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터리 모듈

Search Result 20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Battery Module Bonding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s (전기자동차 배터리 모듈 접합 기술 리뷰)

  • Junghwan Bang;Shin-Il Kim;Yun-Chan Kim;Dong-Yurl Yu;Dongjin Kim;Tae-Ik Lee;Min-Su Kim;Jiyong Park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30 no.2
    • /
    • pp.33-42
    • /
    • 2023
  • Throughout all industries, eco-friendliness is being promoted worldwide with focus on suppr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With rec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supported by government, the electric vehicles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Battery system itself perform an essential role in EVs technology that is arranged in cells, modules, and packs, and each of them are connecte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A multifaceted approach is necessary for battery pack bonding technologies. In this paper, pros and cons of applicable bonding technologies, such as resistance welding, laser and ultrasonic bonding used in constructing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s were compared. Each bonding technique has different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refore, several criteria must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ich bonding technology is suitable for a battery cell. In particular, the shape and production scale of battery cells are seen as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a bonding method. While dealing with the types and components of battery cells, package bonding technologies and general issues, we will review suitable bonding technologie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Development of a Motor Speed Controller of Drones Considering Voltage Drop of Battery (배터리 전압 강하를 고려한 드론 모터 속도 제어기 개발)

  • Lee, Sunghee;Yun, Bo Ram;Kim, Deok Yeop;Kim, Hwangsoo;Lee, Woo Jin
    • Journal of KIISE
    • /
    • v.44 no.6
    • /
    • pp.601-606
    • /
    • 2017
  • Recently, we have frequently encountered flying drones with the growth of drone industr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stabilize the motor speed of drones, since the voltage of a Lithium polymer battery used in drones may suddenly drop or rise when its power is exhausted. The instability of the motor speed precludes the drone from maintaining a flight altitude, so that the fuselage of a drone performs ascending and descending repeatedly. For solving this problem, existing techniques either add a compensator considering voltage drop of battery or change the control model. Since these techniques use hardware-implemented modules or depend on motor type and experimental results, there is a problem that new suitable modules should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d motor of the fuselage.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motor speed controller in the firmware of drones by considering voltage drop of battery to enhance drone flight stability.

Design and Analysis of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Regulator of Communication Satellite (통신위성 배터리 충,방전기 설계 및 해석)

  • Choe,Jae-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7
    • /
    • pp.118-126
    • /
    • 2003
  • In this study,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regulator of modular type is designed as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tha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ower without failure not only in the steady state but also in the transient period by the step load variation or the unexpected faults among the converter modules. Each converter module is designed to get stability, performance,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and the average current mode method used for controller has the advantages such as noise immunity, fast response, and the real average current signal acquisition. The equivalent model and small signal model for the paralleled battery chargerIdischarger are presented, and also the transfer functions are analyzed for the CCM(Continuous Charge Mode), CDM(Continuous Discharge Mode) and DDM(Discontinuous Discharge Mode). The experiments of the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are carried out in the step load variation, and in faults of one converter module respectively. And the performance of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is verified via the experimental results.

Smart Wheel Power Circuit Module for E-bike motor drive with dual battery (이중 배터리를 적용한 E-bike 모터 구동용 스마트 휠 전력 회로 모듈)

  • Oh, Seung-Jae;Kang, Kyung-Soo;Yang, Tae-cheol;Jeong, Ku-young;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69-71
    • /
    • 2018
  • 기존 전기자전거의 경우에 사용되는 일반 배터리팩 방식에 비해 이중 배터리 팩 (Li-ion Batterty + Super Capacitor)의 방식이 동등 주행 성능 및 지속 시간 조건에서 무게 및 원가 저감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승압형 Converter인 Boost Converter는 이중 배터리를 이용시 큰 inrush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로 인해 소자 파손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 전압을 Li-ion Battery로, 출력 전압에 Super Capacitor를 연결하는 이중 배터리로 구성되고 기존 Boost converter 입력단에 Mosfet과 Diode를 추가하여 inrush 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SOH estimation for lithium-ion battery based on joint estimation between partial capacity and recursive least square estimation method (미소 용량 및 재귀 최소제곱 추정 기법을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SOH 추정 기법 연구)

