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출허용기준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Ozone Formation by VOCs Exhausted from Motor Vehicles (자동차 배출 VOCs의 오존생성에 관한 연구)

  • 임철수;엄명도;류정호;유영숙;이상보;선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67-68
    • /
    • 2002
  •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기여도는 매우 높으며, 이러한 자동차는 차종, 차령 및 사용연료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배출가스를 발생시킨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규제물질들은 배출가스 허용기준에 따라 규제되고 있으나, 미량유해물질로서 알데히드, PAHs, VOCs등은 인체위해성 및 대기중 오존생성원인물질로서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이들 물질중 VOCs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오존생성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대기오염 관리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시민단체에서 바라본 에너지 상대개격 체계 조기개편의 필요성

  • Park, Yong-Sin
    • LP가스
    • /
    • s.91
    • /
    • pp.27-36
    • /
    • 2004
  • 2003년 2월 14일 한국 사회는 중요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냈었다. 그해 1월 11일에 구성된 '경유차 환경위원회'에서 총 8차계의 회의를 거쳐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경유 다목적차(RV), 운행중인 화물트럭, 버스 등 경유차로 인한 대기오염이 국민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문제임을 깊이 인식하고, 경유차로 인한 대기오염을 근원적으로 줄여나간다는 원칙아래, 경유 승용차 배출허용기준 조정방안을 포함해서 몇 가지의 대기오염 저감 대책을 수립, 추진한다는 것이었다. 그 대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PDF

Diesel Particulate Reduction Efficiency by Diesel Aftertreatment equipments - Concentrate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경유 후처리장치에 의한 입자상물질 저감효과 - 입경분포를 중심으로 -)

  • 정일록;엄명도;류정호;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48-249
    • /
    • 1999
  • 지구온난화의 주요 주범인 $CO_2$의 감축을 위해 자동차 연비 및 배출허용기준등을 전 세계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선진국에서는 Super Car 및 3L Car Project등을 통해 초저연비자동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압축비가 높아 연소효율이 좋고 연표경제성이 가솔린엔진보다 우수한 경유엔진은 $CO_2$ 배출이 적어 향후 그 보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중략)

  • PDF

The Development of Plasma $DeSO_x$$DeNO_x$ System for Demonstration at Coal Power Plant (석탄 화력발전소 실증실험을 위한 플라즈마 탈황탈질 설비 개발)

  • 장길홍;백민수;유정석;김태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62-263
    • /
    • 1999
  • 현재 저온 플라스마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제어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나. 특히 국내에서는 강화된 대기오염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기 위하여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에 있다.(중략)

  • PDF

最近의 自動車排出가스의 對策動向

  • 한영출
    • Journal of the KSME
    • /
    • v.21 no.5
    • /
    • pp.335-3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라 공해문제가 날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대 도심지의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Air Pollution)은 큰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다. 이에 법적인 규제가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어 1977년 12 월 31 일 환경보전법이 공모되고 자동차배 출가스의 규제조합이 수립되었다. 한편 행정직으로 환경청이 설립되어 이를 전달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환경관계법령집(1981 년 5월)이 완성을 보았다. 그러나 자동차배출가스의 허용기준치가 자동차공업이 발달한 선진국에 비하여 너무도 미흡한 단계인바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적인 대 책강구와 규제를 강화시켜야 할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선진제국들의 자동차배출의 규제 치및 대책방법 등을 고찰하고, 금후의 개발과 기술적 문제점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Analysis of Lower Aldehydes in Ambient Air (대기 중 저비점 알데히드류의 저온농축/열탈착/GC/MSD에 의한 분석)

  • 유미선;양성봉;서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75-276
    • /
    • 2002
  • 아세트알데히드 등 저비점 지방족 알데히드류는 대기 중에 배출된 탄화수소류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산화생성물로서 광화학스모그의 원인이며, 또한 악취물질로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아세트알데히트의 경우 우리나라의 악취배출허용기준에 명시된 대표적인 악취물질로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등은 일본의 악취방지법에서 규제되고 있어서 장차 우리나라에서도 규제 대상의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removal of $NO_x$ by using Non-thermal Plasma Discharge (Non-thermal Plasma Discharge를 이용한 $NO_x$ 제거에 관한 연구)

  • 안정언;이석현;정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19-420
    • /
    • 2001
  • 최근 산업설비 및 기타 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배출허용 기준이 계속 강화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NOx는 SOx와 함께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들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플라즈마 적용기술이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일부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있다. NOx 제거에 있어서 펄스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자의 생성은 유입되는 가스 및 공기에 충돌하여 반응성이 큰 다량의 이온, 원자 및 radical(N, O, OH, $O_3$등)을 생성한다. (중략)

  • PDF

해상에서의 폐기물처리 기술

  • 김석준;심성훈;길상인;윤진한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43-51
    • /
    • 1996
  • 해상 소각 시스템 개발 연구를 위해서 System interfacing기술, System구성물 안전, Scale up기술 등의 개발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우수한 환경공해 방지기술의 접목을 계획하고 있다. 후처리 설비는 2차오염을 야기시키는 폐수가 발생되는 설비의 선정은 근원적으로 배제하며 주변 주민들의 신뢰도 회복을 위해 배출허용기준은 엄격히 적용한다. 또한 회출설비는 소각잔재를 응용하며 고형화 함으로써 2차오염을 방지하고 재활용 자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현재 시스템의 타당성 및 기본구성 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및 기술선진국의 사례조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이 어느정도 완료되면 구성시스템의 세부설계가 진행될 예정이다.

  • PDF

BAT(Best Available Technique) for Control of Contaminated Materials in Steel Works (제철공정중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BAT)

  • 임채현;김효진;김영진;고동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91-492
    • /
    • 2003
  • 최근 국제적으로는 2005년 대기배출허용기준 강화와 총량규제 도입추진, 대기 배출부과금 제도의 강화 움직임, 대기환경규제지역의 규제지역 확대에 따른 굴뚝자동측정기 부착의무화,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물질 배출원 관리가 강화되는등 환경적 이슈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 외부적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규제와 스톡홀름협약에 따른 POPs물질(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제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국내 환경부에서도 05년까지 오염물질 배출농도 강화와 POPs 물질 inventory 구축작업과 소각로 이외의 다이옥신 배출원에 대한 다이옥신규제 대상시설이 확대될 전망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