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양

Search Result 12,89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Survey on the Cultivation Process of Plant Tissue Culture (식물조직 배양공정의 기계화를 위한 작업실태분석)

  • 강창호;정석현;한길수;권기영;윤진하;최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01-406
    • /
    • 2002
  • 식물조직 배양공정의 기계화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조직 배양기술의 개발 또는 식물묘를 대량생산하는 연구지도기관 및 농원 등의 배양실 10개소를 대상으로 배지의 분주, 배양용기의 밀봉 및 세척, 배양체의 접종공정 등에 대한 작업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배양기술의 개발 또는 식물묘 대량생산은 대부분이 나리, 호접란, 풍란, 심비디움 등 화훼류였으며, 배지는 모두 한천이 혼합된 고체배지, 배양용기는 형상 및 용량 등이 다른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이 사용되었다. 나. 배지의 분주작업은 조사대상 10개배양실중 6개소는 작업자가 비이커를 사용하여 분주하였고 4개소는 자동 또는 반자동분주기를 사용하였으며, 인력 및 반자동분주기의 사용시 배양용기간의 분주량은 기준량의 $\pm$25%범위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 액체배지의 분주시 온도는 36.8~88.$0^{\circ}C$, 점도는 3.7~11.8cP 범위였고 점도는 배지에 혼합하는 한천, 사과 등 유기물의 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배지의 분주작업을 기계화하기 위해서는 배지의 온도와 점도, 배양용기와 분주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지의 점도에 따라 분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라. 배양용기의 밀봉소재는 플라스크의 경우 호일 또는 고무마개와 호일, 배양병은 모두 나사산이 있는 캡, PE용기는 뚜껑을 사용하였으며, 밀봉작업은 모든 배양실에서 인력에 의존하였고 작업능률은 호일만으로 밀봉하는 경우 시간당 180~240병, 캡은 시간당470~600개 정도였다. 마. 배양체의 접종작업은 모든 배양실이 인력에 의존하였으며, 배양체를 배지와 분리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배양작물에 따라 생육정도를 2~3등급으로 구분하여 배양용기의 배지 위에 치상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작업능률은 호접란의 경우 배양병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6병, 심비디움은 원형 플라스크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10병 정도였다. 바. 식물체의 대량증식에 사용되는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 배양용기의 세척작업은 농원의 1개배양실에서 간이식 세척기, 이 외의 9개배양실은 모두 물에 담겨 두었다가 세제와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인력으로 세척하고 있어 생력화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

  • PDF

Interleukin 8-like Chemotactic Activity in the Culture Supernatanl from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Exposed to Ginseng PD Saponin (인삼 PD 사포닌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 배양상층액중의 interleukin 8 양 유주활성)

  • 양만표;박세헝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5 no.1
    • /
    • pp.110-115
    • /
    • 1998
  • 인삼 PD saponin(GPD)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afNC) 배양상충 액에서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MNC)에 대한 interleukin(IL) 8 양 유주활성에 잔하여 검토 하였다. PMNC의 유주활성은 H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GPD를 첨가하여 배양 한 MNC배양상층액중에는 rMNC에 대한유주활성이 인정되었다. PMNC에 대하여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에 존재하는 유주활성이 IL 8 양 물질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human recombinant IL 8을 이용하여 고양이 PMNC에 대해 유주팔성을 측정한 결과,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의 경우와 동등한 활성이 나타났다. Human IL 8 mAb를 사용하 여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의 유주활성에 대한 중화반응을 살펴본 결과, GPD로 배양잔 MNC 배양상충액 및 human IL 8에 의해 증가되었던 PMNC의 유주활성은 IL 8 cAb의 첨가농토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GPD로 배양한 고양이 MNC 배양상충액중의 유주활성은 열처리(4, 30, 37, 60 및 $100{\circ}C$) 및 산(pH 3.0)과 알카리 (pH 9.0)처리에도 안정성을 보여 human IL 8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충액중에 존재하는 고양이 PMNC에 대한 유주활성은 feline IL 8 양 물질임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 PDF

