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번호체계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On UPAN System Implementation using an NAN System as Ubiquitous Numbering and Address System (신기통신망 번호체계로서 번호문 번호체계를 이용한 보편개인대표 번호의 구현방안)

  • Ku Jay-Il;Chinn Yong-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7 no.1
    • /
    • pp.165-172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which UPAN System Implementation using an NAN System as Ubiquitous Numbering and Address System. IT is based to UPTN and eNUM and also scribed by NAN of the ortho phonic korean alphabet. other case, in English. the UPAN system is integrated by two kind of numbering system, one is PSTN, another is domain name and address based IP. By this result we contributed personal ID and many kind of numbering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all kind of personal ID and numbering system by the proper auto-raising registration. Now, we are confirmed this is key solution of ubiquitous networking and defined supra service structures.

  • PDF

Improvement of Part / Module Numbering System for Automobile Industry (자동차 산업의 부품/모듈 번호체계 현황과 개선 방안)

  • Lee, Choon-Sik
    • IE interfaces
    • /
    • v.9 no.2
    • /
    • pp.173-189
    • /
    • 1996
  • 부품번호를 할당하고 관리하는 규칙은 모든 제조업체의 운용에 앞서 행해져야 하는 중요한 사항이다. 특히 완성차 제조업체의 경우 2-3만개의 부품이 사용되며, 선택사양의 다양화, 빈번한 설계변경에서의 신속한 대응, 부품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부품/모듈번호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H자동차 회사의 기존 부품번호 체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코드체계를 검토하여 개선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 제조업의 부품번호 체계와 관련된 이론의 수집/정리 2) 외국 완성차 업계의 번호체계 현황 조사/분석, 3) 완성차 소요부품과 관련된 코드체계의 의미를 명확화, 4) 부품번호의 균형 할당을 위한 작업이 수행되었다.

  • PDF

The Numbering System for VoIP Sevices (VoIP 서비스의 번호체계)

  • 원동유;신승수;조용환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1
    • /
    • pp.98-103
    • /
    • 2002
  • Currently, VoIP service related companies have different telephone number system according to the problem of VoIP which Have no unique number system, and they develop/use different number bits, shortening button, and so on. In this paper, for solving this problem, we analyzed the standadization trend of ITU-T and IEIE, and reserched domestic trend of VoIP number system standardization trend and use case of number system of VoIP services. According to this, we proposes three number allocation plan that satisfies the globe trend, simpleness of number allocation, and VoIP service provider's actual conditions.

  • PDF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es in Japan (공중 통신망의 E.164 번호체계와 루팅)

  • Kim, S.H.;Song, H.Y.;Hong, S.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4 s.58
    • /
    • pp.23-41
    • /
    • 1999
  • 활성화된 PSTN/N-ISDN 망과 B-ISDN망에서 공중망의 번호체계로 사용하는 ITU-T E.164에 대하여 각 망에서의 번호체계 및 번호사용방법(Dialing Plan)을 비교, 검토하고, B–ISDN 망의 E.164 번호계획(Addressing/Numbering Plan)/번호사용방법이 PSTN/N-ISDN 망과는 다른 방법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이유 및 방법과, 호처리시 착신번호와 함께 루팅에 사용되는 중계망 선택기능을 위한 망 식별번호(Network Identification)가 망의 번호체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PSTN/N-ISDN 망과 B-ISDN 망의 E.164 번호계획과 번호사용방법, 중계망 선택기능에 대하여 기술하고, 기존 통신망과의 서비스 연동을 위한 E.164 번호체계에서 B-ISDN 망의 식별번호 사용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A Study on Efficient Numbering Plan of Communication Networks (통신망의 효율적인 번호배분에 관한 연구)

  • 최영상;남지연;김석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05a
    • /
    • pp.82-86
    • /
    • 1998
  • 통신망 번호는 각종 통신망의 분류와 통신망 사업자를 식별하고, 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화망내에 새로운 통신망이 추가되면서 이들간의 식별을 위한 새로운 번호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국내 통신망 번호체계는 망번호 고갈, 지역번호 과다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화망내의 유ㆍ무선전화망, 무선호출망과 개인번호를 통신망이라 지칭하여 통신망 번호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 후 효율적인 번호배분방안으로 첫째, 현 10개의 통신망 번호체계를 통신서비스 특성이 동일한 점을 이용하여 5개로 통합하고, 둘째, 144개의 과다 지역번호를 5개로 광역화시키며, 셋째, 개인번호 서비스를 세기별로 교차 할당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방안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기술적 전환방안과 제도적 전환방안을 살펴보고 제안된 번호체계의 기대효과를 고찰한다. 본 번호계획을 시행시 통신망 가입자 번호가 8자리로 일원화되고, 통신망 번호 $\ulcorner$01X$\lrcorner$대에 5개의 예비번호가 확보되어 가입자번호도 1배이상 배분가능하다. 또한 지역번호 광역화로 번호수용이 23,760만에서 40,000만으로 늘어나며, 개인번호는 세기별, 10년 단위까지 구분이 가능하고 수용번호도 2배로 늘어 통일 및 향후 인구증가까지 대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XML Numbering Schemes for Efficient Update of XML Documents (XML 문서의 효율적인 변경을 위한 XML 번호체계)

