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열경계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rray Bounds Check Elimination using Ineguality Graph in Java Just-in-Time Compiler (대소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Just-in-Time 컴파일 환경에서의 배열 경계 검사 제거)

  • Choi Sun-il;Moon Soo-moo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12
    • /
    • pp.1283-1291
    • /
    • 2005
  • One of the problems in boosting Java performance using a Just-in-Time (JIT) compiler is removing redundant array bound checks. In conventional static compilers, many powerful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yet they are not directly applicable to JIT compilation where the compilation time is part of the whole running time. In the current JIT compilers, we tan use either a naive algorithm that is not powerful enough or an aggressive algorithm which requires the transformation into a static single assignment (SSA) form of programs (and back to the original form after optimization), thus causing too much overhead not appropriate for JIT compila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based on an inequality graph which can eliminate array bounds check codes aggressively without resorting to the SSA form. When we actually perform this type of optimization, there are many constraints in code motion caused by the precise exception rule in Java specification, which would cause the algorithm to miss many opportunities for eliminating away bound checks. We also propose a new method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Optimal layout of tidal current turbine array in open 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조류 터빈의 최적 배열)

  • Han, Jisu;Jung, Jaeyoung;Hwan, Hwa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3-433
    • /
    • 2021
  • 본 연구는 개수로 흐름에서 조류발전단지의 터빈 최적 배열의 거시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천수방정식을 통해 직사각형 개수로의 흐름장을 해석하였고, 상류와 하류단에 대해 각각 유입경계조건(inlet boundary condition)과 Flather 형식의 개방경계조건(open boundary condition)을 부여하여 일정 유량으로 흐르는 개수로 흐름을 구현하였다. 더불어, Strickler의 법칙을 확장한 반력공식을 연계하여, 개수로 흐름에 대한 조류 터빈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주어진 상류의 흐름 조건에 대해 조류발전량을 최대로 하는 최적 배열을 구하기 위해 터빈 반력모형을 연계한 천수방정식, 터빈간 최소간격, 그리고 발전단지영역을 제한조건으로 하는 발전량 최대화 문제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조류 터빈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를 설계변수로 두었는데, 설계되는 터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적화 문제의 계산량이 증가하지 않도록 수반법(adjoint method)을 경사도기반법(gradient-based method)에 연계한 방법이 이용되었다. 다수의 터빈초기배치로 상당한 수치실험이 수행되었고, 발전량 최대화를 이루도록 최적화된 터빈의 배치들이 큰 규모에서 고유한 형상으로 수렴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발전단지의 너비와 터빈의 최소간격의 함수로 정의된 무차원수 E를 바탕으로 설명되었다. 구체적으로, E가 1보다 작을 때에는 선형배열이 최적배열로 나타났고, E가 1을 넘어 점차 커짐에 따라 하류에 오목한 형상을 보이다가 V-형태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느 임계 수 이상의 터빈이 배치되는 경우 일열 배열을 유지하지 못하고 이열 배열로 분리됨이 관찰되었다.

  • PDF

Noise reduction Algorithm for CFA Images (컬러 필터 배열 영상에서의 잡음제거 알고리즘)

  • Lee, Min-Seok;Park, Sang-Wook;Kwon, Ji-Yong;Kang, Moo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67-69
    • /
    • 2010
  •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컬러 필터 배열(Color Filter Array)을 가진 하나의 영상 획득 센서를 사용한다. 따라서 영상획득 이후에 컬러 보간 알고리즘이 필수적으로 진행된다. 또 영상 획득 과정에서 센서의 열화나 암전류 등과 같은 잡음이 발생하여 영상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대부분의 영상 잡음 제거 알고리즘은 컬러 필터 배열 영상의 특징인 모자이크 데이터 기반이 아닌 컬러 보간 이후의 풀 컬러영상에(YCbCr)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잡음이 포함된 영상으로 컬러 보간을 할 경우 잡음의 공간적 상관관계(spatial correlation)가 커짐에 의한 잡음 번짐 때문에 컬러 보간 이후의 잡음제거는 더욱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컬러 필터 배열 영상에 대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도 CMOS/CCD의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베이어 컬러 필터 배열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베이어 컬러 필터 배열 영상 데이터에서 경계(edge)의 방향성을 고려한 LMMSE 방법을 기반으로 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영상의 경계를 보존해주며 잡음제거 과정 다음에 진행되는 컬러 보간 과정에서의 잡음 번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향상된 잡음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넙치에서 분리된 버나바이러스 strian들의 혈청학적, 유전학적 연구

