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양생성물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5초

신선초를 이용한 $\textit{Hericium erinaceum}$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 Drink Using the $\textit{Hericium erinaceum}$ Cultivated on the $\textit{Angelica keiskei}$)

  • 권상철;조주현;정재현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3호
    • /
    • pp.45-51
    • /
    • 2003
  • 본 연구는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폐기되는 신선초박에 H. erinaceum의 균사체를 발효시킨 배양생성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건강 음료 개발을 검토 하고자 하였다. 1. 종균제조공정개발 : 기본 배지의 선발에서 Hericium erinaceum의 균사 생육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10여종의 고체배지를 사용하여 균사 생육 및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YMPG 배지에서 59.8mm/14days로 균사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최적 온도는 20-$25^{\circ}C$ 범위에 가장 생육이 좋았으며, 배지의 pH를 조절하여 균사생육을 조사한 결과, pH는 5.5, 접종비는 전배양액 9%(v/v), 배양에 적합한 배지액량은 50mL, 최적교반속도는 120rpm이었다. 이러한 최적 조건 하에서 배양 경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당은 거의 일정한 속도로 감소하는 반면에 건조균체량은 배양 8일째까지 증가하다가 더 이상 변화가 없었다. 2. 발효공정개발: 수분함량이 200%(v/v)에서, pH5에서의 생육속도는 90mm/30 days, $25^{\circ}C$에서의 균사생육속도는 89mm/30days로 각각 H. erinaceum균사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3.추출공정 및 시제품 제조: 녹즙을 생산한 후 폐기되는 신선초박에 액체 종균을 접종하여 ,40일 동안 배양시켜 생육 상태가 우수한 배양생성물만을 선별하여, 열수추출방법으로 10$0^{\circ}C$, 10시간 추출한 것을 음료제조의 원료로 하고, 음료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산 및 한방추출물을 첨가하는 균사체음료의 조성비를 얻었다.

  • PDF

생약추출물이 Aspergillus parasiticus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Aflatoxin $B_1$ Production from Aspergillus parasiticus)

  • 정상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 8종의 생약 추출물이 A. parasiticus의 배양시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pH는 배양 3일 후에 모든 생약 추출물이 pH 4 이하를 나타냈으며 구기자, 오매, 계피, 두충은 배양 6일에 다시 pH 4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이중 대추가 배양 기간 중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균체 생성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갈근, 두충, 오미자, 대추, 오매,구기자, 목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갈근이 최대 생성량을 나타냈으며 목과가 가장 낮은 생성량을 나타냈다. Aflatoxin $B_1$은 갈근과 대추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생성이 억제되었다. 특히 계피, 오매, 두충 구기자, 오미자 추출물 에서 aflatoxin $B_1$ 생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계피가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균체량이 많이 생성되면 aflatoxin $B_1$ 생성이 적어지고 균체량이 적게 생성되면 aflatoxin $B_1$의 생성이 많아졌다.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해 aflatoxin $B_1$을 가장 적게 생성하는 계피와 가장 많이 생성하는 갈근 추출물의 총단백질 생성량은 계피는 3일째 (34.5%), 갈근 ext ract는 4일째 (36.4%) 총단백질의 함량이 최대가 되어 균체 내의 총단백질의 함량은 계피와 갈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군이 게조군의 총단백질 함량 (32.7%)보다 약간 많았으며 aflatoxin $B_1$ 생성 및 축적이 최대가 되는 시기는 총단백질량이 최대가 되는 시기보다 대체로 1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Aloe vera Callus 현탁배양 생성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Cultured Products from Suspension Culture of Aloe vera Callus)

