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추얼 디자인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패션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시각적 요소가 팔로워 행동의도, 중독에 이르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Fashion Virtual Influencer's Visual Factors Leading to Follower's Behavioral Intention & Addiction)

  • 왕김남;배승주;이석호;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13-222
    • /
    • 2021
  • 본 연구는 패션 버추얼 인플루언서(FVI)의 시각적 요소가 팔로워 행동의도,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요즘 FVI의 팬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셜 플랫폼의 중독 현상도 증가하면서 연구자들은 FVI의 시각적 측면으로 팬들의 행동의도와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결과 FVI의 시각적 요소인 매력성은 전문성을 통해 진정성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진정성은 행동의도의 관계유지를 통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고 진정성은 몰입을 통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FVI의 시각적 요소가 행동의도와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시각적 요소와 진정성, 진정성과 행동의도, 행동의도와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들은 향후 FVI의 다양한 콘텐츠 유형, 소셜 플랫폼의 측면으로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버추얼 인플루언서 릴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반영된 패션의 의미 (The Meanings of Fashion on the Social Media of Virtual Influencer Lil Miquela)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23-333
    • /
    • 2021
  • 2016년 소셜미디어에 등장한 릴 미켈라는 오늘날 점차 주목받는 버추얼 인플루언서들 중 가장 알려진 존재이다. 특히 미켈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많은 패션 브랜드들과 실제적 협업을 이어가면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버추얼 인플루언서들의 활약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 패션이 지향하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미켈라의 인스타그램 내 스틸컷 이미지, 비디오 이미지, 미켈라의 설명, 댓글 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시도한 결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패션을 표현하는 방식 및 장치는 스토리텔링, 리얼리티, 태그와 하이퍼링크 등 세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경험의 대상, 테크놀로지의 지향, 시대정신의 구현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패션이 갖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에서 등장한 이후 점차 더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는 미켈라는 패션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한 버추얼 패션 인플루언서이며 앞으로 패션에 보다 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튜브 댓글을 통해 살펴본 버추얼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 연구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긍부정 감성 반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ceptions of Virtual Influencers through YouTube Comments -Focusing 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ward Character Design-)

  • 안효선;김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873-890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users' emotional responses to VI character design through YouTube comments. The researchers applied text-mining to analyze 116,375 comments, focusing on terms related to character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VI. Using the BERT model in sentiment analysis, we classified comments into extremely negative, negative, neutral, positive, or extremely positive sentiments. Next, we conducted a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on comments with extremely negative and extremely positive responses to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 design and emotional characteristic terms. We also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comments about Miquela and Shudu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s regarding the two character desig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m elements (e.g., voice, face, and skin) and behavioral elements (e.g., speaking, interviewing, and reacting) are vital in eliciting users' emotional responses. Notably, in the negative responses, users focused on the humanization aspect of voice and the authenticity aspect of behavior in speaking, interviewing, and reacting. Furthermore, we found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users expect based on the VI's field of ac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applications to character design to accommodate these variations.

클램핑 공정을 위한 유압실린더-부하계의 다축 위치 동기제어 (Multiple Axes Position Synchronizing Control of Hydraulic-Cylinder Load System for Clamping Process)

  • 조승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5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synchronizing adaptive feedforward control for clamping servo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Based on MBS, virtual desig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a direct forcing clamping mechanism. A synchronizing controller is designed and combined with adaptive feedforward control to accommodate mismatches between the real plant and the linear plant model used. From tracking control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significant reduction in position tracking error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proposed control scheme.

AC서보모터-볼스크루 구동 사출장치의 힘 동기제어 (Force Synchronizing Control for AC Servomotor-Ball Screw Driven Injection Unit)

  • 조승호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2권2호
    • /
    • pp.14-20
    • /
    • 2015
  • This paper focuses on the issue of force synchronizing control for the injection servo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Prior to the controller design, a virtual design model was developed for the injection mechanism with an AC servomotor-ball screw. A synchronizing controller is designed and combined with the PID control to accommodate the mismatches between the real plant and the linear model plant used. Due to the plant uncertainty, the stiffness and the damping of the mechanism were considered. From the tracking control simulations based on the virtual design model, it is shown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in force synchronizing error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a proposed control scheme.

