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법곤충학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3초

붉은테두리진딧물(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Sasaki))에 의한 매실나무 신초 피해 및 방제적기 (Seasonal Occurrences and Timing for Chemical Control of 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Sasaki) (Homoptera: Aphididae) in Japanese Apricot)

  • 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1-264
    • /
    • 2010
  • 매실나무에 발생하는 붉은테두리진딧물의 경제적 방제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잎 피해양상을 경남 하동에서 조사하였고, 경남농업기술원내 포장에서 방제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acetamiprid WP를 2007년 4월 3일부터 시작하여 5월 8일까지 매주 살포하였다. 붉은테두리진딧물의 매실나무 잎 피해는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가장 많았고, 그 이후 점차 낮아졌으나 10월 중순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붉은테두리진딧물의 방제적기는 2007년의 경우 4월 17일로 잎은 여전히 연약하고 3-5장의 잎이 전개되고 있는 상태였다.

파밤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 구조 (Characterization of Spodoptera exigua Nuclear Polyhedrosis Virus Polyhedrin Gene Structure)

  • 최재영;김우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49
    • /
    • 1996
  • 곤충 바이러스인 Baculoviridae의 subgroup A에 속하는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는 미생물 살충제로서, 또는 유용물질의 생산을 위한 발현벡터로서 현재 널리 연구·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PV중 국내에서 분리된 SeNPV의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함으로써 새로운 발현벡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eNPV의 다각체 모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다각체 단백질의 분자량과 그 유전자의 구조를 각각 SDS-PAGE 및 염기서열 결정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 결과, SeNPV의 다각체는 분자량 30 kDa의 단일 단백질로 이루어진 부정형의 구조였으며,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876 염기의 서열을 결정하였다. 또한, SeNPV 전체 DNA상에서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는 Xho I 3.0 Kb와 Nco I 6.0 Kb에 각각 존재함을 확인하고, 각각 cloning하여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였다.

  • PDF

벼 도열병의 발생예찰을 위한 개선된 방법 (Improved Methods for Rice Blast Forecasting)

  • 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2
    • /
    • 1982
  • 잎도열병의 발생은 잎도열병병반수조사 4일전까지의 2개반순의 분생포자비산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고 이삭도열병발생은 진흥품종에서 출수기 분생포자비산수와 정의 상관관계였다. 수잉기에 있어서 잎도열병의 병엽수와 이삭도열병발생은 고도의 정의 상관, 지엽의 규화도와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I-KI법은 30분이내에 도열병균 침입에 의한 감염부위를 알 수 있어 잎도열병의 초발은 4일전에 예찰이 가능하였으며 I-KI법과 잎도열병발생과의 양적인 관계를 구명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마리리스에 모자익병을 일으키는 CMV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ucumber Mosaic Virus Inducing Mosaic Symptoms in Hippeastrum hybridum Hort)

  • 김정수;김흥배;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6-82
    • /
    • 1981
  • 아마리리스에 모자익병을 일으키는 병원바이러스의 기주범위, 물리적성질, 혈청반응을 조사하고 바이러스 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바이러스의 지표식물 검정 결과 C. amaranticolor, V. unguiculata, C. sativus G. globosa둥 21종의 CMV감수성식물에 병징이 나타났다. 바이러스의 내열성은 55C(10분간)이며 내희석성은 $10^{-3}$이고 내보존성은 실온에서 2일이었다. 한천내 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반응결과 뚜렷한 반응대가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흡광도는 260nm에서 최고였으며, 245nm에서 최저였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입자의 검경결과 직경이 90nm내외인 소구형 입자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마리리스에 모자익병을 일으키는 것은 CMV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 PDF

한국산 멧누에 (Bombyx mandarina)에 있어서 난각유전자의 형질발현. I. 난각구조의 특이성과 Chorion 단백질 (Chorion Gene Expression in the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Accumulation of Chorion Protein of Silkmoth, Bombyx mandarina I. Specific Structures of Egg-shell and Chorion Protein)

  • 노시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64
    • /
    • 1990
  • 한국산 멧누에(Bomdyx mandarina)chorion 유전자의 형질 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실험을 실시했다. 멧누에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마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매우 특이적인 구조가 인정되었다. 즉 원추상의 불규칙 돌기에 의한 돌기구조층과 이 돌기 구조층을 덮고 있는 한 층의 얇은 덮개 구조층이 그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해 chorion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은 등전점 4~6, 분자량 6~30 kd로 밝혀졌다. 특히 특이난각구조와 관련된 특이단백질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고cysteine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멧누에 난각의 특이 구조 형성에 따른 유전자발현기구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졌다.

