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터리 시간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s of time ratios and shapes in battery indicator of mobile devices on users time perceptions (배터리 표시의 모양 및 시간 비율이 사용자 체감시간에 미치는 효과)

  • Kim, Huhn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27-33
    • /
    • 2011
  • The battery lifetim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oduct qualities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PMP. It is used to be displayed by a 'battery bar' icon with uniformly divided three or four blocks. However, several manufacturers of mobile phones have assigned uneven time ratios to each battery block because they believe that it can make users feel more long in battery lifetime.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first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uneven time ratios in each battery block on users' cognitive awareness of battery lifetime.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mpatibility between battery displays and actual time ratios affects the users' time perceptions. The results show that as low battery bar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users tend to be aware of the battery lifetime shorter. On the contrary, maintaining full battery status longer does not affect the users' time perception.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guidelines for determining proper time ratios in designing the battery bar indicator of mobile devices.

  • PDF

Alternating Battery Discharge Method Using Discharge Time Balancing (방전 시간 밸런싱을 사용한 배터리 교대 방전 기법)

  • Lee, Jong-Bae;Lee, Seongsoo
    • Journal of IKEEE
    • /
    • v.19 no.3
    • /
    • pp.366-370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ng battery discharge method by balancing discharge time of battery cells,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battery lifetime. In the conventional method, several battery cells are alternately discharged to make battery recovery effect, and this increases battery lifetime. In this case, there are some overlap intervals where several battery cells are ON to avoid system power cut-off, but this makes several problems due to the voltage differences of battery cells. To mitigate these problems, discharge time of battery cells are controlled to make battery cell voltages as equal as possible. Measurements show that the battery lifetime is exxtended by 19.2% in the proposed method.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Based on Recovery Effect (회복효과에 기반한 배터리 사용 시간 연장 기법)

  • Lee, Jong-Bae;Lee, Seongsoo
    • Journal of IKEEE
    • /
    • v.18 no.1
    • /
    • pp.96-105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method based on the nonlinear discharge charisteristics called recovery effect. In general, the stored energy in a battery is considered in the prediction of battery lifetime. However,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in a battery, more energy can be drawn from a battery when it is not continuously but intermittently discharged, which is called recovery effect. In the proposed method, several battery cells are alternately discharged, and some battery cells rest while maintaining the system power supply. This makes recovery effect of battery cells, which extends battery lifetime. In the experiment, battery lifetime increases about 7% in the alternating discharge of two battery cell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rallel discharge.

Power Charge Scheduling and Charge-Ready Battery Allocation Algorithms for Real-Time Drones Services (실시간 드론 서비스를 위한 전원 충전 스케쥴링과 충전 배터리 할당 알고리즘)

  • Tajrian, Mehedi;Kim, Jai-Hoo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8 no.12
    • /
    • pp.277-286
    • /
    • 2019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s one of the most precious inventions of Internet of things (IOT). UAV faces the necessity to charge battery or replace battery from the charging stations during or between services. We propose scheduling algorithms for drone power charging (SADPC). The basic idea of algorithm is considering both a deadline (for increasing deadline miss ratio) and a charging time (for decreasing waiting time) to decide priority on charging station among drones.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ower charging algorithm for drones are efficient in terms of the deadline miss ratio as well as the waiting time in general in compare to other conventional algorithms (EDF or SJF). Also, we can choose proper algorithms for battery charge scheduling and charge ready battery allocation according to system parameters and user requirements based on our simulation.

