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판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큰배판응애과(Mesostigmata: Aceosejidae)의 3 미기록종 보고 (Aceosejid Mites (Mesostigmata: Acari) in Korea)

  • 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54-57
    • /
    • 2003
  • 1995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한국의 40개 지역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응애를 분리하였다. 그 중, 큰배판응애과에 속하는 다음의 3종을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발견하였기에 보고한다. Platyseius mollicomus (Berlese, 1916) 납작배판응애 (신칭) Sejus nepalensis Evans & Pyatt, 1960 네팔배판응애 (신칭) Zerconopsis decemremiger Evans & Pyatt, 1960 구멍배판응애(신칭).

  • PDF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매설배관과 압입관의 접촉 부위 진단 (Contact Diagnosis between Pipeline and Steel casing)

  • 박경완;이선엽;전경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8-38
    • /
    • 1999
  • 매설배관은 도로 혹은 철길올 횡단하는 경우와 같이 굴착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압업관을 사용하여 시공하며 이러한 압업관은 배관이 토양의 하중으로부터 안 전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압엽관은 배관과 접촉이 되지 않도록 절연체 를 배관과의 사이에 삽업올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배관과 접촉이 되기도 한디 배관과 압업관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배관을 방식하기 위한 방식전류 를 압입관에 빼앗기게 되고 압업관 내부의 배관은 비방식 상태에 놓이게 되어 부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실제 매설배관 현장에서 배관과 압입관의 접촉여부 에 대하여 조사한 방법 및 결과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업관의 접촉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 였다. 첫째. 배관과 압입관의 방식선위를 단순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배관과 압업관 의 전위가 같은가 다른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둘째, 배관의 방식전류를 on, off하면서 배관과 압입판의 전위거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배관과 압업관을 언위적으로 접촉시켜 흐르는 전류량을 확인함으로써 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배관을 따라 흐르는 방삭전류량을 측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배판과 접촉된 압압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촉된 압입관에서 접촉지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관과 압입관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고 압입 관의 양단의 배판 사이의 전위 변화를 측정하여 그 전위변화값과 인가한 전류값을 통 하여 계산된 저항올 배관의 길이로 환산하여 대략적인 접촉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2mm^t$ 알루미늄합금재의 겹치기이음을 위한 마찰교반용접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Lap Joint using FSW with $2mm^t$ Aluminum Alloy Plate)

  • 장석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728-735
    • /
    • 2003
  • This paper shows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Lap joint using the friction stir welding with $2mm^t$ aluminum alloy plate and the determination of tool-dimensions for FSW in milling machine. This research also is reported on obtaining the tensile-shear strength, 91.3 (MPa) and the energy absorption, 26.3 (J) for Lap jointed specimen. The optimal tool-dimensions and method for Lap joint using FSW is as follows; each diameter of shoulder and pin is $9\phi(mm) and 3\phi(mm)$, the length of pin is 3.6(mm), Pressing the shoulder of tool into original base metal is not reasonable.

광학세계 창간 20주년 기념 설문조사 - "광학계의 비전제시와 광학인의 사랑방 역할에 최선"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120호
    • /
    • pp.39-44
    • /
    • 2009
  • 한국광학기기협회가 격월간으로 발행하는 광학세계가 창간 20주년을 맞아 독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989년 4월 창간되어 2009년 3월로 통권 120호가 되는 광학세계는 그간 광학분야 전문잡지로 자리매김을 해왔다. 20년 동안 내용적인 변화는 물론 외형적인 변화도 있었다. 초기 $4{\times}6$배판에서 $5{\times}7$국배판으로 변화됐으며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상에서도 과월호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설문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대체로 현재의 편집스타일과 기획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부분 광학세계를 통해 산업 및 업계 동향 파악의 활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술 및 시장 동향 소개를 바라는 요구가 있었다. 광학세계는 이와 같은 독자들의 생생한 평가와 제안을 수렴하여 앞으로 더욱 독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광학전문잡지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 PDF

몇 가지 곤충 외부구조 명칭의 재조정 제안 (A Suggestion to Revise Some Morphological Terms in Insect External Structure)

  • 이영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35-436
    • /
    • 2017
  • 곤충 머리에 있는 subgena (아랫뺨)와 clypeus (두순)는 연속된 피부판으로 통칭하여 peristome (입둘레판)으로 일컫는다. 따라서 subgenal sulcus (아랫뺨선)는 peristomal sulcus (입둘레홈) 또는 cranial-stomal sulcus (두개-입선)로 개정한다. 집파리류 성충 머리에 있는 ptilinal suture (이마주머니선)는 ptilinal fissure (얼굴주름)로 개정한다. 가슴에 있는 wing process (날개돌기)는 등판에 있는 것은 notal process (등판돌기), 옆판에 있는 것은 pleural process (옆판돌기)로 각각 개정한다. 곤충 몸 아래쪽을 지칭하는 영역을 복부는 ventum (배판), 가슴은 sternum (가슴판)으로 각각 지칭한다.