  • 박상천;김영진;오명주;정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13-514
    • /
    • 2001
  •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한국산 넙치 치어에서 분리된 버나바이러스인 NCI strian은 MABV(Marine Birnavirus) 와 혈청학적으로 유사하며 VP2/NS 경계영역의 염기배열에서도 MABV와 매우 높은 homology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일대의 넙치종묘배양장에서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 분리된 5개 버나바이러스 strain들의 혈청중화시험과 VP2/NS경계영역의 염기배열을 검색하여 이들 strain들은 서로 유사한 혈청학적, 유전적 성상을 가지는 것을 밝혔다. (중략)

  • PDF

Finite Difference Nonlinear Analysis of Composite Plate Structures with Various Layer Sequences (다양한 적층 배열을 갖는 복합 신소재 판 구조물의 유한차분 비선형 해석)

  • Lee, Sang Bum;Lee, Sang Youl;Lee, Rae 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9 no.4
    • /
    • pp.159-168
    • /
    • 2005
  • This study carries out a finite difference nonlinear analysis of anisotropic advanced composite plate structures with various layer sequences. In the numerical analysis of various mechanical problems involving complex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n advantage over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its ability to avoid mesh generation and numerical integration. Many studies in FDM have been made on clamped or simple boundary conditions using merely an energy approach. These approaches cannot be satisfied, however, with pivotal points along the free boundary.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e nonlinear problem of anisotropic plates by adopting a finite difference modeling elimination of pivotal difference points in the case of a free boundary condition. Complex nonlinear behaviors of composite plate structures for various parameters, especially for layer sequences, are analyzed using the proposed approach.

Fast Algorithm to Generate the Array of Elementa 1 Image in Integral Imaging Systems (집적영상 기술에서의 요소영상 배열을 생성하기 위한 Fast 알고리즘)

  • Kwon, Young-Man;Kim, Eun-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1C
    • /
    • pp.898-904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algorithm to generate the array of elemental image in a computer generated integral imaging system. It generates the array of elemental image using depth information, needs less computing time to produce the result by using the concept of boundary area and computing the voxel within boundary area. By comparing the computing time of proposed algorithm with that of the existing algorithm theoretically and experimently, we proved the efficiency of this algorithm.

Wave-Energy Extraction by a Compact Circular Array of Buoys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 부이에 의한 파랑에너지 추출)

  • Cho, Il-H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2
    • /
    • pp.103-111
    • /
    • 2014
  • The wave power, extracted from a circular array of small power buoys, is investigated under the potential theory. It is assumed that the buoy's radius, the draft, and the separation distance are much smaller than the water depth, the wave length, and the radius of a circular deployment area. The boundary value problem involving the macro-scale boundary condition on the mean surface covered by buoys is solved using the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The capture width, which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extracted power to the wave power per unit length of the incident wave crest, is assessed for various combinations of packing ratio, radius of a circular array, and PTO damping coefficient. It is found that the circular array deployment is more effective in the viewpoint of efficiency than the single large buoy of the same total displaced volume.

A Study on the FDTD method using Periodic Boundary Condition for PBG Performance Analysis (PBG 구조 성능 해석을 위한 주기경계조건의 FDTD 적용연구)

  • Lim, Gye-ja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3 no.2
    • /
    • pp.31-38
    • /
    • 2010
  • It is difficult to design accurately the bandgap of metamaterial depending on metamaterial pattern and array configu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method for the wanted bandgap frequency using any metamaterial pattern in 2 dimensional array. Metamaterial structure is consisted of periodic array. Therefore the calculation area in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can be reduced by applying the periodic boundary condition to 2-D metamaterial array. The method for design and calculation the L and C values by using 2-D is also considered. So it can be designed more accurately and rapidly. For example, we designed metamaterial square pattern array in 5 GHz, and compared with the 1-D metamaterial pattern using analysis method in microstrip lin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this proposed method can be incresed to 14.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