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출량 산정

Search Result 71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ous Measurement and the Fuel Analysis for Emission Calculation of Carbon Dioxide in a Coal Fired Power Plant (석탄화력발전소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을 위한 연료분석법과 연속측정법의 특성)

  • Choi, Hyun-Ho;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3 no.1
    • /
    • pp.44-50
    • /
    • 2017
  • This study calculates carbon dioxide emissions using the fuel analysis and the continuous measurement from 500 MW-class coal-fired power plants and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The emissions calculation using fuel analysis was the lowest calculation among the emissions calculation methods. This is because of low net calorific value analysis. When using the low calorific coals, it is beneficial to utilize the fuel analysis. Also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calculation emissions when used the as fired coals than the as received coals. However, the difference is negligible to less than 2%. As sample analysis personnel and equipment are limited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it is also deemed appropriate to use the as received coals to fuel analysis. Continuous measurement showed somewhat higher emissions than the fuel analysis, and lower emissions than calculation method using domestic emission factors. Thus, if the calculated emission using fuel analysis increases with the coal type changes, it is beneficial to using modified flow rate measurement method.

  • PDF

광양만권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Ji-Yeong;Lee, Sang-Deuk;Mun, Tae-Ryong;Na,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30-1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권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오염물질 발생량을 산정해 보았다.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정 발생원인 공장지대와 가정의 난방과 취사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고, 이동 배출원에서는 자동차 및 기차 등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탄화수소류의 양을 산출하였다. VOCs 배출원에서는 비 연소과정에서 배출되어 주로 인간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배출원에서 산정하였다.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using inverse modeling and load duration curve (역산모델링과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비점오염 배출량 산정)

  • Kim, Kyeung;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8-538
    • /
    • 2017
  • 우리나라의 현행 수질오염총량제도에서 비점오염원에 대한 배출량은 배출원별로 유량조건에 따라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강우 및 유역특성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비점오염 배출특성을 반영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역산모델링은 결과를 바탕으로 원인 값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유량 및 수질측정결과, 점오염원 배출량 등 실측결과를 바탕으로 비점오염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산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에서 배출되는 총인의 비점오염 배출량을 추정하고, 부하지속곡선을 통해 비점배출기준을 산정하고자 한다. 경안천 유역의 수질 및 유량측정자료, 하수처리장 현황, 오염원 자료 등을 수집하여, 점오염원 배출량을 추정하고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비점배출총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행 수질오염 총량제도의 배출계수에 대한 재검토와 향후 유량조건에 따른 차별적인 비점오염원 관리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Model of CO2 Emission in Third Party Logistics (제3자 물류기업의 탄소배출량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 Shin,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25-633
    • /
    • 2011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협약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으로 물류기업은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화주기업에 대한 서비스제공과 화주의 경영 가치 실현에 공헌해야 할 제3자 물류기업은 기업자체의 경쟁력뿐 아니라 화주기업의 탄소경영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라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제3자 물류기업의 특성에 맞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해야 하고 이러한 산정방법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체계로 실행되어야 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탄소경계 설정과 연료별, 연비법, 톤-킬로미터법 등 다양한 계산방식을 적용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제3자 물류기업의 현실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GHGs Emissions Based on Individual Vehicles Speed (개별차량 속도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연구)

  • Chang, Hyunho;Choi, Seonghun;Yoon, Byungj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560-569
    • /
    • 2019
  • Purpose: Greenhouse gases are one of the major causes of global warming, a global disaster.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road sector greenhouse gas emissions more precisely than conventional methods. Method: Currently, the average speed of a vehicle is used to calc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is study, GHG emissions are calculated using the speed of individual vehicles and compared with current method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emission estimation method underestimated about 15% in the case of carbon dioxide, about 1% in the case of nitrous oxide, and about 1% in the case of methane. Conclusion: Current methods of estim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developed before 2000 and were developed to meet the limits of available data.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quality of available data is now high, and new emissions estimation method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velocity-b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individual vehicles as a more accurate method for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 Study on the Ammonia(NH$_3$) Emission by Source Categories in 1999 (배출부문별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 연구 (1999년))

  • Jang, Young-Gi;Kim, Ho-Jung;Kim, Gwan;Hong, Young-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5-166
    • /
    • 2002
  • 암모니아(NH$_3$)는 주요 악취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대기중의 2차적인 미세먼지 형성에도 기여를 하고 있는 물질이다 하지만 다른 주요 대기오염물질(NOx, SOx)과 달리 그 배출량과 배출특성에 대한 현황 파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방법을 검토하고 각 배출부문별 배출량을 산정 하였다. (중략)

