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향율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초

가교체 종류에 따른 Semi-IPN Poly(phenylene oxide) 블렌드와 $BaTiO_3$ 복합재료의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Semi-IPN Poly(phenylene oxide) Blend/$BaTiO_3$ Composites with Type of Cross-linker)

  • 장용균;이호일;성원모;박상훈;윤호규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24-229
    • /
    • 2009
  • 가교체의 종류에 따른 semi-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poly(Phenylene oxide)(PPO) 블렌드와 $BaTiO_3$(BT)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PPO와 BT를 톨루엔에 분산하고 MEK 용매에 석출하여 얻어진 precursor PPO 복합재료에, 가교체와 과산화물을 용융혼합하는 방법으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Precursor PPO 복합재료는 PPO와 BT를 단순히 용융혼합한 복합재료보다 높은 유전율을 나타냈으며 대수혼합법칙에 의한 이론값과도 일치하였다. 가교체로서 triallyl isocyanurate의 도입에 의해 PPO 수지의 배향분극이 감소하여 유전율과 유전손실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4,4'-(1,3-phenylene diisopropylidene)bisaniline (Bisaniline)을 2,2-bis(4-cyanatophenyl)propane(CPP)와 혼합하여 가교하였을 경우에는 Bisaniline의 아민기에 의해 유전율과 손실이 증가하였으나, 치밀한 수지 조직과 충전제 계면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것으로부터 굴곡강도와 탄성률이 향상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었다.

지질단면을 이용한 교량 접속도로 퇴적암 비탈면의 안정성 검토 연구 (Slope Stability for Bridge Access Road on Sedimentary Rocks using Geological Cross Sections)

  • 임명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507-512
    • /
    • 2022
  • 연구 대상은 교량 접속도로 절취비탈면으로서 파괴 위험 가능성이 큰 중생대 경상누층군 퇴적암 비탈면이다. 비탈면의 구성 암석은 사암, 미사암 및 암맥이며, 불연속면은 층리와 전단절리, 인장절리 및 암맥 접촉면이 발달한다. 구간별로 파괴의 유형과 규모는 암석의 종류와 불연속면의 배향에 따라 다양하나 평면파괴가 우세하고, 파괴암체의 크기는 대부분 1m3 이하이다. face-mapping 자료, SMR, 암석의 물성·역학시험, 구간별 지질횡단면도 분석 및 한계평형해석으로 종합·검토한 결과, 대표적 단면 모두 건기 시와 우기 시의 허용안전율에 크게 미달하여 대책공법이 필요 하였다. 따라서 경제성, 효율성, 현장 특성, 등을 고려하여 비탈면 내 구간과 위치에 따라 대책공법 안을 제안하였고 대책공법을 적용한 후 비탈면의 건기 및 우기 시의 안전율은 모두 허용안전율을 상회 하였다. 특히, 법면 face-mapping 자료와 법면에 수직인 여러 대표 구간의 지질횡단면도, 그를 기본도면으로 사용한 한계평형해석 및 대책공법 제시는 비탈면의 객관적인 해석 및 안정성 검토의 합리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Phase Retardation 필름 기반 스마트윈도우의 태양열차단 성능 평가 시험 연구 (Evaluation Study of Performance for Solar Energy Blocking of Smart Windows based on Phase Retardation Film)

  • 김일구;양호창;박영민;서요한;이승현;홍영규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7-71
    • /
    • 2024
  • RM (reactive mesogen) 기반 투과율 가변형 스마트윈도우는 두 장의 스마트윈도우를 겹쳐 RM의 배향 각도의 차이에 따라 편광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M 기반 스마트윈도우의 창호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태양열의 차단 성능에 대한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300×300 mm2 크기의 λ/4 위상지연 필름 기반 스마트 윈도우를 제작하였으며, 이후 300 nm ~ 2500 nm 파장대역에서 스마트윈도우의 투과/반사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태양열취득율 (SHGC, solar heat gain coefficient) 값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투과모드와 차단모드에서 SGHC가 각각 0.722, 0.615의 값을 얻어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태양열 차단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스마트윈도우 적용 시 온도 상승 억제에 대한 영향성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박스를 제작하였으며, 세 개의 테스트 박스 (reference, 스마트윈도우 투과/차단 모드) 내부의 온도를 10분 주기로 7일 동안 관찰하였다. 오후 1시를 기준으로, 스마트윈도우가 적용된 테스트 박스의 내부 온도는 동작모드와 관계 없이 reference (유리기판)와 비교하여 낮은 내부 온도를 보였다. 특히 reference의 온도가 66.1℃로 가장 높았던 날에는 스마트윈도우가 적용된 테스트 박스의 온도는 61.0℃로 5.1℃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보여 위상지연 필름 기반 스마트윈도우의 태양열 차단 성능을 확인하였다.