  • 김명욱;조영제;이신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57-163
    • /
    • 2013
  • 알로에의 유효성분인 다당의 효율적 생산연구일환으로 수행되었던 aloe callus의 현탁배양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의 배양생성물(세포외 다당)과 callus의 용매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세포외 다당(ACP)과 callus (AC)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Raw 264.7) 세포생존율을 MTT assay로 조사한 결과, AC-DMSO의 $400{\mu}g/mL$ 첨가구에서 97%로 미미한 증식저해를 보였으나 나머지 시료처리구는 모두 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 배양액의 알로에 추출물 처리에 따른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AC-DW와 AC-DMSO는 오히려 양성대 조구인 LPS 단독보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다. 특히, 세포외 다당 분획인 ACP-DW는 NO 생성을 강력히 억제하여 $80-100{\mu}g/mL$의 비교적 낮은 농도의 첨가로 대조구 수준까지 억제하였다. 또,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알로에 현탁 배양 생성물의 처리에 따른 COX-2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조사한 결과, ACP-DW 처리구는 단독으로 COX-2 단백질을 발현시키지 않았으며, LPS 자극에 따른 COX-2의 발현감소는 미미하였다. 아울러,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된 염증 사이토카인인 IL-$1{\beta}$와 TNF-${\alpha}$의 발현량을 RT-PCR로 조사한 결과, ACPDW 처리구에서 TNF-${\alpha}$의 발현이 강력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로에 현탁배양 유래의 생성물들이 비교적 우수한 항염증활성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결과로, 그동안 삽목번식의 재배방법에 의존하였던 알로에 유효성분의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새로운 방법으로서의 알로에 callus의 현탁배양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홍화자 추출물의 치주 경조직 재생 촉진 효과

  • 정세영;박준봉;권영혁;김성진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7-87
    • /
    • 2001
  • 최근 치의학 영역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특히 생약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cutellariae Radix, Centella asiatica 등이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홍삼사포닌이 배양한 치주인대세포의 성장, 분화에 관계된다는 보고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화자 메탄을 추출물과 키토산의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 분화, 석회물 결정 생성 촉진작용을 검토하여 치주경조직 재생 약물로서의 사용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치주인대 세포는 교정치료목적으로 경희의료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1 소구치를 발거하고 치근시작점에서 중앙으로 1/3되는 지점에서 치주인대 조직을 절취하여 1차 배양하였다. 실험에는 계대배양하여 5-7 세대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 PDF

Choneophora trispora 혼합배양에 의한 $\beta$-Ca-rotene의 생합성에 관한 연구

  • 유주현;양강;박정길;김동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3.2-183
    • /
    • 1976
  • Choneophora trispora 단독 혹은 혼합배양하여 Carotene과 Vitamin A의 생성을 연구하였다. 1) $\beta$-Carotene 생성량은 chonephora trispora의 (+)주보다 (-)주가 좋았고 단독배양보다 혼합배양이 좋았다. 2) $\beta$-cionone은 $\beta$-carotene 생합성을 촉진하였다. 3) FeCl$_3$은 균생육과 $\beta$-carotene 생합성을 저해하였다. 4) 균체추출물은 ergosterol, carotene은 확인할 수 있으나 vitamin A는 확인 할수 없었다.

  • PDF

토양균에서 항생물질의 분리와 구조연구

  • 구양모;이윤영;김경자;최옹칠;김범태;주정호;이재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22-22
    • /
    • 1992
  • 국내의 토양에서 Streptomyces spp.를 분리하였고 이 중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들을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이온 교한 수지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항생물질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항생물질들은 Bacillus subtilis, Pyricularia oryzae, Alternaria mail, Candida albicans, Mycobacterium smegmatis, Pseudomonas aeruginosa , 및 Escherichia col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항생물질들을 산으로 가수분해하고 흡착관 크로마토그래피로 가수분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항생물질과 가수분해 생성물들의 $^1$IH-NMR, $13^{C}$ -NMR, FAB-Mas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구조를 연구하였다.

  • PDF

송이버섯 배양 균사체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d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on Melanin Biosynthesis)

  • 최상윤;김나나;김영언;이연미;김순정;김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0-242
    • /
    • 2011
  • 액체배양한 송이버섯 균사체와 배양액의 tyrosianse 억제활성과 melanocyte에서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배양액 농축물은 큰 효과가 없었으나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100 ppm에서 38.6%의 tyrosianse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melan-a 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세포생존율 대비 19%의 멜라닌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양된 송이버섯균사체는 피부색소조절을 위한 소재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는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우엉 뿌리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형성 억제 효능 (Inhibi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formation by burdock root extract)