Effects of EGF, $\beta-ME$, Glucose, $O_2$ Concentrations and Fibroblasts Sub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NT Embryos (EGF, $\beta-ME$, Glucose, $O_2$ 농도 및 Fibroblast Subculture가 핵이식 배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Quan J. H.;Wang A. G.;Kim S. 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0 no.2
    • /
    • pp.147-156
    • /
    • 2005
  •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beta-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핵이식 배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2.0\pm1.3\%,\;9.6\pm1.9\%,\;10.9\pm2.1\%,\;9.1\pm2.3\%$였다. 핵이식 배를 $25{\mu}M\;\beta-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6\pm1.7\%,\;7.3\pm2.3\%,\;11.9\pm1.8\%$$7.4\pm2.1\%$였다. $\beta-M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beta-M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발생율을 나타냈다. (p<0.05). 핵이식 배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4\pm2.2\%,\;6.8\pm2.7\%,\;10.9\pm2.4\%$$8.9\pm2.6\%$였다. Glucose를 첨가한 NCSU-23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냈다. 핵이식 배를 NCSU-23 및 PZM-3 배양액과 $5\%$$20\%$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1.1\pm1.8\%,\;9.8\pm1.4\%,\;12.5\pm1.6\%$$10.9\pml.5\%$였다. NUSU-23과 PZM-3 배양액에서 $5\%$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20\%$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났다. 섬유아세포를 NCSU-2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로 계대배양하였을 때의 융합율은 $60.0\~73.3\%,\;52.5\%$였다. 섬유아세포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의 계대배양시의 융합율은 $60.4\~75.1\%$$58.7\%$였다.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ycelial Flammulina velutipes Cultured in Liquid Grain Media (곡물 액체배지에서 배양시킨 팽이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

  • 한서영;손미예;이상원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8 no.1
    • /
    • pp.50-56
    • /
    • 2003
  • 팽이버섯 균사체를 액체배양하여 전통 장류 발효식품및 음료개발에 이용할 목적으로 7종류의 곡물에 배양한 팽이버섯 배양액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혈전 용해능은 골목 배양액과 침전물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로 조, 대두박 및 검정콩 배지에서 혈전용해능이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은 S.aureus에 대해서는 밀, 보리 및 검정콩이 높았고, L. plantarum에 대해서는 조, 밀 및 보리가 높았으며, E.coli에 대해서는 밀과 보리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이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곡물배지 자체에서는 검정콩, 대두박 및 합성배지에서 높게 나타났고, 팽이버섯을 배양했을 때는 검정콩배지의 항산화력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장세포의 증식능은 보리, 밀, 조 및 합성배지에 팽이버섯을 배양하였을 때가 곡물자체에서보다 약 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ConA를 버섯배양 추출물에 혼합했을 때는 옥수수, 대두박 및 검정콩에서 팽이버섯을 배양한 배양액이 $22\sim26%$ 정도의 증식효과가 있었으며, LPS를 혼합했을 경우는 옥수수, 대두박, 검정콩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이 각각 45%, 25%,18%의 증식효과가 나타내었다.

  • PDF

Maturation, Embryonic Development, and Subsequent Embryo Survival after Freezing and Thawing Following a Single or Group Culture Condition of Japanese Black Cattle Oocytes using Modified Synthetic Oviduct Medium (mSOF 배양액을 이용한 미성숙 난자의 단독 및 그룹 배양 조건을 적용한 일본 흑우 수정란의 성숙, 배발달 및 동결 융해 후 생존성)

