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지니아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5초

솔잎혹파리에 대한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 조사(調査) (Potential Resistance Factors in Pine Needles to Pine Gall Midge)

  • 손두식;엄태진;서재덕;이상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44-250
    • /
    • 1996
  • 솔잎혹파리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를 소나무, 해송, 버지니아소나무 및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에 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성충(成蟲)이 산란(産卵)을 위해 수종(樹種)의 선호성(選好性)과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된 방향물질(芳香物質)인 terpenoid와 phenolic compound에 대한 유충(幼蟲)의 생물학적(生物學的) 검정(檢定)을 실시(實施)하였다.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은 산란(産卵)을 위해서 수종(樹種)에 관계없이 전수종(全樹種)에 비산(飛散)하여 산란(産卵)을 하였으나 충영 형성율(形成率)은 버지니아소나무에는 0%,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는 9%, 소나무와 해송은 각각(各各) 25.6%, 22.2%이었다. 그러므로 솔잎혹파리는 버지니아소나무에는 산란(産卵)을 하나 유충(幼蟲)이 자라지 못하고 폐사(斃死)함으로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있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소나무류(類)에서 휘발(揮發)되는 terpenoid는 솔잎혹파리의 성충(成蟲)을 유인(誘引) 혹은 기피성물질(忌避性物質)이 아니었으며 또한 신초(新梢)에서 휘발생(揮發生)되는 terpenoids 및 송지(松脂)는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의 폐사(斃死)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솔잎혹파리의(幼蟲)을 사육(飼育)한 결과(結果)는 버지니아소나무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 salicylic acid와 chitinase의 용액(溶液)위에서는 유충(幼蟲)의 폐사율(斃死率)이 각각(各各) 89%, 92%, 86%이나 소나무에서 추출(抽出)한 phenolic compounds와 gallic acid에서는 56%, 57%이었다. 그러므로 버지니아소나무의 침엽내(針葉內)에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salicylic acid와 chitinase는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측된다.

  • PDF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 배경과 내용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omas Jefferson's Plan for a Botanical Garden for the University of Virginia)

  • 김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9-59
    • /
    • 2019
  • 본 연구는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의 배경과 내용을 고찰한다. 제퍼슨이 식물원 설립을 추진했던 시기가 유럽에서 식물원이 약용 식물원에서 진화한 때이자 미국에서 여러 식물원이 설립된 초창기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동시대 식물원과 비교하여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의 특징을 짚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세기 전후 구미 주요 식물원의 역할과 공간 구조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식물학과 식물원에 대한 제퍼슨의 관점과 식물원 구상안을 검토하며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을 당대 사례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그 배경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실용 과학으로서 식물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 인식, 그리고 식물학과 식물원에 대한 정보와 식물을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찾을 수 있다.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은 공공 식물원의 역할에 대한 식물학자 코레아의 의견이 바탕이 되어 제퍼슨에 의해 부지 조성과 개략적인 공간 구성, 식물 수급 방안을 포함한 실행 전략으로 발전되었다. 동시대 식물원 사이에서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이 지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본 이외에 교목 정원을 별도로 구성하고 의학이 아닌 식물학 연구와 교육을 강조했던 측면에서 18세기 후반 유럽 식물원의 약용 식물원에서 식물원으로의 진화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둘째, 장식적 요소를 배제하고 온실 설치를 거부하며 지역 기후에 적합한 해외 실용 식물을 확산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유럽과 미국의 많은 식물원과 다르다. 본 연구는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을 사례로 19세기 전후 식물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해외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3호통권133호
    • /
    • pp.84-90
    • /
    • 198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