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법제통합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Law Regardi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Social Integration (인권과 사회통합관점에서 본 여성결혼이민자 관련법)

  • Wee, In-B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317-327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with a view to legal system how to get over the adaptation problem as well as protection of human right about the cases of marriage immigration have sharply increased in Korea through Globalization and this brought about serious matters to multi-cultural families : disguise marriage, contract marriage, frequent divorces, especially conflict, violence, maltreatment of couple is guaranteed efficiently include against mankind universal value regardless of race, class, region undergoing farm vill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by cultural difference. This study is when the families of the marriage immigrants are left unattended in the state of the crisis, it definitely seems to be a serious obstacle for social integration and cost vast social expense. Therefore, I suggest the problems of multi-culture family support law and improvement plans for Marriage bureau agency management law and nationality Act through a comparative method about legislation of each country which has dealt with a phenomenon called 'multi-cultural Society' and fact-finding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rofessing "the city of human right".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Low Impact Development Experimental Complex for Hydrological cycle (부산대학교 GI·LID 물순환 실증단지 계획 및 구축)

  • Lee, Jae-Hyuk;Yoon, Eui-Hyeok;Jang, Young-Su;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9-319
    • /
    • 2016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는 약 20% 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circ}C$까지 증가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 물순환체계의 파괴는 도시물관리 여건의 악화로 이어지고 특히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수질 악화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토의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도시의 안전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물관리 정책은 먼저 물을 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체계 확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 관리를 포함한 소규모 분산관리 체계로 변화하여야 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건하고 통합관리쳬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기반의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대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 100대 국정화제에 포함시키는 등(2013.2)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설치 LID기법의 법제적 산업적 도입을 추진중에 있으나, LID 기술의 수자원 치수, 이수 및 환경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효율성 검증 및 인증시스템의 부재, LID 기술의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으로 인한 효과 저감, LID 기술의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지자체 지원 및 전문가 양성 시스템의 부재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GI 및 LID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새로운 도시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확보와 재해경감기술 패러다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기술 신뢰도 향상 및 단일화, 표준화된 효율성 검증 기술 개발과 더 나아가서 도시-건축-수자원-도로-조경 등의 종합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LID기술 통합관리 및 기술 고도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GI LID 물순환 실증단지의 계획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Strategy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Focused on Production, Management, Supply Institutions of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간정보 보안관리체계의 개선전략 - 공간정보의 생산·관리·보급 기관을 중심으로 -)

  • Jeong, In Hun;Park, Hong Gi;Kim, Young Dan;Choi, Yun S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6
    • /
    • pp.33-42
    • /
    • 2013
  • In a long-term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security regulation, such as limiting public picture resolution of aerial photographs, needs a rational improvement. However, unplanned dereg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uld lead problematic results such as national security issues because its prese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 not established in reasonable mann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to meet the reducing security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 including current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polices and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From an analytical standpoint, we examined the overall aspects of legal, operation management, and technical system while we maintained especially integrated perspective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Followed by investigation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s well as its regulation and policies in overseas, rational improvement plan of security management is proposed in the aspects of legal, operation management, and technical system. It is also suggested the three-step improvement plan of reducing regulation of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 social integrative law & institutions and labour market policy (노동시장양극화와 사회통합방안 - 사회통합적 법·제도와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 Lee, Ho-Geun
    • 한국사회정책
    • /
    • v.20 no.2
    • /
    • pp.261-304
    • /
    • 2013
  • This article is aiming intensively to analyze the polariz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s being regarded as one of the hottest issues not less important than those problems of economic growth, employment, income distribution and national security etc. in the national policy.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follow up the important phenomena of labour market polarization and the background as well as its consequence. Especially, it asks if the present labour policy in the new government which is now being concentrated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from the present 63% to the 70% in the future) could deserve to diminish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n korea. At one side, this article makes the special attention on the diversify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the various phenomena of fragment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labour market according to the forms and types of employment and according to the employee's status as much as the company's size. At the other side, it emphasizes that to overcome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should require the wide reform from the legal measure to the improvement of the wage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social investment as well as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approach between the active market policy and the social policy instead of choosing each policy option, seperatively.