지질횡단면을 활용한 원추형 현무암 비탈면 안정성 (Conical Slope Stability of Tertiary Basalt Based on the Geological Cross-Sections)

  • 임명혁;황성필;박병석;안준상;김우석
    • 지질공학
    • /
    • 제34권3호
    • /
    • pp.447-457
    • /
    • 2024
  • 연구 대상은 신생대 제3기 현무암 지층과 단층 및 파쇄대가 다수 발달하고 있는 절취 암반 비탈면으로서 법면의 주향이 다양하게 변하는 원추형 형상을 나타낸다. 비탈면 내 불연속면은 단층과 단층대 및 파쇄대, 전단절리 및 인장절리가 발달하며, 구간별로 파괴의 유형과 규모는 비탈면 및 불연속면의 배향에 따라 다양하며, 평면파괴와 쐐기파괴가 우세하다. 비탈면 현황도 자료 및 비탈면 암반분류(slope mass rating, SMR), 암석의 물성 및 역학시험, 평사투영법, 지질횡단면도 분석 및 한계평형해석 등을 검토한 결과, 3개의 대표 단면 모두 허용 안전율 미달로 대책공법이 요구되었다.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한 비탈면 안정성을 위해서는 사면구배완화공법과 함께 녹생토 표면처리 공법 및 낙석방지책 설치를 대책공법의 최적 방안으로 제시하며 적용 후의 비탈면 안전율은 모두 허용안전율 이상이었다. 비탈면 현황도 및 비탈면에 대해 수직인 여러 대표 구간의 지질횡단면도 작성, 대표단면으로 지질횡단면을 이용하여 한계평형 해석 및 대책공법에 대한 제시는 비탈면 3차원 해석과 안정성 검토에 관해 주요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원추형 비탈면과 같이 주향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는 다수의 지질횡단면도 작성이 필요하며, 한계평형해석을 위한 대표 단면은 구간별로 지질횡단면도를 기본도면으로 설정해야 한다.

스퍼터링법에 의한 ZnO 투명전도막의 제작과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ZnO transparent conducting film fabricated by the sputtering method)

  • 정운조;조재철;정용근;유용택
    • 센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5
    • /
    • 1997
  • 스퍼터링 방법에 의하여 유리 기판위에 ZnO 박막을 형성하여 증착막의 전기,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온에서 180 W의 고주파 전력과 $1{\times}10^{-3}$ Torr의 스퍼터링 압력일 때 증착된 박막에서 가장 강한 c축 배향성과 가장 낮은 저항률 값($1{\times}10^{-4}{\Omega}{\cdot}cm$)을 나타내었고, 이 때의 캐리어 농도 및 홀 이동도는 각각 $6.27{\times}10^{20}cm^{-3}$$22.04cm^{2}/V{\cdot}s$이었다. 증착된 ZnO 박막의 가시광 투과율은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330 nm 이하의 자외선 영역과 830 nm 이상의 적외선 영역에서는 뛰어난 광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증착된 박막을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저항률이 감소하였고, 안정된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중속에서의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미끄럼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liding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Hybrid Composites at Medium Sliding Speed)

  • 정형범;윤재륜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78-88
    • /
    • 2000
  •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구조용으로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항공산업, 우주산업, 스포츠레저산업, 자동차산업 등에서 그 응용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섬유 보강 고분자 복합재료는 비강도, 비강성이 높으며, 물리 화학적 성질, 동적 특성, 트라이볼로지 특성 등이 우수하여 고부가가치를 가지는 부품이나 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치차, 베어링, 캠, 씨일 등의 마찰부품으로도 사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구조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일정한 하중에 견디며, 마찰마모특성이 뛰어난 바이오미메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마찰 및 마모시험기를 설계하여 제작한 후 일방향 섬유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 성질을 측정하였다.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이 포함된 일방향 복합재료의 트라이볼로지 특성을 규명하여 이를 바탕으로 최소마모율이 예상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하여 유리섬유복합재료, 탄소섬유 복합재료, 아라미드섬유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섬유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성질은 섬유의 배향과 활주속도 및 보강섬유의 종류에 따라 변화함을 알았다. 각 시편에 대한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가 하이브리드화 된 복합재료의 구조를 제안하고 그 시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인라인 스퍼터링법에 의한 ZnO:Al 박막 증착 및 습식 식각에 따른 표면 형상 제어 (Control of surface morphologies of textured ZnO:Al films prepared by in-line RF-magnetron sputtering)

