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판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6 no.1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Contact Diagnosis between Pipeline and Steel casing (매설배관과 압입관의 접촉 부위 진단)

  • 박경완;이선엽;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05a
    • /
    • pp.38-38
    • /
    • 1999
  • 매설배관은 도로 혹은 철길올 횡단하는 경우와 같이 굴착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압업관을 사용하여 시공하며 이러한 압업관은 배관이 토양의 하중으로부터 안 전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압엽관은 배관과 접촉이 되지 않도록 절연체 를 배관과의 사이에 삽업올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배관과 접촉이 되기도 한디 배관과 압업관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배관을 방식하기 위한 방식전류 를 압입관에 빼앗기게 되고 압업관 내부의 배관은 비방식 상태에 놓이게 되어 부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실제 매설배관 현장에서 배관과 압입관의 접촉여부 에 대하여 조사한 방법 및 결과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업관의 접촉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 였다. 첫째. 배관과 압입관의 방식선위를 단순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배관과 압업관 의 전위가 같은가 다른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둘째, 배관의 방식전류를 on, off하면서 배관과 압입판의 전위거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배관과 압업관을 언위적으로 접촉시켜 흐르는 전류량을 확인함으로써 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배관을 따라 흐르는 방삭전류량을 측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배판과 접촉된 압압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촉된 압입관에서 접촉지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관과 압입관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고 압입 관의 양단의 배판 사이의 전위 변화를 측정하여 그 전위변화값과 인가한 전류값을 통 하여 계산된 저항올 배관의 길이로 환산하여 대략적인 접촉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Lap Joint using FSW with $2mm^t$ Aluminum Alloy Plate ($2mm^t$ 알루미늄합금재의 겹치기이음을 위한 마찰교반용접의 실험적 연구)

  • 장석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6
    • /
    • pp.728-735
    • /
    • 2003
  • This paper shows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Lap joint using the friction stir welding with $2mm^t$ aluminum alloy plate and the determination of tool-dimensions for FSW in milling machine. This research also is reported on obtaining the tensile-shear strength, 91.3 (MPa) and the energy absorption, 26.3 (J) for Lap jointed specimen. The optimal tool-dimensions and method for Lap joint using FSW is as follows; each diameter of shoulder and pin is $9\phi(mm) and 3\phi(mm)$, the length of pin is 3.6(mm), Pressing the shoulder of tool into original base metal is not reasonable.

광학세계 창간 20주년 기념 설문조사 - "광학계의 비전제시와 광학인의 사랑방 역할에 최선"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20
    • /
    • pp.39-44
    • /
    • 2009
  • 한국광학기기협회가 격월간으로 발행하는 광학세계가 창간 20주년을 맞아 독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989년 4월 창간되어 2009년 3월로 통권 120호가 되는 광학세계는 그간 광학분야 전문잡지로 자리매김을 해왔다. 20년 동안 내용적인 변화는 물론 외형적인 변화도 있었다. 초기 $4{\times}6$배판에서 $5{\times}7$국배판으로 변화됐으며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상에서도 과월호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설문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대체로 현재의 편집스타일과 기획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부분 광학세계를 통해 산업 및 업계 동향 파악의 활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술 및 시장 동향 소개를 바라는 요구가 있었다. 광학세계는 이와 같은 독자들의 생생한 평가와 제안을 수렴하여 앞으로 더욱 독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광학전문잡지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 PDF

A Suggestion to Revise Some Morphological Terms in Insect External Structure (몇 가지 곤충 외부구조 명칭의 재조정 제안)

  • Lee, Young 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6 no.4
    • /
    • pp.435-436
    • /
    • 2017
  • Subgena and clypeus are a continuous plate, so should be collectively called as peristoma. Subsequently, subgenal sulcus is revised into peristomal sulcus or cranio-stomal sulcus. Ptilinal suture on dipteran adult head is revised into ptilinal fissure. Notal and pleural wing processes are revised into notal and pleural process, respectively. The lower plate of abdomen is ventum, while that of thorax is sternum.