Research on Efficient Measures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국가위기관리체제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 Lee, Hong-Kee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6
    • /
    • pp.493-52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the frailties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Korea's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throug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alysis. It is then to present efficient measur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se infirmities. For this, after examining the fundamental theory, we presented a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6 key systems composing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We also included items regarding each of the policy proposal in our conclusion. The fundamental theory of Korea's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tegrated based on a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However, the system development which drives the integrated structure still remains solely as a legal and structural category. Thus, operating, informing-oriented, supporting management, and rearing professional manpower systems have yet to be cultivated with efficienc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development direction from a conceptual dimension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6 key systems which are law, organization, operation, information-oriented, support management, training, and education. Finally,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policy measures to fully maximize system efficiency.

  • PDF

동북아 과학기술 허브로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 구축 방안 : 유럽연합(TTU)의 과학기술 협력 및 정보인프라 정책의 벤치마킹

  • 이성호;이형진;윤종민;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3.06a
    • /
    • pp.90-107
    • /
    • 2003
  • 참여정부의 출범과 한께 과학기술계에서는 동북아 과학기술 허브 구축방안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논의는 법제도의 정비 및 과학기술특구 건설 등의 이슈에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이를 뒷받침할 실증적 연구는 미미하다. 허브란 개념이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centrality)을 의미 하며, 현재 및 미래의 과학학기술협력 네트워크 발전에 정보통신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초고속통신망 인프라를 십분 활용한 차세대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구축을 통한 동북아 사이버 연구네트워크상의 허브화(궁극적으로는 e-Science의 허브화를 지향)는 지역 클러스터 건설을 통한 물리적 허브화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먼저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동아시아의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주요 네트워크 지수를 실증적으로 진단하고, 특히 이를 유럽연합의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의 패턴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럽 연합은 1984년부터 과학기술 협력 프로그램인 Framework Program을 시작하여 일찍부터 역내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경험을 가지고 있고, 2000년부터는 자발적 협력과 네트워킹을 통해 유럽의 연구 개발 활동을 통합·조정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유럽 연구개발권 (European Research Area) 형성이 구체화되고 있어, 동북아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를 건설하는데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유럽 연구개발귄이라는 우산 아래서 유럽의 과학기술 활동이 조정 및 통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주요 기능을 컨텐트 (연구정보서비스와 메타데이터 표준), 시스템 (슈퍼 컴퓨팅, 광대역 네트워크, GRID), e-Science 응용연구 별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럽의 경험을: 교훈삼아 동북아 e-Science 네트워크의 건설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동북아 연구개발정보 Portal 및 APEC APGrid 연구망 등의 구체적인 정보인프라 구축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Records Management of Closed Private Universities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ae-Young;Chung, Yeon-K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9 no.4
    • /
    • pp.35-61
    • /
    • 2019
  • The recent demographic cliff caused the schooling population to steadily decline and the number of college admissions to sharply drop, which led to the predi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erein 38 universities in Korea will be closed within the next 3 years. As such, the legal,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informational values of university record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follow-up process and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lthough closed university records need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according to legal procedures similar to other public records, there is no practical and clear legal standard for the management of such records at present. Moreover, management standar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d individual universities' situations and specificity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the ambiguous standards for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and analyzed relevant problems. Furthermor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suggested as a way to improve the records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ies.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field farming water supply (밭용수 공급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 관리 전략)

