상 기법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감정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감정 분석에 적합한 퍼지 이론 기반 퍼지 분류기를 이용하여 감정을 인식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을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Speech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CNN - LSTM Model (CNN - LSTM 모델 기반 음성 감정인식)

  • Yoon, SangHyeuk;Jeon, Dayun;Park, N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939-941
    • /
    • 2021
  • 사람은 표정, 음성, 말 등을 통해 감정을 표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음성데이터만을 사용하여 감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멜 스펙트로그램(Mel-Spectrogram)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한다. 멜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CNN을 이용하여 특징 벡터화한 후 Bi-Directional LSTM을 이용하여 화자의 발화 시간 동안 변화되는 감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완전 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감정을 분류한다. 감정은 Anger, Excitement, Fear, Happiness, Sadness, Neutral로, 총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로는 상명대 연구팀에서 구축한 한국어 음성 감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CNN-LSTM 모델의 정확도는 88.89%로 측정되었다.

Emotion Recognition Using Template Vector and Neural-Network (형판 벡터와 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인식)

  • Joo, Young-Hoon;Oh, Jae-H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3 no.6
    • /
    • pp.710-715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emotion recognition method for intelligently recognizing the human's emotion using the template vector and neural network. In the proposed method, human's emotion is divided into four emotion (surprise, anger, happiness, sadnes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template vector extraction and the template location recognition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It is not easy to extract the skin color area correctly using the single color spac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various color spaces and using the each template vectors. And then we apply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by using the template vectors among the feature points). Finally, we show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Searching for the Hub Module of fMRI Data with the Hypergraph Model (하이퍼그래프 모델을 이용한 fMRI Brain Network 의 허브 모듈 분석)

  • Kim, Joon-Shik;Lim, Byoung-Kwon;Kim, Eun-Sol;Yang, Jin-Sa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7-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그래프의 고유벡터를 척도로 하여 fMRI기반 Brain Network를 분석하여 중요한 허브노드를 찾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비디오게임을 수행하면서 촬영한 기능적 자기뇌영상(fMRI) 데이터인 PBAIC 2007 데이터셋에 대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이 데이터는 각 20분씩 세 세션을 촬영한 것이며 처음 두 세션에는 13가지의 감정 항목의 평가치가 각 스캔마다 주어진다. 한 피험자의 첫번째 세션 데이터로부터 13가지 감정 항목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높은 각각의 복셀(voxel)들을 추출하였다. 이 13가지의 복셀들의 집합들을 각각 하이퍼에지로 보고 하이퍼그래프를 구성하였다. 하이퍼그래프로부 터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를 구성한 후 고유치(eigenvalue)와 고유벡터(eigenvector)를 구하였다. 여기서 고유치가 가장 큰 고유벡터의 원소들은 각 복셀들의 중앙성(centrality), 즉 중요성을 나타내며 이로부터 감정과 관련된 중요한 허브 복셀들과 그들의 국소적 집합인 모듈을 찾았다. 모듈들은 감정 및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관련된 뇌 영역들의 클러스터(cluster)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