  • 이다례;김춘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4호
    • /
    • pp.233-240
    • /
    • 2016
  • 항산화, 항암 및 항염증 효능 등의 생리 활성이 보고된 우엉 뿌리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형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AGEs는 bovine serum albumin (BSA)과 단당류인 glucose, fructose, galactose를 혼합하여 $37^{\circ}C$에서 3주간 배양하여 생성하였고 매주 형광도 측정, fructosamine 분석, ${\alpha}$-dicarbonyl compounds 함량 분석을 통해 AGEs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우엉 뿌리 추출물의 AGEs 생성 저해능을 AGEs 생성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aminoguanidine (AG)의 저해능과 비교하였다. 우엉 뿌리 추출물은 BSA와 단당류인 glucose, fructose, galactose 각각의 당화반응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배양 3주차에서 BSA와 glucose의 당화반응 결과물인 AGEs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농도 2 mg/mL 이상의 우엉 뿌리 추출물은 1 mM AG보다 AGEs 생성 저해능이 우수하였으며 농도 4 mg/mL의 우엉 뿌리 추출물은 배양 3주차에서 AGEs 생성을 약 80% 이상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냈다. 체내 혈당은 당뇨병과 같은 질환과 식이의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glucose 농도에서 우엉 뿌리 추출물의 AGEs 생성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GEs 생성은 glucose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우엉 뿌리 추출물은 당뇨환자의 식후에 관찰되는 혈당인 25 mM glucose 군에서 1 mM의 AG보다 높은 우수한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엉 뿌리 추출물의 AGEs 생성 억제라는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며 향후 당뇨 합병증 예방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로 혼합 배양한 Whey 발효물이 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Whey Produced by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Bread)

  • 윤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14
    • /
    • 2005
  • [ $10\%$ ]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reichii를 혼합 배양할 때 유청 발효물 중의 생균수의 변화, 유당 소모량, 프로피온산과 초산생성량 등을 측정하였고, 유청 발효물을 식빵 제조에 일정량 첨가하여 식빵의 부피, 조직감, 보존성 등을 분석하였다. 4일 배양동안 L. acidophilus의 생균수는 배양 36시간에 $2.4\ties10^9$ cfu/mL, P. freudenreichii는 배양 96시간에 $9.42\times10^8$ cfu/mL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L. acidophilus가 P. freudenreichii보다 빠르게 증식하였다. 유당의 소모율은 $87.5\%$이었고, 4일 배양 후 프로피온산은 18.5g/L, 초산은 4.8g/L 생성되었으며 그 비율은 3.8:1이었다. 식빵의 부피는 유청 발효물을 많이 첨가할수록 작았으나 조직감은 유청 발효물이 많이 첨가될수록 낮은 경도 값으로 부드럽게 나타났으며, 보존성은 유청 발효물을 $10\%$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2일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orella 추출물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Yoghurt Starter)

  • 조은정;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7
    • /
    • 2004
  •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chlorella 추출물의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r. the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 Lac. bulgaricus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균 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 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의 첨가 농도(0.5%, 1.0%, 2.0%, 3.0%)를 달리 하였을 때 Str. thermophilus, Lac. casei와 Lac. bulgaricus는 chlorella 추출물 분말 0.5% 첨가 시 9시간 배양에서, 그리고 Lac. acidophilus는 1.0% 첨가 시 15시간 배양에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Lac. casei가 0.5% 첨가 시 배양 9시간에 3.63${\times}$$10^{9}$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 수를 보였다. 또한 이들 유산균의 산 생성도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5%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혼합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0.5%, 1.0%, 2.0%로 첨가하였을 때 저농도(0.25∼0.5%)의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에 의해 모든 유산균 혼합 균주의 증식이 촉진되었고, pH가 크게 하락하였으며 적정산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를 혼합 배양하였을 때 chlorella 추출물 분말 0.25% 첨가 시 12시간 배양 후 1.13${\times}$$10^{8}$ CFU/mL로 생균수 가 가장 높아 4.12 의 log cycle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hlorella 추출물 첨가 yoghurt 제조 시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첨가하여 혼합 starter로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