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출규제해역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해상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지도를 활용한 황산화물 배출규제 효과 분석

  • ;;;AKHAHENDA WHITNEY KHAYENZEL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7-139
    • /
    • 2023
  • MARPOL (Maritime Pollution Treaty) 부속서 (Annex VI) 경우 대기오염 규제 내용이며, 최근 선박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 목적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충족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Sulfur Dioxide (SOx, 황산화물) 경우 2020년 기준 전 세계 해역 내 운항하는 선박은 황 함유량 0.5% 기준의 배출 요구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배출규제 해역 지정 시 해당 해역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계산 산정 기준 확립이 필요함에 따라 대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물 배출량 산출 방법론으로써 그리드 셀 내 선박 점유시간을 계산한다. 점유시간이 길수록 선박 통항 및 배기가스 배출이 밀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밀집도 분석에 더불어 선박의 특성이 반영된 시간당 배출량을 적용하여 배출 공간 인벤토리를 구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공간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기존 국내 황산화물 배출규제 해역의 효과 평가에 더불어 외항 범위까지 규제 확대 시나리오확립 후 비교 평가를 통하여 배출량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배출규제해역(ECA) 도입 방안 연구

  • Kim, Bo-Gyeong;Lee, Gi-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7-169
    • /
    • 2018
  • 202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IMO 선박연료유 규정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지역은 배출규제해역(Emission Control Area; ECA)를 지정하여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통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항만도시의 대기오염 정도가 높으며 대기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은 선박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써 ECA 지정을 위한 검토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만을 대상으로 ECA 지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ECA 지정방식과 절차 등 종합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대기환경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ECA 지정 사례 분석을 통해 그 지정현황, 규제 수준 및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ECA 도입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 항만도시 거주민과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ECA 도입은 필요하며 향후 5년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적으로 자발적으로 영해 내 ECA 도입을 추진하되, 선박 통항량이 많은 주요항만구역을 대상으로 한다. 제도의 초기 장착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 관리인력 확보 및 법 제도 구축을 통해 실효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IMO 승인을 통해 ECA가 이행될 수 있도록 타당성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PM and Port, Counter Strategy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 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4-166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PDF

Trend and Prospect of Scrubber Technology for Regulatory on Sulfur Content in Marine Fuel Oil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 규제에 따른 스크러버 기술의 동향과 전망)

  • Eom, Hanki;Park, Byung Hyun;Jeong, Soon-Kwan;Kim, Sung Su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5
    • /
    • pp.1-13
    • /
    • 2019
  •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2015년부터 배출규제해역(ECA, emission control area)을 운항하는 선박은 황 함유량이 0.1%(m/m) 이하로 강화된 기준을 만족하는 연료를 사용해야 하며, 2020년부터는 모든 선박에 대해 황 함유량이 0.5%(m/m) 이하인 연료를 사용하거나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배출가스 후처리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이에 따라,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후처리 관점에서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는 선박의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sulfur dioxide)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습식 스크러버는 해수를 사용하는 개방형 스크러버(open loop scrubber)와 화학세정수를 사용하는 폐쇄형 스크러버(closed loop scrubber)로 구분된다. 습식 스크러버는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지만 유지보수비가 비싸고, 폐수 발생으로 인한 2차 오염발생 및 부식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크러버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식성 재질에 관한 연구와 흡수제(absorbent)의 고도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스크러버(hybrid scrubber)는 개방형과 폐쇄형 스크러버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로 황산화물의 배출을 규제하는 배출규제해역에서는 폐쇄형 스크러버를 가동하고, 선박이 공해상으로 진입할 경우 개방형 스크러버로 전환함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 및 반응 후 세척수의 폐수배출 기준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Analyzing the Impact of Emission Control Area (ECA) Enforcement on Ferry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 Network SBM DEA and BTR model (배출규제해역(ECA) 시행이 페리 선사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Network SBM DEA 및 BTR 모형 분석)

  • Lee, Suhyung;Lim, Hyunwo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3
    • /
    • pp.29-51
    • /
    • 2022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designated the Emission Control Area (ECA) in Northern Europe to reduce the NOx and SOx emissions from ships in the coastal areas. This study used Network slack-based measure (SBM) Data Envelopment Model (DEM) and Bootstrop Truncated Regression (BTR) model to analyze the ECA's impact on ferry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s based on the financial data from eight ferry carriers in Northern Europe, the Mediterranean and North America from 2004 to 2017. To alleviate the problem of arbitrary variable selection in DEA, the variable selection criteria proposed by Dyson et al. (2001) were applied; the size of the company was considered through the Network SBM DEA model; and the company's profit-generating process was divided into stages to measure financial performance in more detail. In addition, the BTR model was applied to derive results that minimize the bias of the data. The study found that ECA regulations did not always negatively affect the shipping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Rather, a steady increase in efficiency was observed for Northern European ferry companies which were subject to the strongest regulations. For North American ferry companies, government subsid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fficiency, and relatively small impact on efficiency due to the ECA and oil prices. For the Mediterranean ferry companies, efficiency values have decrea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ECA regulation despite the lowest level of regulation in the region.