초파리 일신종에 대하여 (On a New Species , " Drosophila ciarofinis" sp.nov)

  • 이택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9
    • /
    • 1959
  • 우리말이름 : 쌍줄무늬초파리(신칭) 1956년 9월부터 1959년 11월까지에 국내각지에서 야생초파리를 채집하여 정리한 결과는 3 신종 1미기록종을 포함한 8촉 57종, 45,650개체이다. 그 중 " Lrosophila" 촉하는 일신종으로 인정되는 68개체를 1958 년과 1959년에 공주, 대천, 무주, 설악산등지에서 채집하였다. 본종은 " Drosophila nipponica " KIKKAWA '||'&'||' PENG 에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으로써 명확한 차이점을 가진다. 채색은 황색, 체장은 약 1.8mm 흉부판에 불규칙한 4-6례의 배모열수를 가진다. 복부배판의 검은 횡대는 중간에서 넓게 끊겨져 있는데 ♂은 2-5복부판양측에 ♀은 2-6복배판 병측에 검은 무늬를 가진다. 그리고 외부생식기의 파악기에는 약 10개의 강직한 검은 망모가 변선부 기리의 약 1/2을 점하고 있다. 란은 약간 굽은 두 개의 돌기를 가진다. 개의 돌기를 가진다.

  • PDF

한라산에서 발견된 미기록 응애 Asca bicornis (응애아강,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의 보고 (A New Record of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 (Acari, Mesostigmata, Ascidae) from Hallasan Mountain in the Republic of Korea)

  • 금은선;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197
    • /
    • 2018
  •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는 토양에 서식하는 포식성 응애로, 토양해충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떠돌이응애과는 10속, 24종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물장오리오름에서 토양응애 생물다양성 연구 중 이끼에서 우리나라 미기록종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을 발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등판과 배판의 묘사를 통해서 형태적인 특징을 자세히 제공하였다. 근연종인 A. aphidioides는 등판 양쪽 말단에 돌출된 혹에서 각 1개의 센털이 있으나, A. bicornis는 2개가 나 있다.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 영상분석(映像分析)에 의한 haemaphysalis longicornis 의 표면(表面) 미세구조(微細構造)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 강영배;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3-226
    • /
    • 1984
  • 가축(家畜)의 외부기생충(外部寄生蟲) 중에서 가장 피해(被害)가 크고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높은 진드기인 Haemaphysalis longicornis의 표면(表面) 미세구조(微細構造)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Model; SEM ISI-DS-130)을 사용(使用)하여 그 영상(映像) 및 사진분석(寫眞分析)을 실시(實施)하여 그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본(本) 논문도감(論文圖鑑)에 수록(收錄)한 주요내용(主要內容)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미포혈(未吸血) 암컷에 대(對)한 정면소견(正面所見) 및 미포혈(未吸血) 수컷에 대(對)한 정측면소견(正側面所見). 2. 암 수컷의 악체부(顎體部) 배면소견(背面所見) 및 복면소견(腹面所見). 3. 구하편(口下片) 치열(齒列)과 관상(冠狀) 주열(柱列)의 소견(所見). 4. 지관절(肢關節)의 구조(構造). 5. 배판(背板), 전절(轉節) 및 퇴절상(腿節上)의 강모(剛毛) 형태(形態)와 체표면(體表面) 구조(構造). 6. 촉지상(觸肢上)의 강모(剛毛)와 강모라의 형태(形態).

  • PDF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A Study of the Making of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in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 이혜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42-253
    • /
    • 2020
  •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1호 석실에서 화살통 장식 6점이 출토되었다. 유기물로 만들어진 화살통은 매장 상태에서 부식되어 없어지고 금속으로 만들어진 화살통 장식물만 남게 된다. 정촌 고분 화살통 장식은 형태적으로 2점씩 쌍을 이루며, 출토 위치에 따라 화살통 2점을 장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살통 장식은 화살의 방입부(方立部)를 꾸며주는 대륜상금구와 방입부와 허리띠를 연결하는 배판(背板)을 장식하는 판상금구로 나누어진다. 1호 석실 목관2에서 출토된 화살통 장식은 대륜상금구만 확인되었으며 1호 석실 동남쪽에서 확인된 화살통 장식은 허리띠에 사용된 추정 대구, 판상금구, 대륜상금구가 확인되었다. 화살통 장식의 분석 결과, 철제 판에 금동 판을 접합한 철지금동장식제(鐵地金銅裝飾製)이며 표면을 정(釘)으로 점을 찍어 선과 문양을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성분 분석 결과(XRF), 금동 표면은 24~40wt% Au, 50~93wt% Cu가 검출되어 금도금 표면에 청동 부식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도금 층의 SEM-EDS 분석 결과 광택을 내기 위한 작업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7~9wt% Hg가 검출되고 도금 층에 아말감 덩어리가 확인되어 아말감 도금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T와 FT-IR 분석 결과 대륜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견직물이 2중으로 겹쳐 있으며 그 아래 옻칠편도 붙어 있었다. 이는 대륜상금구를 방입부에 부착할 때 직물을 덧대어 밀착력과 장식성을 높였으며, 옻칠 된 방입부 표면이 함께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판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유기물이 두껍게 붙어 있다. 재질을 확정하기 어려우나 배판의 잔재로 보인다. 이러한 나주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특징은 4세기 후반~5세기 후반의 백제, 신라, 가야 문화권과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며 당시 수준 높은 고대 금속 공예 제작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