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벌크소재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Hydrostatic Extrusion Characteristics for Al-7.5%Mg nano-grained bulk material (Al-7.5%Mg 나노 벌크소재의 정수압 압출특성에 관한 연구)

  • Yoon C.Y.;Rhee K.Y.;Lee S.M.;Park H.J.;Park J.H.;KIM Y.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6a
    • /
    • pp.1497-1500
    • /
    • 2005
  • This paper accomplished the basic research using the hydrostatic extrusion to make the nano-grained bulk material. It was carried out a hot hydrostatic extrusion using the hipped bulk Al-7.5%Mg that was taken from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ot isostatic extrusion. The tensile tests for the hipped bulk Al-7.5%Mg and the extruded one was executed and the results was compared.

  • PDF

Powder Metallurgy Process in Bulk Amorphous Alloys (벌크 아몰퍼스 소재의 분말야금 공정기술 동향)

  • Kim, Hwi-Jun;Bae, Jung-Chan;Kim, Do-Hyang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
    • v.13 no.6 s.59
    • /
    • pp.387-395
    • /
    • 2006
  • 본고에서는 고유한 원자구조에 기인한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구조재료 및 기능재료로서 그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벌크 아몰퍼스 소재에 있어 온간압출, 온간압연,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등 과냉각액체온도구간에서의 점성유동을 이용한 고화성형 공정의 최근 기술동향에 대해 간략히 소개했다.

박막형 열전 소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도 측정 장비 개발

  • Kim, Yeong-Seok;Ha, Su-Hyeon;Gang, Sang-U;Song, Jae-Yong;Park, Seon-Hwa;Hyeo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12-112
    • /
    • 2016
  • 열전 발전은 버려지는 폐열을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분류되며, 19세기 초 발견된 이래 꾸준히 연구되어온 연구 분야이다. 특히 1990년대 열전소재로의 나노 기술의 접목에 따라 열전성능(figure of merit, ZT)이 2 배 이상 증가 되면서, 고성능의 열전 소재 개발을 위해 나노구조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열전 특성 측정용 상용 장비의 경우, 벌크형 소재를 대상으로 설계되어 연구실 수준에서 개발되고 있는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형 열전 소재의 두께 방향 (cross-plane)의 열전 특성을 평가하는데 정밀성이 떨어져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표준화된 측정 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최근 연구되고 있는 나노소재들의 열전 특성 측정 결과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1] 본 연구에서는 박막형 열전 소재의 열전성능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열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장비를 설계하고, 장비의 측정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특히, 측정 포인트 간 큰 온도 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쉽게 측정이 가능한 너비 방향 (in-plane) 이 아닌, 온도 차가 작은 박막의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센서의 측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폴리이미드를 대상으로 $-10-70^{\circ}C$ 온도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와 벌크형 소재 대상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보호열판법을 이용해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Epoxy계 및 Silicon계 접착제의 난연성 부여에 관한 연구

  • 강영구;김근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1-196
    • /
    • 2003
  • 난연성 접착소재는 핵발전소, 선박, 철도차량, 항공기 등 고도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조재 및 내장재의 접착소재로서 테이프, 필름, 벌크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도 구조물에 사용되는 접착 소재들의 난연화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그 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