The Condition and Management Measure of Marine Disposal of wastes (폐기물의 해양배출 현황과 관리대책)

  • Lee, Bong-Gil;Kim, Sang-Woon;Kim, Young-Hwan;Hyun, Chung-Guk;Lee, Ho-Seong;Kim, Kwon-J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109-115
    • /
    • 2006
  • Since ocean dumping of wastes was permitted by law in 1900, the amount of wastes dumped into the sea has increased ten times for 15 years. As a result, the dumping sites has been deteriorated so much that the pollu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he 96 Protocol to the 72 London Convention, which requires the contracting party's stricter control on the disposal of wastes at sea, took effect on March 24, 2006. Therefore, our country has become confronted to the situation on which it cannot delay putting a restraint on ocean dumping. Hereupon, Korea Coast Guard (KCG) initiates a dumping sites recovery program. The program is intended to curb the amount of wastes dumped at sea and to recover the polluted dumping sites.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our country's management of ocean dumping of wastes is examined and the future condition is anticipated KCG's ocean dumping management measures are also presented.

  • PDF

Some Issues o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Associated with the Air Pollution Caused by the SOx Emission at Sea (해양에서 황산화물 오염 규제에 대한 소고)

  • Lee, G.H.;Song, Mu-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1 no.4
    • /
    • pp.221-226
    • /
    • 2008
  • Air pollution associated with the SOx emission from the shipboard propulsion and generation engines is becoming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concerns these days. Lea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IMO and European Union, a significantly strengthened air pollution related regulations have been introduced and they are becoming in practice as scheduled. Such rules are basically giving the guidelines for permissible SOx emission which can be only met by using high quality fuel oils with less sulfur content or operating scrubbing systems aiming at reducing SOx at the engine exhaust. Since both countermeasures can lead to the cost increase in ship building and operation, Korean shipbuilding industries, leading the world's market, need to be well aware of the ever changing regulations and be prepared with proper solutions. Here, we briefly summarize such latest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air pollution at sea, and review some technical issues on the scrubbing systems available with some suggestions.

  • PDF

FLBT 설치 후보해역 심층분석을 통한 최종 후보지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Yun-Seok;Gang, Seok-Yong;Kim, Jong-Gwan;Ryu, Won;An, Ye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49
    • /
    • 2016
  • 국제해사기구가 선박배출가스규제지역 내 질산화물 규제를 적용하고 2020년부터는 항해 중인 모든 선박에 황산화물 규제를 적용하기로 하는 등 선박해양오염 규제가 강화되어, 친환경 연료로 운항하는 LNG Fuel Ship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LNG 연료공급 시장규모의 성장이 전망되며 관련시설로 해상 부유상태의 FLBT(Floating LNG Bunkering Terminal)의 기술개발과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목적은 FLBT 시설의 설치에 적합한 후보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영해 내에 위치하고 설계수심과 수요항만과 접근성이 우수한 후보지의 제시를 위해 LNG Fuel Ship의 입출항 예상항만과 해상시설에 대한 국내외 사례조사 및 사전연구에서 제시된 후보수역에 대한 해상교통조사를 수행하고 심층분석 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요지 접근성과 항행안전을 고려한 FLBT 최종 후보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하수 수중방류에 의한 확산영향 예측

  • Song, Hyeon-U;Kim, Gang-Mi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1-192
    • /
    • 2018
  • 해안을 따라 인구밀도가 증가하고 임해지역공단 등 산업시설이 밀집하여 처리되지 않은 하 폐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엔 필리핀 보라카이와 같이 관광 위락시설에 의한 하수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국가의 주요 해안도시는 이러한 도시하수를 바다로 방류하고 있다. 현재로선 이러한 하 폐수의 처리는 바다의 자정능력(self-purification capacity) 한계를 고려한 하수의 해양으로의 방류가 최선의 방법으로 판단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지역에 따른 배출허용기준에 따라 하수의 처리수 방류가 규제되고 있지만, 확산영역에 대한 법적 기준치는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인근에 위치한 권리자들과의 이해관계 해결에만 몰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확산영향예측이 원역 해석모형(Far Field analysis model)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근역(Near Field)에서의 영향을 간과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금회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기준하여 특정해역에 대한 원역과 근역 해석에 따른 확산영향 예측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앞으로의 해석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elective Nitrate Removal Performance Analysis of Ion Exchange Resin in Shipboard Waste Washwater by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선박용 대기오염장치 폐세정수 내 질산염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공정 성능 평가)

  • Kim, Bong-Chul;Yeo, In-Seol;Park, Chan-Gy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399-404
    • /
    • 2021
  • From 1 January 2020, the limit for Sulphur in fuel oil used on board ships operating outside designated emission control areas will be reduced to 0.5 %. This regulation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Sulphur oxides (SOx) discharging from ships and should have environmental advantages and health for all over the world. To meet the regulation, in these days, wet scrubber system is being actively developed. However, this process leads to make washing wastewat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ion exchange resin system in accordance with scrubber wastewater discharge regulation by IMO. Theoretical wastewater used as feed solution of lab scale water treatment systems. The results revealed that nitrate ion was removed selectively in spite of high TDS wash wastewater solution depending on ion exchange resin property. Moreover, it was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by optimizing operating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