  • Park, Seongyun;Cho, Inho;Ryu, Joonhyoung;Kim, Youngmi;Park, Sungbeak;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09-211
    • /
    • 2020
  • 운송기관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배터리-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추진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배터리는 빠른 응답 특성으로 하이브리드 철도추진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주요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정확한 열화추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모델의 수립이 필요하지 않고 미소 용량 및 폐회로 제어가 가능한 재귀 최소제곱 추정 기법을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SOH 추정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1S18P 배터리 모듈을 통해 열화 추정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about the adjustment of dynamic SOC determination of an Ultra-Capacitor module on the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Ultra-Capacitor 모듈이 사용된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치의 동적 SOC 보정에 관한 연구)

  • Song, Hyun-Sik;Jung, Jin-Beom;Lee, Baek-Haeng;Shin, Dong-Hyun;Kim, Byoung-Hoon;Heo, 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942_944
    • /
    • 2009
  • 본 논문은 VRLA 배터리와 Ultra-Capacitor 모듈을 이용한 복합형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우수한 출력 특성을 가진 Ultra-Capacitor 모듈의 SOC를 정확하게 산출하고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MHEV)의 운행 조건을 모사한 사이클 프로파일과 차량 시뮬레이터 장비를 활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n-board Battery Charger Module (전기 자동차 탑재형 충전기 모듈 개발)

  • Bang, Hyo-Jin;Lee, Jae-Ho;Chang, Seok-Chae;Yang, Chun-S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316-3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전기 자동차 탑재형 충전기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충전기와는 달리 저압 충전부를 겸비하고 있어 저압 배터리도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절연형 3.3kW 충전기 모듈이다. 전기 자동차 탑재형으로 온도와 진동에 강한 전장용 부품을 사용하여 주요 하드웨어를 구성하였으며, 유로해석 및 PCB진동해석을 통해 외부 온도변화와 진동에 강인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해외리포트: 이미지센서의 미세화와 그 응용

  • KANEKO, Takehiko
    • The Optical Journal
    • /
    • s.131
    • /
    • pp.37-41
    • /
    • 2011
  • 휴대전화에 카메라가 탑재된 지도 10년 이상이 지났다. 점차 고해상도화와 더불어 카메라로서 점점 실용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장기간 배터리 구동의 필요성에서 저소비전력은 중요과제이고, 종래의 CCD 이미지센서에서 CMOS센서로 거의 대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기기의 소형화에 동반해 탑재되는 카메라모듈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는 매우 강하다. 특히 박형화된 표시부와 함께 실장되는 inside 카메라의 저배화(低背化)는 급속히 진행됐다. 모듈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광학렌즈의 광로장을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고해상도 때문에 이미 지사이즈가 대형화하는 경향과 상반된다. 본고는 광기술컨텍트 2010년 10월호에서 발췌한 것으로서 이미지사이즈를 유지하면서 고해상도화를 실현하는 미세 셀에서 성능을 확보하는 기술과 카메라모듈을 소형화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괄하였다.

  • PDF

Comparison of neutral point connections between modules under interleaving operation 3-Level boost converter (3-Level Boost Converter의 인터리빙 운전 시 모듈간 중성점 연결에 따른 비교)

  • Lee, Kang Mun;Baek, Seung Woo;Kim, Hag Wone;Cho, Kwan Yua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447-448
    • /
    • 2020
  • 3-Level Boost Converter(TLB)의 병렬 연결 시, 배터리 및 커패시터의 맥동 전류 저감을 위하여 인터리빙 동작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TLB 병렬모듈은 인터리빙 운전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TLB 병렬모듈의 인터리빙 운전이 가능한 회로의 동작을 기술하고, 커패시터 중성점 연결 시 맥동 전류저감 효과를 분석한다.

  • PDF

Development of Lithium-Ion based Onboard Battery for Space Launch Vehicle (우주발사체 탑재용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 Kim, Myung-Hwan;Ma, Keun-Su;Lim, You-Chol;Lee, Jae-De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4
    • /
    • pp.363-368
    • /
    • 2007
  • Lithium-ion batteries providing high gravimetric energy density are rapidly replacing Ni-Cd and Ni-H2 in aerospace applications. The main advantage is the weight reduction of the battery system. Weight is a major concern in aerospace applications. Also, lithium-ion offer low thermal dissipation, high energy efficiency, and low cell cost. The Onboard battery module for KSLV-I(Korea Space Launch Vehicle) contains 80 Sony US18650 cells configured as 10 strings in parallel, with each string containing 8 series connected cells. This allows to meet voltage and capacity requirements specified for the mission. In this paper design description and specifications of lithium-ion battery developed are presented. Qualification test flow is also shown to make sure the performance in the predicted space environment. Electrical performance was simulated by dedicated program, and verified with electronic load. Lastly, the capacity was proven on real equipment load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