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질

검색결과 2,669건 처리시간 0.035초

뇌의 자기공명(MR) 영상에서 백질과 회백질의 추출 (The Segmentation of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from brain MR Image)

  • 유현경;박종원;송창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431-43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뇌의 자기공명(이하 MR로 줄임) 영상에서 양측 대뇌반구의 뇌백질과 뇌회백질의 추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MR 영상은 특정 장기에서 일정한 gray level 값을 유지하는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로 줄임) 영상과는 달리 사람마다 gray level 값이 다르며 한 사람에 대해서도 각 슬라이스에 따라 gray level 값이 다르므로 각 슬라이스별로 조직의 특성을 파악하여 백질과 회백질의 추출에 이용하였다. 먼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두피, 근육, 두개골과 함께 안구를 제거한 후 두 개강 내에 위치한 뇌간과 소뇌의 특성을 차례로 인식하여 대뇌반구로부터 분리한 후 제거하였다. 또한 추출된 대뇌의 영상으로부터 백질과 회백질의 체적을 구하고, 뇌신경게 진단방사선과 전문의의 manual 작업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 PDF

사료 중 단백질 수준 및 CLA(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 문홍길;이성대;정현정;김영화;박준철;지상윤;김종대;권오섭;김인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95-7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육돈 사료내 조단백질 및 CLA 수준과 그들간의 상호작용이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일령이 비슷하고 체중이 79±1kg되는 3원교잡종 48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시료 중 조단백질 함량 2수준(11.3%, 16.0%)과 CLA 함량 2수준(0%, 2.5%)의 2×2 요인실험으로,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종료체중(P<0.05)과 일당증체량(P<0.01)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사료요구율(feed/gain, P< 0.01)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도체중량은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P<0.001), CLA 2.5% 첨가구가 CLA 무첨가구에 비해(P<0.01)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단백질 11.3% 첨가구에서는 CLA의 첨가가 도체중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0% 첨가구에서는 CLA 2.5% 첨가 시 도체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조단백질과 CLA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1). 등지방두께는 조단백질 11.3% 급여구가 16.0% 급여구에 비해, CLA 2.5% 첨가구가 CLA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조단백질 11.3% 첨가구에서는 CLA의 첨가가 등지방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0% 첨가구에서는 CLA 2.5% 첨가 시 등지방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조단백질과 CLA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01). 상강도(marbling score) 및 근내지방(intramuscular fat) 함량은 조단백질 11.3%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가 조단백질 16.0%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비육후기에 저 단백질 사료 급여로 등지방은 얇으면서 기호성이 높은 고 상강도의 돈육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정상적인 수준의 조단백질 사료 급여 시 CLA의 첨가로 등지방두께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혈액종양 환자에서 중추신경계 예방적 치료 후 발생한 백질뇌병증 (Leukoencephalopathy after CNS Prophylactic Therapy in Pediatric Hematologic Malignancy)