  • Cha, Eunji;Hyun, Yunjung;Lee, Gu-Sang;Jeong, 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8-78
    • /
    • 2022
  •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고소득 작물 재배,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영농형태가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되고 지역별 증감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밭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고소득의 밭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 수요 증가는 지하수위 저하와 지하수 고갈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지하수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지하수이용 및 관리 제도 현황을 검토하여 지속가능한 밭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진주시를 대상으로 경지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 특성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요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하천 주변 저지대에 큰규모의 밭이나 집단화된 시설재배 지역이 분포하고 있고 지하수 관정도 밀집하고 있었다. 하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는 지하수 관정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하수 수요는 공간적 위치 외에도 고품질 농업용수에 대한 요구도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기반 용수공급 관련 사업과 지하수 자원확보 관련 법제도 등을 고찰하여 밭의 위치, 규모, 용수공급의 수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밭용수 공급을 위한 세 가지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실측 및 정보의 다각화를 통한 정보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하수 이용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이용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지표수 공급이 가능한 지역은 지표수를 우선 공급하거나 지하수와 혼합 또는 교차하여 공급하고 물공급 취약지역에서는 지하수 공급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농업용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강화 및 관리 효율화이다. 특히 지하수이용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용도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밭용수 공급은 농가 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물이용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농가 소득증대를 고려하는 공편인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무인도서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기본 정책방향)

  • Nam, Jung-Ho;Kang,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4
    • /
    • pp.227-235
    • /
    • 2005
  •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for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which are national land resources with economic potential for tourism and development and strategic value for boundary delineation of territorial waters and exclusive economic zone as well as their unique ecological status. Review of existing management arrangements related to the uninhabited islands revealed six management issues to be addressed: insufficient data and their low reliability, lack of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increase in ecosystem deterioration and perturbation by human activities, lack of policy measures for meeting utilization and development demands, weak management base with insufficient personnel and budget, and legal measures not taking Into account their unique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include manage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legal improvement. Considering the unique ecological value of the uninhabited islands, management directions suggested are anti-degradation in which current and future demands for thei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do not degrade the ecological potential of the uninhabited islands and integration in which land and sea areas are managed as an integrated management unit. Four strategies proposed to follow the management directions are enhancement of the knowledge base through a comprehensive survey, development and legislation of guidelines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demands,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island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enhancement of management capacity. Legal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should include comprehensive uninhabited islands survey, legal utilization restraints and management guidelines based on classification of the islands, management boundary,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s on designated islands.

  • PDF

정보통신안테나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20
    • /
    • pp.56-69
    • /
    • 1989
  • 정보문화의 달이기도 했던 6월은 고도정보화사회를 앞당기는 일련의 획기적인 조치들이 취해져 관련업계의 관심을 크게 집중시키고 있다. 정부는 정보통신회선 사용상의 제한을 대폭 완화하여 민간기업이 실질적으로 VAN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놨고 종래 규제일변도였던 전파정책을 권장행정으로 전환하는 전파관리법도 입법예고했다. 정부가 마련한 정보통신회선사용제도 개선조치는 DB, DP만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정보통신역무제공업자의 사업범위를 불특정다수인을 대상으로 한 정보교환 및 타인통신매개행위를 허용했고 지금까지 9600bps급 이하의 저속회선에서만 접속이 허용되어온 다중화장치(MUX)의 사용범위를 대폭확대하여 64kbps급 이상의 고속회선에서도 접속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그룹 VAN의 경우에도 업무상 긴밀한 관계자 등만 이용할 수 있게 한 제한사항도 폐지해 국내 VAN시장에 대한 민간기업의 참여를 전면적으로 허용했다. 이외에도 정보통신역무제공업자가 DP.DB제공을 위해 필요한 경우 컴퓨터 본체에서의 부수적인 정보교환행위를 허용하여 DB내용 갱신(up-data) 등을 위한 중도컴퓨터의 접속도 가능토록 했다. 그런데 그룹 VAN의 경우 이용대상의 제한을 없앴으나 그룹망 중 타인사용특례를 받은 업체 이외의 망에는 이용자가 접속할 수 없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각 업체에서는 시스템 통합화를 추진할 확률이 높다. 또한 고속회선에 대한 다중화장치(MUX)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나 개방에 대비해 각 업체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노드 프로세서(Node Processor)를 전용교환기로 간주, 이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중도컴퓨터의 접속은 허용하고 있으면서 통신과 컴퓨터의 중간자적 기능을 갖고 있는 노드프로세서의 사용을제한한다는 데에 있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우리 협회에서는 이달 법제위원회를 개최하여 이번 조치에 대한 검토와 함께 전파관리법 입법예고안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수렴,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