  • Park, S.J.;Takahashi, Y.;Park, S.B.;Baek, K.S.;Ahn, B.S.;Jeon, B.S.;Ryu, I.S.;Kim, H.S.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2 no.1
    • /
    • pp.21-26
    • /
    • 2007
  • 본 연구는 mSOF(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100{\mu}1$$10{\mu}1$ 배양 소적에서 일본 흑우의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구세포가 부착된 미성숙 난자는 각각 단독 배양조건($S;\;10{\mu}1$ 소적) 및 그룹 배양 조건 ($G;\;100{\mu}1$ 소적)에서 실시하였고 배양액은 TCM-199의 기본 배지에 10% FCS, 0.02IU/ml FSH와 $1{\mu}g/ml$ $estradiol-17{\beta}$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반포 단계로 발육한 수정란은 1.5M ethylene glycol로 직접 이식법에 의한 동결 방법으로 동결을 실시하였고, 세포수는 융해 후 생존 수정란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외 배양 시간이 $16{\sim}17$시간 배양 조건에서 난자의 성숙율은 그룹 배양 조건$(27.1{\pm}16.8%)$보다는 단독 배양조건$(57.1{\pm}15.0%)$에서 성숙율이 높았다(p<0.05). 그러나 체외 배양 시간이 $18{\sim}19$ 시간과 $20{\sim}21$시간 배양시는 유사한 성숙율을 보였다. 난자의 체외 배양율은 체외 배양 시간의 증가에 의해 성숙도가 $86.3{\pm}9.9%$로 증가하였다. 접합체(zygote)의 분할율은 단독이나 그룹 배양 조건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배반포 발달율은 배양 $7{\sim}8$일째에 조사한 결과 단독 배양 방법보다는 그룹 배양 방법에서 발달율이 높았으나, 분할된 접합체를 기준으로 한 경우 배반포 발달율$(S;\; 21.4{\pm}10.6%,\;G;\;39.0{\pm}13.1%)$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단독 배양과 그룹 배양에서 $6.5{\pm}8$일 사이에 배반포로 발달된 수정란의 세포수 조사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동결 융해 후 24시간 배양 후 배반포 생존율(5; 24.2%, G; 30.2%), 부화율(S: 20.9%, G: 12.7%) 및 생존 수정란수(S; 45.2%, G: 42.8%)에서도 배양 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mSOF배양액을 이용하는 경우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 유도 배양 시 단독이나 그룹 배양 시 배반포 발달율에서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가 인정되었다(p<0.01).

High Density Cultivation of Methylobacillus sp. SK1 in Fed-Batch System (Methylobacillus sp. SK1의 고농도 유가배양)

  • 이형춘;이계호김시욱
    • KSBB Journal
    • /
    • v.5 no.3
    • /
    • pp.269-277
    • /
    • 1990
  • Methylobacillus sp. SK1, an obligate methylotroph, was cultivated in a fed-batch culture using DO as a methanol feeding indicator with a micro computer-aided control system. While 2.07g/l of cell density was obtained after 13 hr in the batch culture (initial methanol concentration: 1.0%(v/v)),45.3g/l of cell density was obtained after 17 hr by feeding methanol and metal ions in the fed-batch culture with oxygen supply. The high-density biomass was obtained in short cultuivation time by fed-batch culture with feedback control, and consequently the biomass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t was mainly due to extension of logarithmic growth period by methanol feeding without methanol inhibition and intensive aeration without DO limitation with microcomputer-aided control system.

  • PDF

Culture of Bovine Embryos Derivedfrom IVM/IVF into Blastocysts in Defined Simple Media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extrm{CO}_2$and $\textrm{O}_2$ ($\textrm{CO}_2$$\textrm{O}_2$의 농도가 소 체외주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 양부근;김종복;정희태;김정익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9 no.1
    • /
    • pp.53-63
    • /
    • 1994
  •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 발육에 $CO_2$$O_2$의 농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두가지 배양액과 서로 다른 Co-culture 체계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체외 수정후 40~44시간에 회수간 2~8 세포기 수정란을 여러가지 gas조건하의 다른 배양조건에서 무작위로 옮겨 실험을 수행하였다. 5% $CO_2$$O_2$,10% $O_2$및 20% $O_2$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한 결과, 상실배가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각각 22.1% 15.0% 및 21.1%였다.(p<0.05). 한편 배양액에 따른 헤외 배양성적은 KOSM배양액(19.1%)의 경우가 Menezo's B2 배양액(13.7%)에서 배양한 경우보다 더 높은 성적을 얻었다.(p>0.05,Table 1). 2~8세포기 수정란을 5% $CO_2$또는 10% $CO_2$와 5%, 10% 및 20%의 $O_2$조건 하에서 체외 배양을 실시한 경우 각각 15% 와 8%의 체외 발육 성적을 얻었고(P>0.05), $O_2$조건의 경우 10% $O_2$(17%)와 20% $O_2$(20%)의 배양조건을 이 5% $O_2$(26%)보다 낮은 성적을 나타냈다. (P<0.05), (Table2). 체외 수정 후 얻은 2~8세포기 수정란을 단순 배양액 과 두개의 다른 공동 배양체계를 이용하여 5% $CO_2$와 5% 및 20% $O_2$의 배양 조건하에서 체외 배양을 실시한 결과 상실배와 배반포기 까지 발육된 체외 발육 성적은 배양액과 공동배양 체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그러나 $O_2$의 농도는 소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발육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본실험은 $CO_2$$O_2$의 농도가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 배양할때 배양체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12731와 Kluyveromyces fragilis KFCC35457의 혼합배양을 이용한 대두유의 젖산발효조건