  • 이준화;이선민;최은진;이건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66-571
    • /
    • 2003
  • 목 적 : 백질뇌병증은 중추신경계 예방 요법을 시행하는 혈액종양 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로, 이러한 백질뇌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방법의 변경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 연구는 소아 혈액종양 환자에서 예방적 중추신경계 치료에 따른 백질뇌병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 방법 변경 후의 예후에 관해 조사하고, 백질뇌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기적 두부 자기공명영상 촬영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5년 10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B세포 림프종으로 진단받고 중추신경계 예방 치료 후 백질뇌병증이 발견된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와 MRI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 15명과 B세포 림프종 환자 1명의 백질뇌병증 진단 시 연령은 중앙값 5년 3개월이었고, 남녀비는 3 : 1이었다. 항암치료 시작 후 백질뇌병증 진단까지 걸린 시간은 2개월에서 17개월이었다. 백질뇌병증 발생 전 투여한 척수강 내 MTX 투여 횟수는 2회에서 15회로 16명에서 모두 시행하였고, 두부 방사선 치료는 10명에서만 시행하였고 용량은 1,800 rads였다. 백질뇌병증 진단 전 경련, 성격 변화, 두통, 정신 이상, 구음 장애, 의식 변화 등의 정신신경학적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10명 있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6명이었다. 백질뇌병증이 진단되었던 16명의 환자 중 4명은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2명의 환아 중에서 현재 계속 항암치료 중인 경우가 8명, 항암치료를 종료한 환자가 3명, 그리고 보호자가 원하여 항암치료를 중지한 경우가 1명이었다. 백질뇌병증 진단 후 자기공명영상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경우가 12명, 시기상 아직 시행하지 못한 경우가 4명이었으며 추적관찰을 시행한 경우 중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이 호전된 경우가 4명, 지속되는 경우가 6명, 악화된 경우가 2명이었다. 병변이 호전된 4명 중 2명은 병변이 거의 사라져 정상에 가까운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중추신경계 예방 요법으로 사용하는 척수강 내 MTX 주입 요법과 두부 방사선 조사를 비롯하여 정맥으로 투여되는 MTX 또한 백질뇌병증을 유발하며, 이러한 백질뇌병증은 증상없이 발현되는 경우도 많아 병변의 조기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자기공명영상의 촬영이 필요하며, 백질뇌병증의 발견 즉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신경학적 기능의 회복을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뇌백질 병변의 MRI 소견 (Magnetic resonance imagining findings of the white matter abnormalities in the brain of very-low-birth-weight infants)

  • 최재혁;장영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27-1135
    • /
    • 2009
  • 목 적 :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교정 주수 만삭(40주) 근처에 시행한 뇌 MRI 소견에서 뇌백질 이상 소견을 관찰하고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 발생과 관련 있는 임상 위험 인자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교정 주수 만삭(40주) 근처에 뇌 MRI를 시행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 98명을 대상으로 뇌 MRI의 뇌백질 이상 소견을 관찰하였다. 뇌백질 이상 소견 중 낭성 또는 비낭성 측뇌실 부위 백질 연화증 환아들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여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의 발생과 관련된 임상 위험 인자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결 과 : 1) 98명의 환아 중 DEHSI가 74명(75.5%), 뇌실 확장은 17명(17.3%), 국소 백질 음영 증가는 5명(5.1%), 측뇌실 부위 낭성 소견은 11명(11.2%), 종자층 출혈 또는 상의 하 낭종이 9명(9.1%), 뇌실 내 출혈이 3명(3.1%), 출혈 후 뇌수종이 2명(2.0 %), 측뇌실 부위 출혈성 경색이 2명(2.0%) 관찰되었다. 2)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 발생과 관련된 임상 위험 인자로는 낭성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에서는 재태 기간, 1분 Apgar 점수, CRIB-II 점수, 혈압 상승제 투여가, 비낭성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에서는 재태 기간, CRIB-II 점수, 출생 후 스테로이드 투여, 혈압 상승제 투여, 출생 시 비정상적인 백혈구 수치 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P<0.05).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낭성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에서는 CRIB-II 점수(odd ratio, 1.63, 95% confidence interval, 1.15, 2.30, P=0.006)가 비낭성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에서는 재태 기간(odd ratio 0.90, 95% confidence interval, 0.82, 0.99, P=0.036)이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결 론 : 교정 주수 만삭 근처에 시행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뇌 MRI는 다양한 뇌백질 이상 소견을 보였고, 측뇌실 부위 백질연화증 발생과 연관된 임상 위험 인자로는 CRIB-II 점수와 재태 기간이 의미 있었다.

