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합수량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수경성 무기재료의 수화도 측정에 대한 건조방법의 영향: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 (Influence of Drying Methods on Measurement of Hydration Degree of Hydraulic Inorganic Materials: 1) Ordinary Portland cement paste and mortar)

  • 이효경;김형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1호
    • /
    • pp.92-105
    • /
    • 2018
  • 본 연구는 여러 수경성 무기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고정수량 측정을 위해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건조방법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본 제1보에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경우에 대해 다루었다. 다양한 w/c를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에 대해 진공건조 및 오븐건조, 이 둘의 조합 그리고 작열법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상대적으로 상온 진공건조 만으로는 신뢰도가 낮은 수화도 결과를 얻을 수 밖에 없으며, 오븐건조 만을 사용하면 1일 전후의 극초기 재령에 고온에서 수화촉진이 발생해 실제보다 더 큰 수화도 결과값을 얻게 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진공건조 후 오븐건조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위해 바람직한 수화도 측정방법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산부산물(農産副産物)을 이용(利用)한 식용(食用)버섯 재배(栽培) (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with Crop Residues)

  • 차동열;박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47-55
    • /
    • 1984
  • 양송이 재배(栽培)에 있에서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의 퇴비재료(堆肥材料)의 배합(配合), 야외퇴적(野外堆積) 및 후발효(後醱酵)에 관(關)한 시험(試驗)과 볏짚을 이용(利用)한 느타리버섯 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변 다음과 같다. 가) 합성퇴비배지(合成堆肥培地)의 탄소원(炭素源)으로서 볏짚은 보리짚과 밀짚보다 발효(醱酵)가 신속(迅速)하고 퇴비(堆肥)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이 높으며, 배지(培地)의 질(質)이 양호(良好)하여 양송이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현저(顯著)히 높았다. 나) 보리짚퇴비(堆肥)는 볏짚퇴비(堆肥)보다 생산성(生産性)이 낮으나 보리짚과 볏짚을 50:50으로 혼합(混合)하면 볏짚과 대등(對等)한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다) 퇴비배지(堆肥培地)의 전유기태질소(全有機態窒素)와 자실체수량간(子實體收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으나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와는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에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라)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 무기태질소원(無機態窒素源)으로서 요소(尿素)가 가장 좋았고 유안(硫安)과 석회질소(石灰窒素)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요소(尿素)는 3회(回) 분시(分施)할때 손실(損失)이 감소(減少)되었고, 퇴비(堆肥)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마) 유기태영양원중(有機態營養源中) 들깨묵, 참깨묵, 밀기울, 계분등(鷄糞等)의 첨가(添加)는 퇴비(堆肥)의 발효(醱酵)를 양호(良好)하게 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바) 양송이 볏짚퇴비(堆肥)를 제조(製造)할때 터널기계화(機械化)하므로 수량(收量)이 13 % 증수(增收)되었고,생산비(生産費)가 34 % 절감(節減)되었다. 사) 볏짚과 밀짚을 이용(利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뱃짚구(區)에서 높았다. 아)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를 $60^{\circ}C$로 6시간(時間) 열처리(熱處理)하므로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높았다.

  • PDF

기포제(起泡劑)를 사용(使用)한 모르터의 제성질(諸性質)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Mortars by Foaming Agent)