  • 류인석;박정길;유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86.12a
    • /
    • pp.531.1-531
    • /
    • 1986
  • L. acidophilus를 대두유에 젖산발효 시킬 때 단독배양과 효모인 K. fragilis와의 혼합배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젖산의 생성량은 젖산균 단독배양보다는 효모와 혼합배양 하는 것이 2.6배나 많았으며 L. acidophilus를 단독배양 하였을 경우 균의 생육속도와 PH 강하속도는 K. fragilis를 단독배양한 것에 비교하여 늦었다. 그러나 혼합배양 함으로써 생육속도와 PH 강하속도는 K, fragilis를 단독배양한 것보다 빨랐다. 단독 또는 혼합젖산발효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L. acidophilus.는 37$^{\circ}C$, K. frahilis는 3$0^{\circ}C$, 두 균의 혼합배양시는 35-37$^{\circ}C$ 범위에서 산생성이 가장 좋았다. 혼합배양 시 검토한 젖산발효 최적조건은 L. acidophilus와 K. fragilis의 접종비율이 1:5, sucrose 0.5-1.0% SKIMMILK 1.5%를 각각 첨 가한 것이 좋았다.

  • PDF

Carotenoid Production of Transformed Carrot Hairy Root and Its Culture in Bioreactor (형질전환된 당근 모상근의 Carotenoid 생산과 생물반응기에서의 배양)

  • 고경민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5 no.4
    • /
    • pp.365-370
    • /
    • 1992
  • 다양한 배양조건을 이용하여 당근 모상근의 생장과 carotenoid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배양조건을 airlift형생물 반응기에 적용하여 모상근의 다량 배양을 시도하였다. 고형배지 배양에서의 carotenoid 함량은 광조건에서 배양된 모상근이 암조건에서 배양된 모상근보다 10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모상근의 생장은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공기 유출기 배양에서는 모상근이 광조건과 암조건 모두에서 매우 빠르게 생장하여 생줄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모상근의 생장과 carotenoid 함량에 있어서 빛의 조사는 모상근의 전체적인 생중량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배양 후기 생장단계에서 carotenoid 함량을 증가시켜서 암조건에 비하여 10배 정도의 carotenoid(11 $\mu\textrm{g}$/g)를 생산하였다. 모상근을 생물 반응기에서 배양하였을 때, 모상근이 지수함수적으로 빠르게 생장하여 배양 25일 동안에 처음 무게의 11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H는 처음 5.5에서 5일후 4.9로 떨어지다가 그 이후에 일정한 수준(pH 4.8)을 보여주었으며, 광주기와 광도을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carotenoid 함량은 2$\mu\textrm{g}$/g으로 나타났다.

  • PDF

일반 독자를 위한 양식 정보 시리즈 - V.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먹이 생물로 이용되는 식물${\cdot}$동물 먹이생물의 단일종 배양(mono-specieis culture), 스트레인 배양(strain culture) 그리고 무균 배양(axenic culture)

  • Jung, Min-Min;No, Seom
    • Korean Aquaculture
    • /
    • v.12 no.1
    • /
    • pp.95-99
    • /
    • 2000
  • 이번 호에서는 먹이생물 관련 양식 정보 시리즈 여섯 번째로 수산 증양식 분야에서 어린 유생의 먹이로서 이용되는 식물${\cdot}$동물 먹이생물의 배양 방법으로서 배량 배양으로 들어가기 전에 선결되어야 할 단일종 배양, 스트레스 배양 그리고 무균 배양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