신생아 백질연화증 환아 말초혈의 중성구 변화 (Changes of Neutrophil Count in Peripheral Blood of the Neonate wit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 이환석;박경필;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966-971
    • /
    • 2003
  • 목 적 : 조직 손상에 중성구가 관련하는 병변에서 말초혈 중성구 감소가 관찰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백질연화증 환아의 출생 직후 채혈한 말초혈에서 중성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백질연화증 발생에 있어서의 중성구 감소의 유무 및 나아가 백질연화증 발병 기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2월부터 3년 동안 체중 1,500 gm 미만인 신생아로 출생 1시간 이내에 말초혈 온혈구계산(complete blood count)을 시행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구는 말초혈에서 $1,500/mm^3$ 미만인 경우 중성구 감소로 판독하였다. 백질연화증은 두부 초음파 검사를 생후 3-7일에 시행하고 그 소견에 따라 1-2주 간격으로 반복 관찰하여 백질 에코의 증가 후 낭포를 형성하거나, 뇌 CT 혹은 MRI 검사에서 방사선과 전문의가 백질연화증으로 확진한 경우로 하였다. 결 과 : 중성구 감소 신생아는 대상 신생아 37명 중 13명으로 중성구 감소군 신생아의 중성구수는 $988{\pm}512/mm^3$, 중성구 감소를 보이지 않았던 24명의 대조군의 중성구수는 $7,450{\pm}7,412/mm^3$이었다. 중성구 감소군과 대조군의 재태주령, 체중, Apgar 점수, 산모의 임신유발고혈압 및 감염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성구 감소군의 호흡 곤란 증후군의 빈도 인공환기 및 산소 등의 호흡 보조 처치의 필요성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반 질환 중 뇌실내 출혈 및 grade 3 이상의 중증 뇌실내 출혈이 중성구 감소군에서 각각 10명(76.9%) 및 4명(30.8%)으로 대조군의 10명(41.7%) 및 1명(4.2%)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5, 0.042) 만성폐질환, 미숙아 망막증 및 백질연화증의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질연화증으로 확진된 환아 5명과 12명의 대조군의 백혈구 및 중성구 수는 백질연화증군 각각 $18,760.0{\pm}10,266.1/mm^3$, $7,272.0{\pm}7,435.0/mm^3$, 대조군 각각 $11,131.7{\pm}3,386.5/mm^3$, $2,407.5{\pm}1,933.1/mm^3$로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높았고 백질연화증 군의 인공환기 빈도는 80.0%, 인공폐표면 활성제 투여 빈도는 60.0%로 대조군의 41.7% 및 41.7%에 비해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높았으며 인공환기 기간 및 산소흡인 기간 역시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길었으나 대상군의 수가 적어 통계적 검정은 하지 못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는 중성구의 감소와 호흡 곤란 증후군 및 보조 호흡관리 상태 사이에는 관련성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중성구 감소 미숙아에서 백질연화증의 빈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과 뇌백질병변(腦白質病變)에 대한 연구 (Brain Atrophy and White Matter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lzheimer's Disease)

