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포체계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eaknesses in the Distribution System for Korean Government Publications (우리나라 정부간행물의 배포체계에 관한 분석)

  • Kim, Mee-Je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303-321
    • /
    • 2002
  • Government agency information has steadily increased as the role of government has expanded,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s increasingly a significant source for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government policy. Further, this information is an important resource for academic research oriented toward national development. However,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system for government information is far from ideal. This paper critiques that system It begins with a short history of Korean government Publishing policy, followed by a more detailed look at recent publishing trends. It then goes on to describe the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Korean government's distribution of its information, focusing on weaknesses that prevent information from reaching those who desire or need it.

  • PDF

아리랑 1호 위성자료 배포정책

  • 최기혁;이주희;백홍열;윤형식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
    • /
    • 2000
  • 2000년 6월부터 정상관측 활동을 시작하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 영상자료 및 과학관측 자료의 공공 및 상업적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위성자료 배포에 따른 문제, 즉 공공 및 상용분야에 대한 자료배포 방안에 관한 기본원칙을 설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항공우주연구소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의 자료활용 정책, 위성의 운영방안, 배포방안, 공공 및 상용배포, 가격정책 등에 관한 자료보급 규정을 제정하여 효율적인 자료배포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The construction of KOMPSAT-2 User Support System (다목적실용위성 2호 영상자료 사용자 지원체계 구축)

  • Jeon, Gap-Ho;Jeon, Jeong-Nam;Lee, Seon-Gu;Kim, Yun-Su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20-125
    • /
    • 2007
  • 다목적실용위성 2호(KOMPSAT-2)는 2006년 7월 28일 러시아 플레세츠크(Plesetsk)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현재 초기운영 및 영상 검증과정을 거치며 영상자료를 실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기위한 최종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1m급 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과 요청을 받고 있다. 항우연 우주웅용센터에서는 이상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하여 영상자료 주문접수 및 배포업무를 담당하는 전담팀 (KOCUST)을 구성하였으며, 국내외 상용배포 대행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용자지원 체계구축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자료 요청에서부터 촬영,데이터 생성 그리고 전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운성운영 과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를 증진시 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사용자들이 쉽게 다목적실용위성 2호 영상자료를 검색 및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Contents Metafi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DR (MDR을 이용한 콘텐츠 메타파일 관리 시스템 설계)

  • 유우종;임희영;임정은;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39-141
    • /
    • 2003
  •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은 '자료 수집, 등록, 검색, 배포' 의 기본 흐름을 가진다. 콘텐츠의 등록 및 검색/배포를 위하여 각 시스템은 콘텐츠에 대한 별도의 메타파일들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메타파일들은 데이터 요소의 중의성이나 모호함 때문에 일관되고 객관화 된 스키마를 가지지 못하여 체계적 분류 및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메타데이터 자체의 효율적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되고 있는 MDR을 자체 개발 중인 콘텐츠 메타파일 관리 시스템(CMMS:Contents Metafile Management System)에 적용하여 메타파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기준요소로서의 메타파일 역할을 극대화하고 향후 타 체계와의 연동 및 확장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 PDF

Design of a MDR based Contents Metafi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XTM (XTM을 이용한 MDR기반 콘텐츠 메타파일 관리 시스템 설계)

  • Yoo, Woo-Jong;Lim, Hee-Young;Lim, J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9-112
    • /
    • 2004
  •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은 '자료 수집, 등록, 검색, 배포'의 기본 흐름을 가진다. 콘텐츠의 등록 및 검색/배포를 위하여 각 시스템은 콘텐츠에 대한 별도의 메타 파일들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메타파일들은 데이터 요소의 중의성이나 모호함 때문에 일관되고 객관화 된 스키마를 가지지 못하여 체계적 분류 및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메타데이터 자체의 효율적 관리 및 연관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되고 있는 MDR과 토픽맵을 자체 개발 중인 콘텐츠 메타파일 관리 시스템(CMMS:Contents Metafile Management System)에 적용하여 메타파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기준요소로서의 메타파일 역할을 극대화하고 향후 타 체계와의 연동 및 확장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 PDF

How Protect Terrestrial Broadcast Contents? KBS' Systematic Strategy to Restrict Illegal Use (지상파 방송프로그램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KBS의 방송프로그램 보호 전략)