  • PDF

인시목 곤충의 성충체액단자질에 관한 생리성화학적 연구 1. 가잠의 성충특이체액단자질의 검출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Adult Hemolymph proteins in Lepidoptera. 1. Appearance of Adult Specific Proteins in the Hemolymph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성주일;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24
    • /
    • 1988
  • 누에의 우화와 함께 새로이 출현하는 성충특이체액단자질(ASP-I, ASP-II)의 검출, 성특이성, 품종간 분포 및 변이성에 관하여 PAGE 전기영동법을 이용 실험한 결과, 1. 우화와 함께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시기에는 출현하지 않는 2가지의 새로운 성충특이단자질 영동대가 검출되었으며, 이동도가 느린 영동대를 ASP-I(Adult specific protein of slow mobility), 빠른 영동대를 ASP-II(Adult specific protein of slow mobility)로 명명하였다. 2. 성충특이체액단자질(ASP-I, ASPII)은 성특이성이 없었다. 3. 실험에 사용된 모든 누에 품종의 성충체액에서 ASP-I 및 ASP-II가 검출되었으나, 품종간의 변이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솔잎흑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에 관한 연구 III. - 지리적 격리에 따른 생리, 형태적 차이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Geographical Segregation in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Inouye)

  • 박용철;한성식;조동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0
    • /
    • 1990
  • 同-種에서 地理的 隔離에 따른 生理, 形態學的 差異를 알아보기 위하여 全羅南道 海南과 江原道 春域地域의 솔잎혹파리 幼蟲과 成蟲을 재료로 하여 전기영동법, 그리고 走査電子顯徵鏡을 이용하여 比較하였다. 두지역의 3齡 幼蟲에서는 일반 蛋白質의 밴드패턴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同位 酸素 esterase와 MDH는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成蟲에서는 -般環白質과 esterase 밴드패턴에서 부분적으로 명확한 差異를 보여주었다. 두지역 성충 생식절의 外部微細構造를 검토한 결과 産卵管의 들째마디에서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 PDF

감자 바이러스 S의 순화와 항혈청제조 (Purification and Serology of Potato Virus S)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5-148
    • /
    • 1977
  • 감자바이러스 S(PVS)의 진단, 동정 및 씨감자의 검정에 이용할 항혈청을 만들기 위하여 이병주로부터 PVS를 순수분리 순화하여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PVS는 지표식물파 전자 현미경으로 순수 분리하여 Nicotiana debneyii에서 증식하여 순화하였다. 순화된 PVS의 순화도는 1.18mg/ml이었으며 이것을 1.5ml씩 7일 간격으로 5회 .토끼에 주사하였으며 마지막 주사후 10일에 채혈하여 항혈청을 분리하였다. 제조된 PVS항혈청의 역가는 미량침강법에 의하여 1/2048로 나타났다.

  • PDF

담배포장에서의 거세미나방류 피해 및 방제 (Damage and Control of Cutworms in the Tobacco Fields)

  • 김기황;오명희;김정화;백종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5-319
    • /
    • 2001
  • 1998~2000년에 걸쳐 담배포장에서 거세비나방류 피해와 방제 실태를 조사하고 효율적인 방제 대책을 제시하였다. 담배 산지에서 거세미나방류 피해를 조사하고 경작자와 면담한 결과 거세미나방류 피해는 대체로 경비하였으며, 방제를 요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포장은 조사포장 중 9.0~10.2%였으나, 대부분의 면담자들이 담배 이식 전 또는 이식 당시 입제의 살충제를 살포한다고 하였다. 피해발생시기 및 가해습성에 관한 조사 결과로 미루어보면 이식 후 약 2% 이상의 피해주율을 보인 포장에서 유제 또는 수화제를 담배의 지제부 및 주변 토양에 분무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제법으로 판단된다.

  • PDF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 시금치에 발생하는 순무모자익바이러스 (TuM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rleraea L.) I. Identification of Turnip Mosaic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5
    • /
    • 1978
  •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시금치를 채집하여 순무모자익 바이러스를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된 순무모자익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담배(B.Y)와 명아주에는 국부병반이 형성되었고 쑥갓, 시금치, 무우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 잎을 착즙하여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항혈청과의 혈청반응 시험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 입자가 관찰되었다. 시금치에서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