On a New Species , " Drosophila ciarofinis" sp.nov (초파리 일신종에 대하여)

  • 이택준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 no.2
    • /
    • pp.7-9
    • /
    • 1959
  • 우리말이름 : 쌍줄무늬초파리(신칭) 1956년 9월부터 1959년 11월까지에 국내각지에서 야생초파리를 채집하여 정리한 결과는 3 신종 1미기록종을 포함한 8촉 57종, 45,650개체이다. 그 중 " Lrosophila" 촉하는 일신종으로 인정되는 68개체를 1958 년과 1959년에 공주, 대천, 무주, 설악산등지에서 채집하였다. 본종은 " Drosophila nipponica " KIKKAWA '||'&'||' PENG 에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으로써 명확한 차이점을 가진다. 채색은 황색, 체장은 약 1.8mm 흉부판에 불규칙한 4-6례의 배모열수를 가진다. 복부배판의 검은 횡대는 중간에서 넓게 끊겨져 있는데 ♂은 2-5복부판양측에 ♀은 2-6복배판 병측에 검은 무늬를 가진다. 그리고 외부생식기의 파악기에는 약 10개의 강직한 검은 망모가 변선부 기리의 약 1/2을 점하고 있다. 란은 약간 굽은 두 개의 돌기를 가진다. 개의 돌기를 가진다.

  • PDF

A New Record of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 (Acari, Mesostigmata, Ascidae) from Hallasan Mountain in the Republic of Korea (한라산에서 발견된 미기록 응애 Asca bicornis (응애아강,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의 보고)

  • Keum, Eunsun;Jung, Chuleui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7 no.3
    • /
    • pp.191-197
    • /
    • 2018
  • Mites in the family Ascidae are soil dwelling predators of small insects which would have potential to be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 In Korea, 10 genera of 24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family. During the soil acarine biodiversity study,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 was discovered from moss habitat on Muljangori craer lake 936 m alt in Hallasan mountain in Jeju which was designated as UNESCO Biosphere reserve and World herigate site. We reports this as a new record to Korean Mesostigmata fauna, and provide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This species has morphologically characteristic as all dorsal setae nude and needle shaped, lateral caudal projection of Z4 shape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on-general species of A. aphidioid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 영상분석(映像分析)에 의한 haemaphysalis longicornis 의 표면(表面) 미세구조(微細構造))

  • Kang, Yung bai;Jang, Du hwan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24 no.2
    • /
    • pp.213-226
    • /
    • 1984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odel; SEM ISI-DS-130) was used to observe the fine surface structures of the predominant cattle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Acarina: Ixodidae) in Korea and some SEM microphotographs were presented in this pictorial monograph. Brief descriptions of the main contents are consisted of followings; L Mean body size is 2.43mm in unfed males and 2. 58mm in unfed females, the eyes are absent. 2. The scutums are inornated but there are some short-setae on the surface of the body. 3. The festoons on the dorso-marginal part of the body are present and segmented with 11 sectors. 4. The cornua is well-developed and the bypostome dentition is usually 5/5 in both sexes but rarely 4/4 also seen. 5. There is no dorsal projection on the anteriointernal margin of the palpal article 2, howevever, there are well developed dorso-internal setae with setal fossa on it. 6. The joints of the legs (Coxatrochanter and trochanter coxa, etc) are well developed.

  • PDF

A Study of the Making of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in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 Lee, Hyeyo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2
    • /
    • pp.242-253
    • /
    • 2020
  • Six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excavated from stone chamber No.1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kam-ri, Naju. The ornamental quiver fittings are metal, but the body of the quiver was made of organic material, so that it corroded and disappeared in the burial environment.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made in pairs, and decorated one quiver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y were found in and their forms.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 band style ornament (帶輪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arrow pouch, and a board style ornament (板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board connecting the waist belt. Two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2 of stone chamber No.1, were made in the band style, while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from southeast of stone chamber No.1 were identified as two boardstyle ornaments and two band-style ornaments for what was presumed to be belt loops. Material analysis of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shows that they are made of a gilt bronze plate attached to an iron plate, and the surface is marked with a speck of chisel to make lines and patterns.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XRF) established that 24~40wt% Au and 50~93wt% Cu were detected on the gold surface, and it was confirmed that bronze corrosion had taken place on the gilt surface. SEM-EDS analysis of the gold plating layer identified a working line for glossing, and 7~9wt% Hg and an amalgam of gilt layers was detected, confirming the amalgam gilding. CT and FT-IR analysis established that the band style was double-layered with silk fabric under the iron plate, and there was also a lacquer piece underneath. The band-style ornaments have two layers of silk under the iron plate, along with lacquer pieces. Adding the fabric to the arrow pouch increases adhesion and decorative value. It is assumed that the lacquer pieces indicate that the surface of the lacquered arrow pouch had fallen together with the ornaments. On the other hand, the board-style ornaments have a thick layer of organic matter under the iron plate, but this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appears to be a remnant of the quiver boar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similar in Baekje, Silla, and Gaya cultures from the late 4th to the late 5th centuries, and enable us to identify the art of ancient gold craftwork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