  • 김영진;조준식;박상현;윤경훈;송진수;왕진석;이정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6-179
    • /
    • 2009
  • ZnO:Al 투명전도막을 유리기판위에 in-line RF-magnetron sputtering법으로 증착온도 및 증착압력에 따라 제조하고, 습식식각에 따른 박막의 표면형상 및 광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초기박막은 육방정계(Hexanonal wurtzite)의 결정 구조와 (002)면의 c-축 우선배향성을 갖으며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광 투과도(T $\geq$ 80%)와 낮은 비저항($\rho\;=\;5.2{\times}10^{-4}{\Omega}{\cdot}cm$)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습식 식각 후 박막의 표면형상은 식각 전 박막의 결정성에 큰 의존성을 보이며 본 연구에서는 1 mTorr의 낮은 증착압력과 $350^{\circ}C$의 높은 증착온도에서 증착된 결정성이 우수한 막에서 높고 균일한 형태의 crater를 갖는 표면형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균일한 crater를 형성하는 ZnO:Al 박막은 hill 형태의 표면형상을 갖는 상용 Asahi-U glass에 비하여 높은 Haze ($T_{diffused}/T_{total}$)값과 넓은 산란각을 나타내어 향상된 광 산란특성을 갖으며 이는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내로 입사된 광의 산란경로를 증가시켜 태양전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ZT 박막제조시 하부전극과 buffer층에 따른 박막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PZT thin films with varying the bottom-electrodes and buffer layer)

  • 이희수;오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7-184
    • /
    • 1996
  • 본연구에서는 금속타겟을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PZT 박막의 전극 및 계면 특성의 개선을 위해, $Pt/SiO_{2}/Si$$Ir/SiO_{2}/Si$기판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buffer layer로는 $PbTiO_{3}$을 이용하였다. Pt하부전극을 이용하여 PZT 박막제조시 randomly oriented PZT 박막이 얻어졌으나, buffer layer를 이용한 경우 (100)으로 배향된 결정성이 좋은 PZT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Ir하부전극을 이용한 경우, buffer layer증착에 따른 PZT 박막의 상형성이 다소 증진되었으며, Pt하부전극의 경우에 비해 잔류분극의 증가와 항전계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ZT 박막제조시 buffer layer의 이용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Ir하부전극의 경우가 Pt하부전극의 경우보다 더 좋은 유전특성이 얻어졌다.

  • PDF

Sol-gel 법으로 제작한 Ga-doped ZnO 박막의 도핑 농도와 열처리 온도가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oping Concentrations and Annealing Temperatures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Ga-doped ZnO Thin Films by Sol-gel Method)

  • 강성준;정양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58-564
    • /
    • 2012
  • Sol-gel 법으로 Eagle 2000 유리 기판 위에 Ga 도핑 농도와 열처리 온도에 따른 GZO 박막을 제작하여,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 mol% Ga 이 도핑되고 $600^{\circ}C$에서 열처리한 GZO 박막에서 가장 우수한 (002) 배향성이 관찰되었다. Hall 측정 결과, Ga 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egregation 효과로 인한 캐리어 농도의 감소와 비저항 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1 mol% Ga 이 도핑되고 $600^{\circ}C$에서 열처리한 GZO 박막에서 가장 큰 캐리어 농도($9.13{\times}10^{18}cm^{-3}$)와 가장 낮은 비저항 ($0.87{\Omega}cm$)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박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약 80 % 이상의 투과율을 보였으며, Ga 농도가 1 에서 4 mol% 로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밴드 갭이 좁아지는 Burstein-Moss 효과가 관찰되었다.

굴곡 융착면을 이용한 고밀도폴리에틸렌 관의 버트 융착 공정에서의 열유체 거동 수치모사 (Numerical Simulation of Heat and Flow Behaviors in Butt-fusion Welding Process of HDPE Pipes with Curved Fusion Surface)

  • 유재현;최선웅;안경현;오주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561-566
    • /
    • 2017
  • 폴리머 재질의 관을 융착 시키기 위해서는 버트 융착 공정을 거치는데, 최근 융착면에 굴곡을 주어 융착 강도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융착면의 굴곡이 폴리머의 열유체 거동 및 융착 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2차원 축대칭 평면에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으며, 고밀도폴리에틸렌 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열유화 단계에서 융착면의 형상을 따라 굴곡진 상경계면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합 단계에서는 굴곡진 상경계면과 융착면 사이에서의 멜트의 압착 흐름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굴곡융착부의 낮은 전단율은 관의 축과 수직 방향 배향을 완화시켜 융착부 강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