  • PDF

A Case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산업단지 계획 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 Kim, Sang-Mok;Son, Eun-Seong;Seo, Young-Kyo;Baek, Sung-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6
    • /
    • pp.616-625
    • /
    • 2019
  • Health impact assessment is implemented with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health damage by predicting the impact on human health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In health impact assessment, manual revision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in the method of estimating hazardous air pollutants emissions. This study estimated the emissions by calculating the emission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based on the actual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cases and completed health impact assessments. As a result of risk assessment based on exposure concentration using CALPUFF model, the risk assessment results were different for each of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s, and manual improvement on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 is needed.

A Study on Pollutant Loading Estimation in Seonakdong Basin (서낙동강 유역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기법 연구)

  • Kim, Young-Do;Hwang, Jin-Young;Kwo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8-1101
    • /
    • 2006
  • 최근 3대강특별법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는 환경부의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해 서낙동강 유역인 낙본N 단위유역에 대한 해당 지자체의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이 수립된 바 있다. 낙본N 단위유역은 서낙동강을 중심으로 좌측의 대부분이 경상남도 김해시이고, 우측과 하류부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이다. 서낙동강은 평상시에는 주요 농업용수 공급원과 철새도래지로서 홍수시에는 거대한 유수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서낙동강 유역내에는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농업 및 축산활동, 내수면 양식어업, 오염원 배출공장 등의 점, 비점오염원이 있으며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에 의해 조절되는 정체수역으로서 오염부하강도가 높은 유입지천들로 인하여 상습적인 녹조 발생수역으로 수질개선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유역으로 낙본N유역의 소유역 중 배출부하량이 가장 큰 지류에 해당하는 조만강 유역인 낙본N06 소유역의 오염원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기법을 검토하였다. 장래 오염부하량 예측은 자연증가, 개발계획, 삭감계획에 의해 산정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과거 오염원조사, 부하량산정, 폐수 배출부하량 모니터링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오염부하량산정 과정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오염원 자료의 증감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결과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방대한 오염원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관리 프로그램(Access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각 오염원별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결과와 환경부의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제시한 각 오염원별 오.폐수발생원단위, 배출원단위, 전환계수, 배출계수 등을 이용하여 각 오염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조사나 장래 오염원 예측에서 있을 수 있는 오차에 대한 전체 배출부하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방대한 양의 오염원 조사시에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할당부하량을 개별 오염원별로 할당하고 적정한 개발계획과 실현가능한 삭감계획 및 이행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오염원조사를 수행함에 있어 기초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오염부하량 산정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

The Improvement of the Emission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by Automobiles (자동차 오염물질 산정방법 개선 방안)

  • 조규탁;장영기;최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75-76
    • /
    • 1999
  • 그 동안 대기오염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우리 나라에는 표준화된 배출량 산성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연구의 중복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의 낭비가 매우 심하며, 개별 연구간의 상호비교 및 검토가 어려워 배출량 산정방법을 개선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배출량 산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너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도시지역 오존 문제도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판단된다.(중략)

  • PDF

Pollutant Load and Delivery Ratio in Upper Chungmi River Watershed (청미천 상류유역의 오염부하량 및 유달율 산정)

  • Jun, Sang Min;Kang, Moon Seong;Park, Jihoon;Song, Jung Hun;Ryu, Je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1-511
    • /
    • 2016
  • 오염부하량은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생부하량, 수체로 배출되는 배출부하량, 수체의 특정지점까지 도달하는 유달부하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천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정확한 유달부하량 산정이 필요하다. 유달부하량 산정방법에는 실측에 의한 방법, 모델링을 이용한 방법, 유달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유달율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이 수체의 특정지점에 도달하는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유역의 유달율을 알고 있을 경우 배출부하량을 이용한 유달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유달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의 비율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 기 개발된 유역특성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는 방법,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고, 배출부하량과의 비교를 통해 유달율을 산정하여 수질관리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청미천 상류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사가 밀집한 지역으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모니터링 지점은 청미천의 지류인 양가천을 따라 3개 지점, 청미천 본류에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량 자료는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해 측정한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해 구축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월1회 이상 정기 측정 및 강우시 정밀 측정을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수문 수질 자료를 이용해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통계자료를 통해 각 모니터링 지점을 말단으로 하는 유역의 오염원 현황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환경부 원단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달율은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로 계산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미천 유역의 수질관리대책 마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