  • 우종인;김주한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03-210
    • /
    • 1996
  • 알쯔즈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 및 백질병변(白質病變)과 치매 발병연령(發病年齡)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밝히기 위해, NINCDS-ADRDA 진단기준(診斷基準)에 의한 조발성(早發性)(n=9) 및 만발성(慢發性)(n=18) 알쯔하이머형 치매군과 각각의 정상대조군(n=10 : n=11)에서 뇌위축(腦萎縮)은 대뇌피질위축(大腦皮質萎縮)과 뇌실확장(腦室擴張)의 체적(體積)을 계측(計測)하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뇌실주변, 심부백질, 기저핵 및 천막하영역의 백질(白質) 신호(信號) 고강도(高剛度)의 반정량적(半定量的) 평가척도(評價尺度)로 측정하였다. 조발성(早發性) 환자군의 뇌위축(腦萎縮)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컸고(p<0.05) 백질병변(白質病變)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만발성(慢發性) 환자군은 뇌위축(腦萎縮) 정도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부백질 및 시상에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도 대조군보다 심한 경향을 보였다. 알쯔하이머형 치매가 (1) 뇌위축(腦萎縮)을 주로 보이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하지 않은 조기발병군(早期發病郡)과, (2) 백질병변(白質病變)이 두드러지고 뇌위축(腦萎縮)은 심하지 않은 만기발병군(晩期發病郡)으로 나누어질 가능성과 양군의 병태생리(病態生理)가 상이(相異)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광 조사 및 차단 조건에서의 고기모형 유화물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수용성 단백질의 효과 (Effects of Light and Water Soluble Proteins on the Lipid Oxidation of Meat Emulsion Model System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형일;정명섭;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5-399
    • /
    • 1997
  • 본 연구는 염용성단백질과 대두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기모형유화물의 지방의 산화에 대한 수용성단백질과 빛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circ}C$에서 8일간 광선의 조사조건 및 광차단 조건하에서 저장하여 POV와 TBA가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유화물 시험구는 모두 네가지로서 염용성단백질로만 제조한 대조구와, 염용성단백질에 수용성단백을 첨가한 WSP시험구, 염용성단백질에 BHA를 첨가한 BHA시험구, 그리고 염용성단백질에 수용성단백질, BHA를 모두 첨가한 BHA+WSP 시험구이었다. 광선 조사 조건하에서 대조구와 BHA를 첨가한 시험구(BHA)간에는 저장 2일째를 제외하고는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의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BA가는 저장 4일째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BHA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저장 4일째와 8일째부터는 WSP시험구와 WSP+BHA 시험구는 대조구나 BHA 처리구 보다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TBA가 측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육색소인 myoglobin을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단백질이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BHA를 첨가해도 산화를 억제하지 못하였다. 수용성단백질과 BHA를 첨가한 고기모형유화물을 형광 조사가 없는 상태에서 냉장 저장하여 측정한 POV값과 TBA가는 형광 조사 시험구들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광감체나 빛의 조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1}O_{2}$의 생성보다는 육색소가 주요성분인 수용성단백질에 의해 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POV값이나 TBA가를 증가시키는데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 영상처리를 위한 백질과 회백질의 추출 및 체적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gmentation and Volume Calculation of the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for Brain Image Processing)

  • 김신홍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4호
    • /
    • pp.21-27
    • /
    • 2006
  • 본 논문은 사람의 뇌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에서 백질과 회백질을 분리하고 각각의 체적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대뇌 영상으로부터 백질, 회백질, 뇌척수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조직의 체적을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뇌 MR영상에서 체적을 산출하고 백질과 회백질을 산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각 구성 비율에 따라 표현되는 명암 값 분석을 통한 대뇌 자기공명영상으로부터 백질 및 회백질을 추출할 수 있는 판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각 슬라이스에 추출된 화소의 수를 이용하여 백질 및 회백질의 체적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뇌척수액/대뇌 체적비와 연령을 입력으로 받아 판별식을 통해 판별값을 계산하며, 계산된 판별값을 이용해 기준점과 비교함으로써 정상과 비정상을 진단하였다. 결과적으로 연령이 증가 할수록 백질과 회백질의 체적은 감소하고 뇌척수액의 체적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동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19-525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시기와 채취시기가 사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의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과 P, K, Ca, Mg 등의 무기물 그리고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감소하고 ADF (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는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P, K, Ca, Mg등의 무기물 및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10월 5일에서 10월 25일까지의 파종기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채취시기별로는 모든 파종기에서 조단백질은 개화후기 예취시,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 (NEG)는 출수기 예취시, 총가소화양분(TDN) 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제일 많았다. 4. 호밀의 채취적기는 관행사료가치 관점에서는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나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NEG)측면에서는 출수기 무렵이 적기로 판단되었다.

  • PDF

사료의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Ducks)

  • 권형주;추연경;오성택;김학규;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9
    • /
    • 2013
  • 본 실험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Lysine/TSAA)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45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으며,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36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조단백질 23 및 20%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31/1.09, 1.21/1.00 및 1.11/0.91와 1.11/0.91, 1.02/0.83 및 0.92/0.75였으며, 육성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및 17%,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00/0.79, 0.94/0.75 및 0.88/0.71와 0.88/0.71, 0.82/0.67 및 0.76/0.63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중과 일당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P<0.05), 아미노산(Lysine/TSAA)과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균일도는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성장성적, 도체율 및 상대적 중량 모두에서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전단력가 및 가열 감량에서도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토종오리는 육용종 오리와 달리 육성 후기의 경우 낮은 성장률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수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