  • Kim, Byung-Sun;Cho, In-Joon;Hahm, Sang-Jin;Lee, K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208-211
    • /
    • 2010
  • 2012년 지상파 방송은 아날로그 송출을 종료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전환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은 무료로 누구나 시청할 수 있는 보편적 서비스를 지향하기 때문에, 케이블TV, 위성TV, IPTV 등의 다른 매체와는 달리 기술적 보호조치 없이 방송되고 있다. 또한 DTV 방송프로그램은 원본과 똑같은 화질로 개인이 쉽게 저장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DTV 방송프로그램의 무단복제와 인터넷을 통한 불법재배포는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불법 대량배포는 방송프로그램의 저작권을 심각히 침해할 뿐만 아니라, 방송사의 고품질의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인터넷을 통해 불법 콘텐츠를 사용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KBS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러 콘텐츠 보호 기술들을 하나의 보호 고리로 연결하는 KBS 보호기술 체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BS는 아래의 3가지 보호 기술을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적용하고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저작권과 배포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보호신호(PPI, 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와 워터마크를 방송 신호에 삽입하여 수신기에서의 프로그램 보호를 추진한다, 둘째, 인터넷 OSP(Online Service Provider)와의 제휴를 통하여 콘텐츠 필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프로그램 불법 업로드, 다운로드를 방지한다. 셋째, KBS 저작물 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터넷 상의 불법 프로그램 배포정보를 획득하여 불법배포가 진행되는 사이트에 보호를 요청한다.

  • PDF

A Perspective on Push Technology and Data Dissemination (Push 기술과 정보배포 기술의 분석 및 동향 연구)

  • Rhee, Yoon-Jung;Hyun, Eun-Sil;Kim, Jung-Bum;Kim, Tai-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31-1234
    • /
    • 2000
  • 최근, 인터넷, 무선 네트워크, 위성통신, 케이블 네트워크 등 서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결 능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데이터 배포에 기반을 둔 정보 중심 응용 분야를 새롭게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응용들은 데이터를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Push 기술을 사용하는데, Push 기술과 Broadcast와의 차이에 대해 최근에 많은 혼란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Push 기술이 데이터 전달 메커니즘의 비중있는 디자인의 한 면이라는 점과, 네트워크 정보시스템이 정보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른 집합사이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전달체계를 이용 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배포 기반의 정보 시스템과 그 응용들을 위한 디자인 공간의 특징을 정의하고, 현재의 Push 기술의 구현 방법을 분석한다.

  • PDF

Security Verification Framework for e-GOV Mobile App (전자정부 모바일 앱 보안성 검증체계)

  • Bang, Ji-Ho;Ha, Rhan;Kang, Pil-Yong;Kim, Hong-Ge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2C
    • /
    • pp.119-131
    • /
    • 2012
  • Recently smart phones have been proliferating widely and quickly. Since the number of mobile apps that are being developed and deployed to domestic/international app stores is rising, more apps are being installed and deleted by users without any difficulty. The deployed apps are each attested through distinct verification framework of specific app stores. However, such verification frameworks are insufficient in checking security concerns. Unfortunately, the security verification framework is necessary since the incidents of leaking privacy and confidential information are being increased in late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security verification framework that assures security and reliability of the e-government mobile apps. In order to verify proposed verification framework, a few apps were selected and inspected through proposed framework and these inspection results are included in this paper.

A Study 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Service Scenario for Video Signature of Broadcasting Program based on UCI Identification System (UCI 표준식별체계 기반 방송프로그램의 Video Signature 전송 및 관리 서비스 시나리오 연구)

  • Kim, Joo-Sub;Nam, J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9-23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방송프로그램 저작권 식별관리를 위한 방송프로그램의 Video Signature와 국가표준콘텐츠식별 체계인 UCI(Universal & Ubiquitous Content Identifier)와의 연계 방안을 제시한다. Video Signature는 UCI와 같은 식별자의 인위적인 부여 과정이 없더라도 비디오 콘텐츠 자체에서 직접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배포 유통된 콘텐츠에 대해서도 식별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 표준식별체계와 방송프로그램의 Video Signature와의 지속적인 연계를 위하여, 바이너리로 표현된 Video Signature가 포함된 UCI 응용 메타데이터를 정의한다. 그리고 UCI 표준식별체계 기반의 Video Signature 전송 및 관리 메카니즘에 기반한 방송프로그램의 저작권 식별관리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