Dynamic Task Scheduling Mechanism Guaranteeing the Residual Time of Battery (배터리 지속 시간을 보장하는 동적 작업 스케줄링 방법)

  • 김지성;이완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565-567
    • /
    • 2004
  •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존 연구에서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를 최대한 연장하여 사용하는 방법들에 관하여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정해진 시간동안 배터리가 소진되지 않도록,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작업량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에서는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작업들을 중요성에 따라 분류하고, 시스템을 연동시키는 배터리 잔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면 모든 작업들을 동작시키고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면 중요성이 떨어지는 작업들부터 동작을 정지시켜서 전체 작업량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배터리 지속 시간을 점진적으로 연장시키는 방법이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Charging Method to Extend the Life of Battery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충전방법에 관한 연구)

  • Kim, Jae-Jin;Hur, Hwa-r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90-39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충전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다.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같은 값에서 1.5배 값까지 단계적으로 전압을 상승시켜 배터리의 상태를 검사한다. 배터리의 반응 상태들 중에서 충전이 가장 안정적인 전압을 결정한다. 전압이 결정되면 배터리의 전류 값을 배터리 용량의 1/3에서 1/10까지 단계적으로 조율하여 충전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배터리를 보호하면서 충전 시간을 축소시켜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핸드폰 보조배터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충전시간의 감소와 안전성 등의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 PDF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Technology Using Recovery Effect (회복효과를 이용한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기술)

  • Jang, Yong-Ju;Lee, Seong-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8 no.6
    • /
    • pp.33-38
    • /
    • 2011
  • In recent years, mobile devices and high-hearth because of the multi-functional, battery usage is increasing. But compared to the required computing power increases the battery's energy capacity of the research is going slowly. In this paper we use the battery discharge characteristics, can be used in battery research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 capacity, wireless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system just by turning off the technology to extend battery life is explained. Experimental transmission of images through the standard battery drain intervals according to measuring battery life, and applications used in these experiments and heuristic to optimize battery run time was achieved.

Study on a screening method of retired Lithium Ion battery cells for recycling (폐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재활용을 위한 스크리닝 방식 고찰)

  • Lee, Chun-Gu;Park, Joung-Hu;Lee, Seong-Jun;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225-227
    • /
    • 2018
  •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은 배터리들은 각 배터리마다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서 직렬 또는 병렬로 패키징 되어서 팩으로 사용 될 때 각 셀 간의 전압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셀 벨런싱 회로 같은 셀 간 불균형을 회복시켜주는 기능이 없다면 배터리 팩 내의 셀 간 전압 불균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커지게 되고 이는 배터리 팩의 노화를 가속 시키거나 배터리 팩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폐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재활용하는데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사항으로서 재활용 팩의 사용시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을 만들기 전에 스크리닝을 통해서 전기화학적 성분이 유사한 배터리들을 팩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프레시 배터리의 용량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프레시 배터리 용량은 프레시 배터리를 스크리닝 하기 위한 많은 기준들 중에서 가중치가 크지 않지만 폐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각 배터리마다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각 배터리마다 상이한 배터리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 배터리의 용량에 프레시 배터리를 스크리닝 할 때보다 큰 가중치를 두어 스크리닝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전류 프로파일로 노화된 배터리 팩 내의 셀들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폐배터리 셀들을 재활용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에 대해서 고찰한다.

  • PDF

Entropy Extracting Method of Li-ion Battery Using Commercial Equipment (상용 장비를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엔트로피 추출방법)

  • Park, Cheol-heui;Lee, Sang-Gu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18-320
    • /
    • 2017
  • 본 연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엔트로피를 측정하는 방법인 ETM(Electro Thermodynamics Measurement)을 상용 장비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엔트로피 측정에 필요한 온도변경시간과 배터리의 relaxation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측정 시간을 최소화 했다.

  • PDF

A Single Mode Battery Charger (밧데리 전압추정에 의한 단일충전)

  • Park, M.Y.;Lee, S.H.;LIM, S.K.;Park, S.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9-140
    • /
    • 2012
  • 현재의 배터리 충전기는 보편적으로 CC-CV 충전방법을 사용하면서 배터리의 과충전에 대해 안정적인 제어를 한다. 하지만 충전말기의 CV 모드는 배터리 충전이 느려 시간이 많이 낭비된다. 본 논문은 CC 단일형 충전을 하면서 과충전의 우려는 DFT를 사용하여 배터리 내부전압을 추정하면서 내부 알고리즘에 의해 배터리 내부전압이 설정값이 되었을 경우 충전을 종료하면서 CV 충전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줄인다.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