  • 안용득;강신업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92-308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기포(氣泡)모르터의 특성(特性)을 보통(普通)시멘트 모르터와 비교(比較)함으로써 기포(氣泡)모르터의 합리적(合理的)인 이용(利用)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마련할 목적(目的)으로 전기포주입형(前氣泡注入型)의 기포제(氣泡劑)를 사용(使用)하여 Flow치(値)($200{\pm}5mm$, $240{\pm}5mm$, $280{\pm}5mm$), 기포(氣泡)-시멘트비(比)(0.00%, 0.75%, 1.50%, 3.00%, 4.50%, 6.00%) 및 배합비(配合比) (1 : 0, 1 : 1, 1 : 2, 1 : 3)를 변화(變化)시켜 물-시멘트비(比), 밀도(密度), 제강도(諸强度) 및 흡수율시험(吸水率試驗)을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시멘트비(比) 증가율(增加率)은 보통(普通)시멘트 모르터에 비(比)하여 배합비(配合比) 1:0에서 Flow 치(値) $200{\pm}5mm$, $240{\pm}5mm$$280{\pm}5mm$와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6.00%일 때 25%, 28% 및 32%로 가장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며 이보다 부배합(負配合)일수록 물-시멘트비(比) 증가율(增加率)은 작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結果)는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일정량(一定量) 증가(增加)되면 결성(結性)이 높아져 수량(水量)이 증가(增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물-시멘트비(比) 감소율(減少率)은 보통(普通)시멘트 모르터에 비교(比較)하여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1.50% 일 때 각(各) 배합(配合)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총건밀도(總乾密度)는 보통(普通)시멘트 모르터에 비(比)하여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증가(增加)되고 대체로 Flow치(値)가 작을수록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냈다. 3. 일반적(一般的)으로 기포(氣泡)모르터의 압축(壓縮), 인장(引張) 및 휨 강도(强度)는 Flow치(値)가 작고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증가(增加)할수록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보였다. 4. 압축강도(壓縮强度)와 인장강도(引張强度)의 관계(關係)는 직선관계(直線關係)를 나타내며 압축강도(壓縮强度)는 인장강도(引張强度)의 약(約) 8.8배(倍)로 추정(推定)되었다. 압축강도(壓縮强度)와 휨 강도(强度)의 관계(關係)는 직선관계(直線關係)를 나타내며, 압축강도(壓縮强度)는 휨 강도(强度)의 약(約) 4.1배(倍)로 추정(推定)되었다. 휨 강도(强度)와 인장강도(引張强度)의 관계(關係)는 직선관계(直線關係)를 나타내며, 휨 강도(强度)는 인장강도(引張强度)의 약(約)2.1배(倍)로 추정(推定)되었다. 5. 흡수율(吸水率)은 모든 기포(氣泡)모르터에서 배합비(配合比) 1 : 1일 때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보다 빈배합(貧配合)이며 기포(氣泡)-시멘트비(比)가 증가(增加)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Flow치(値) $240{\pm}5mm$에서 적은 흡수율(吸水率)을 보였다. 그리고, 수침초기(水浸初期)에 기포(氣泡)모르터는 높은 흡수율(吸水率)을 나타냈다.

  • PDF

동결융해 및 제설제에 노출된 고속도로 소구조물 콘크리트의 내구성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Durability Improvement of Highway-Subsidiary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Deicing Salt and Freeze-Thaw)

  • 이병덕;최윤석;김영근;최재석;김일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8-135
    • /
    • 2016
  • 현재 고속도로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대부분 지속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동결 융해와 제설염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열화이고, 이는 완전하게 해결되지 않은 쟁점사항이다. 특히, 동결융해만이 작용할 때와는 달리 동결 융해와 제설염의 복합열화 환경에서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은 급격하게 저하되고 공용수명이 단축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고속도로 구간의 노출환경등급을 수립하고 콘크리트 손상정도와 염화물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배합조건을 개선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투과성, 박리저항성, 동결 융해 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의 손상범위가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내부 염화물량 또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물-결합재(W/B) 비 및 단위수량을 적게 하고, 플라이애시를 혼합하여 내구성을 개선한 콘크리트는 기존의 배합비 보다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도출한 최적 배합비는 콘크리트 관련 시방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도 및 공기량, 물-결합재 비 등의 기준에 부합하였고, 내구성 기준에 만족할 뿐 아니라 공용수명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숭어, Chelon lauvergnii 종묘생산 (Production of Mullet (Chelon lauvergnii) Seedlings)

  • 강희웅;박인석;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2000
  •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효율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어를 대상으로 부화후 70일까지 국립수산진흥원 보령수산종묘시험장에서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보령수산종묘시험장 인근해에서의 가숭어 산란시기는 5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다 3가지 먹이공급 계열 (즉, rotifer, Artemia nauplius 및 배합사료공급)을 적용한 실험군의 성장과 생존은 다른 2가지 먹이공급 계열군의 성장과 생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Maxima$^{TR}$ 로 영양강화한 rotifer로 먹이공급군, 그리고 오징어 간유로 영양강화한 Artemia nauplius로 먹이공급군의 생존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단위 사육수량 200 l 당 100~600마리를 기준으로 밀도 실험 결과 200 l 사육수당 100마리 자어 밀도군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P<0.05),모든 밀도 실험군은 97~98%의 생존율을 보여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알칼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 평가 (Evaluation of Shrinkage Strain of Alkali-Activated Slag Concrete)