  • Kim Young-Hyun;Kang Hy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5-58
    • /
    • 2004
  • XML 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XML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XML 질의의 표준화 작업도 활발히 이루어져 현재 XQuery가 유력한 표준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XQuery 등이 완전한 XML 질의어가 되기 위해서는 변경 연산을 제공해야 하는데 XML 변경어의 표준화 작업이나 XML 변경 처리 기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e-Business 등 XML 데이터베이스 기반 웹 응용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XML 문서 갱신에 대한 기법을 다룬다. XML 문서의 효율적 갱신을 위한 RN(RmdEid, NextChildEid) 번호 체계, R(RmdEid) 번호 체계 을 제시한다. 어떤 XML 번호 체계를 사용하여 XML 문서를 저장하는 가는 XML 문서의 갱신 연산에 중용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 번호 체계들은 데이터베이스내의 테이블 스키마의 차이점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들 번호체계 각각에 대하여 XM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들 기능의 성능 및 공간 부담을 평가한 결과를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Index Number of Nautical Chart of Korea (한국 해도 번호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ong-Sung;Lee, Hyong-Ki;Park, Young-Soo;Gang, Jeong-Gu;Park, Ji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3
    • /
    • pp.219-226
    • /
    • 2011
  • Now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KHOA) publishes 309 charts of 38 kinds of scale. Korea chart index number system is established with east, south and west sea areas. The chart number has been given irregularly in accordance with publication order so there is no consistence. The present chart index number system can classify sea areas but does not have information of scale, object and location. Therefore this chart's unsystematic management gives rise to inconvenience to the chart user. So, the standards of chart index number system is urgently need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 use of chart. In this paper, we intend to propose new chart index number system through adjusting area of chart and rearranging scale of chart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3 digits to 4 digits index number to gain competitiveness & systematic management of Korea nautical charts.

정보기술 KS 규격번호 체계 개정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83 no.11
    • /
    • pp.23-35
    • /
    • 1997
  • 정보기술 분야의 기본 특성 및 주요 선진국의 정보기술분야 규격 번호 체계를 고려하여 새로운 정보 기술 분야 KS 규격의 분류 및 번호 체계를 개발하고 97년도 3월 개정된 KS A 0001에 따라 부제 등을 도입하여 해당 국제 규격과 비교 검토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번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함.

  • PDF

A study on the Numbering Plan between B-ISDN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for interworking (B-ISDN과 데이터 통신망간 연동을 위한 번호체계 연구)

  • Hwang, Gunn;Kim, Yong-Jin;Choi, Jun-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276-281
    • /
    • 1998
  •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초고속통신망에서 데이터통신망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에 적용될 번호체계, 상호 접속 기준에 대한 기본적 요건과 기술적 표준/규정 등에 대한 정의가 미비한 실정이다. 초고속 통신망에 접속 및 운용될 데이터 통신망 중에서 초고속망의 번호 계획을 위하여 연동을 고려할 대상 망은 기존의 인터넷망, 패킷 데이터망, 및 ISDN 둥이 있다. 본 고에서는 ITU-T 표준 규격을 따르는 B-ISDN망과 데이터통신망간 연동을 위한 번호 체계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현재 제정된 ITU-T 표준 규격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데이터망, 인터넷망과 초고속망들의 번호 체계를 중심으로 상호 연동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초고속망에서의 번호이동성 방안도 검토하였다.

  • PDF

The Standardization Trend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Numbering Plan (통신 서비스와 번호계획 표준화 동향)

  • Kang, T.G.;Kim,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4
    • /
    • pp.63-74
    • /
    • 1994
  • 본 고에서는 통신 서비스의 발전 형태와 번호 계획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였다. 통신 서비스의 발전 형태로서 정보 통신 발전 추세, 서비스 및 망의 발전 전망과 이용구조 등을 설명하였고, 통신 서비스가 발전하고 표준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번호 계획에 대한 요구 사항 및 ITU-T 내에서의 번호 계획과 관련된 연구 과제를 기술하였다. 현재의 국제 번호 체계 아래에서 운용되고 있는 국내의 번호 체계, 이미 정의는 되었지만 시행되지 않고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번호 계획과 새로운 번호 계획의 탄생을 위해 정립되는 과정에 있는 UPT 번호 계획에 대한 최근 동향을 분석,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