2-방향 카트리지 밸브 기반 로직회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체력 제어 (Clamping force control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2-way cartridge valve based logic circuit)

  • 조승호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3권2호
    • /
    • pp.51-58
    • /
    • 2016
  •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issue of clamping force control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2-way cartridge valve based logic circuit. The operating principle for the cartridge valve is described with its construction and static opening behavior. Basic module circuits are designed first and analysed according to the basic functions. Then they are combined with a virtual design model for the clamping mechanism to simulat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overall system. The backlash inherent in the mechanism is considered while evaluating the time-delay in the process of clamping force build-up. The effects of a couple of design parameters in backlash, i.e., interval and stiffness have been demonstrated in the time-domain.

4축 구동 유압실린더-클램핑 부하 시스템의 힘 동기제어 (Force Synchronizing Control for 4 Axes Driven Hydraulic Cylinder-Clamping Load Systems)

  • 조승호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1권2호
    • /
    • pp.9-15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force synchronizing control for the clamping servo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Prior to the controller design, a virtual desig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clamping mechanism with hydraulic systems. Then, a synchronizing controller is designed and combined with an adaptive feedforward control in order to accommodate the mismatches between the real plant and the linear model plant used. As a disturbance, the leakage due to the ring gap with relative motion in the cylinder has been introduced. From the robust force tracking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force synchronizing error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a proposed control scheme.

비선형 강성 모델을 위한 드레이프 시뮬레이션 결과 추정 (Drape Simulation Estimation for Non-Linear Stiffness Model)

  • 심응준;주은정;최명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17-125
    • /
    • 2023
  • 가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의류 디자인 개발에서는 가상과 실제의 차이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가상 의상과 실제 의상의 유사성을 높이는 데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은 의상 제작에 사용될 옷감의 물성을 최대한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를 찾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최적화 절차에는 전문가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튜닝 과정이 포함되는데, 이 작업은 높은 전문성과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조정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를 적용한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라미터 튜닝에 주로 사용되는 드레이프 테스트 시뮬레이션 결과를 빠르게 추정하는 인공신경망 학습 모델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선형 강성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드레이프 시뮬레이션 전체를 추정하는 대신 일부만 추정하고 나머지는 보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제 의류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는 주로 비선형 강성 모델이 적용된 시뮬레이터가 사용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강성 모델을 대상으로 드레이프 시뮬레이션 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학습 모델은 시뮬레이션 결과인 고해상도 메시 모델 전체를 추정한다. 제시하는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세 가지 드레이프 테스트 방식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추정 정확도를 평가한다.

사출공정을 위한 AC 서보모터-부하계의 다축 속도 동기제어 (Multiple-Axes Velocity-Synchronizing Control of AC-Servomotor Load System for Injection Process)

  • 전윤선;정권;최장훈;안현;이형철;김영신;홍성호;조승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719-72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velocity-synchronizing control for the multiple axes of an injection unit; based on MBS, a virtual desig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multiple-axes servomechanism. Prior to the design of the controller, a linear plant model was derived via open-loop response simulations. To synchronize the motions of the multiple axes, a cross-type synchronizing controller was designed and combined with the PID control to accommodate any parameter mismatches among the multiple axes. From the tracking control simulations, a significant reduction of both velocity-tracking and position-tracking errors wa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LabVIEW를 이용한 UPS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Automated Test System for UPS using LabVIEW)

  • 나정훈;오성진;김경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7-469
    • /
    • 2006
  • 최신의 디지털 방식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10여 년 전의 아날로그 UPS에 비해 많은 설계 요인들로 인해 복잡해지고 있다. 고속-고성능의 DSP(Digital Signal Process), 다수의 I/O를 위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다기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다양한 통신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임베디드 디자인이 이렇게 복잡해지면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신뢰성 있게 테스트하기에 기존 방법으로는 충분치 않게 되었다. 본문에서는 NI(National Instruments)의 버추얼 인스트루먼트(Virtual Instrument)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테스트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