  • 양근혁;서은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93-599
    • /
    • 2013
  • 알칼리활성(alkali-activated, AA) 슬래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을 평가하고 설계기준 및 제안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위수량, 물-결합재비 및 잔골재율을 변수로 17배합의 콘크리트를 준비하였다. 측정된 시간함수 및 건조수축 변형률은 ACI 209 및 CEB-FIP 기준식과 Yang 등의 제안모델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AA 슬래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물-결합재비에 현저히 영향을 받았지만 물-결합재비에 대한 시간함수의 영향은 비교적 작았다. AA 슬래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단위수량 $185kg/m^3$이상일 때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면, 잔골재율이 AA 슬래그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실험 결과와 평가모델의 비교에서 ACI 209 식은 AA슬래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상당히 과대평가하였으며, CEB-FIP 기준식은 재령 28일 이후 과소평가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Yang 등의 모델의 오차계수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0.16과 0.07로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원예용 육모 상토로서의 지렁이 분립의 이용에 관한 연구 - 지령이 분립의 혼합비율이 고추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Potential utilization of Earthworm Cast as Vegetable Plant Growth Media - Effects of mixing ratios with earthworm cast in nursery soil on pepper(Capsicum annuum L.) seedling growth -)

  • 한정아;전하준;조익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65-73
    • /
    • 1994
  • 본 연구는 지렁이 분립의 혼합비율이 고추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분립은 20,30,40,50%로 투입하고 나머지는 peatmoss와 vermiculite로 보충하여 배합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수, 엽면적, 건물수량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0.1%의 통계적 유리성), 지렁이 분립의 혼합비율에 있어서는 엽수, 엽면적 및 경중에서 1%와 엽중, 근중 및 생물학적 건물수량에서는 5%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상토가 국내 시판중인 상토 보다 조사후기에 접어들수록 많은 엽수와 엽면적의 증거를 나타내었다. 3. 지렁이 분립을 처리한 상토에서 대조구보다 전 육묘기간을 통해 엽중, 경중 및 근중 등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지렁이 분립의 비율이 40% 이상에서 현저하였다. 4. 조사시작 후 3주째까지는 엽중이 경중보다 높았지만 4주째 부터는 경중이 더 높았으며, 또한 육묘후기에는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처리에서 대조구 보다 경중이 더 높았다. 5. 생물학적 건물수량은 조사초기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후기에는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았다.

  • PDF

이앙직전 벼 육묘상자 살포용 완효성 비료의 처리 효과 (Effect of the Slow-releasing Fertilizer Applied Directly to Rice Seedling Tray Before Transplanting and Practical Test at Field)

  • 지정현;최병열;조광래;김순재;박경열;권오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8-14
    • /
    • 2013
  • 벼 재배시 본답의 기비와 분얼비를 대체하여 묘판에 1회 시비하는 용출제어형 입상배합(Bulk Blending) 피복비료를 시용 후 벼 생육과 수량, 품질, 경제성 등 완효성비료의 처리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육묘상비료의 T-N용출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고 온도에 관계 없이 분얼비 시용 시점인 14일경부터 높아져 21일경 최고에 달했다. 2. 이앙 후 60일에서 질소흡수이용율은 표준시비 28.6%에 비하여 개발된 육묘상 비료가 높았으며 200 g시비구에서 73.1%, 300 g시비구에서 66.1%로 나타났다. 3. 생육단계별(최고분얼기, 유슈형성기 등) 초장, 경수, SPAD값 생육상황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시비에서 표준과 대등하였다. 4. 성숙기에도 간장, 수장, 단위면적당 수수는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표준과 같거나 많았다. 5. 10a당 백미수량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시비량별로 보면 표준시비 528 kg 대비 개발된 육묘상 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525~552 kg으로 대등하거나 많았다. 6. 백미 품질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 수록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완전미율, 아밀로스함량, 백도, 투명도는 비료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따라서 표준시비량 이상의 수량과 품질 및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개발된 육묘상 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300 g/상자(실비. 9 kg/10 a)이었다. 8. 시비량은 육묘상비료가 표준시비에 비해 49.3% 절감되었고, 시비노동력도 49.2% 절감되었다.

향끽미종의 수확방법이 건조엽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Methods on Properties of Cured-leaves in Aromatic Tobacco Production)

  • 이철환;조명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7-183
    • /
    • 1989
  • 관행의 수확방법 대비 밀식과 증비수건하에서 하위엽을 수확치 않을 때의 실용성을 검사하고, 향끽미종 본래의 품질 특성을 유지하면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정 수확기간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행대비 밀식증비구에서 수량 및 kg당 가격이 높았고, 하엽 4수(5수) 제거 또는 방치구 경작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하위엽 폐엽에 따른 건조엽의 내용성분은 관행에 비해 밀식증비구가 본엽에서 환원당이 낮고 전질소 단백태질소 함량이 높을 뿐 큰 차이는 없었으며, 밀식증비한 수확방법간에는 KA102, Xanthi Basma 모두 하엽 8매 (10매) 방치구의 상엽에서만 환원당이 다소 낮고 니코틴 및 전질소 함량이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3. 수확기간을 단축한 조기수확구에서 수량 및 1kg당 가격이 저하되고 질소시용 수준은 3.0kg/10a 구에 비해 6.0kg/10a 시용이 수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kg당 가격은 거의 대등하였다. 4. 건조엽의 내용성분중 당함량은 수확기간별로 30일 수확구에서 높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니코틴 함량은 증가하며, 전질소, 단백태질소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질소증비구내에서 니코틴 및 전질소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5. 석유에텔 추출물은 40일구를 제외하고 증비시에 함량이 감소하고 하위엽에서 상위엽으로 갈수록 수확이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하의 결과, 향끽미종 수확 및 건조방법은 최대 생장기에 하위엽 4∼5매를 제거하거나 1회 수확엽을 방치한 후, 개화기경 첫 수확을 시작, 성숙진행에 따라 30∼40일간 5회에 걸쳐 하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3일이었고, 정상점에서의 수량은 439kg/10a으로서 FFD에서의 그것들과 비슷하였다. 나. CCD에 의하면 요인수와 수준수가 많아도 처리조합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실험재료의 절적,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간편화를 가져왔다. 다. CCD(각 요인별 5수준)는 FFD(각 3수준)에 비하여 수준수가 많았지만 결과를 도해화하기에 편리하였다. 라. 양 계획법에 있어서 수량의 정상점이 안부점인 것으로 보아 요인의 설정시 각 요인 상호간의 이질성을 고려해야 하며, 처리요인의 지나친 증가도 억제되어야 할 것이다. 마. CCD는 극한수준($\pm$2, $\pm$2, $\pm$2, $\pm$2, $\pm$2)의 처리가 없기 때문에 각 요인의 극한수준의 실험영역에 대해서는 적은 정보를 얻었으나. FFD보다는 많은 유익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는 획기적으로 처리수를 줄였어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아, 농사시험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적으로 확인되었다.적으로 확인되었다.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 PDF

CLSM의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적용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Prediction of the Flow and Strength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 임종구;김연중;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7-24
    • /
    • 2011
  • CLSM의 플로우 및 강도특성은 비회, 매립회, 시멘트, 수량 등과 같은 배합비에 크게 의존하므로, 각 구성요소들의 배합비와 플로우 및 강도값에 대한 역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CLSM의 구성성분 비율에 대한 플로우 및 압축강도값을 도출할 수 있는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학습을 통해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를 실험을 통하지 않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CLSM의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인공신경망모델에는 BPNN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 인공신경망 학습효율 및 예측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은닉층, 모멘텀상수, 목표시스템 오차값, 은닉층의 노드 수와 학습률을 변화시키면서 학습하여 각각의 변화에 따른 인공신경망 모델의 학습효율 및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인공신경망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모델 구축 시에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자료에 대해 예측을 실시하여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이를 기준으로 CLSM의 플로우 및 압축강도 산정에 적합한 최적인공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