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아

Search Result 78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Different Infusion Frequency of Liquid Nitrogen on Actin Filament, Mitochondria, Apoptosis and Development in Mouse 2-Cell Embryo after Freezing and Thawing (생쥐 배아 동결시 액체질소의 분사속도가 해빙후 배아의 발달, 미세섬유, 미토콘드리아 및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 손인표;안학준;계명찬;최규완;민철기;강희규;이호준;권혁찬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4 no.2
    • /
    • pp.161-173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the L$N_2$ infusion on the ultrastructure, metabolism and development of the embryo after freezing and thawing by computerized cell freezer. Two-cell embryos of ICR mouse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resh (control), high-frequency freezing (group 1) and low-frequency freezing (group 2). For fresh and frozen-thawed intact 2-cell embryos, total ceil number in the blastocyst was counted by fluorescent microscope after Hoechst 33258 staining. Relative amount of $H_2O$$_2$ was measured by DCHFDA. Intracellular location and membrane potential of the mitochondria were evaluated by staining with rhodamine 123 and JC-1. The structure of actin filament was also evaluated by confocal microscope. DNA fragmentation was assessed by TUNEL method after development into blastocyst. The survival rate of intact embryo was higher in group 1 than group 2 (50.7% vs. 34.6% respectively, p<0.05). The blastocyst developmental rate was significantly low in group 2 (86.7%, 76.7% vs. 44.0% for control,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p<0.05). Total cell number in the blastocys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control (79.5$\pm$12.9, 71.6$\pm$8.0, and 62.5$\pm$4.7 for control,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p<0.05). The relative amount of $H_2O$$_2$ was higher in group 2 than other groups (15.3$\pm$3.0, 16.6$\pm$1.6 vs. 23.4$\pm$1.8, p<0.05). After JC-1 staining, relative intensity of mitochondria with high membrane potential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control and group 1 (17.2$\pm$3.8, 17.4$\pm$1.3 vs. 13.2$\pm$2.0, p<0.05). In group 2, partial deletion and aggregation of the actin filament was found. DNA fragmentation rate was also hieher for group 2 versus other groups (30.8%, 36.0% vs. 65.6%, p<0.05). The frequency of the L$N_2$ infus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frozen-thawed mouse embryo. High-frequency infusion may prevent damages of cytoskeleton and mitochondria in the embryo probably 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fluctuation during dehydration phase. We speculate that the application of high-frequency infusion method in human embryo may be promising.

  • PDF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난자핵 추출에 비결 있었다

  • Lee, Eun-J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4 s.419
    • /
    • pp.24-27
    • /
    • 2004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를 이용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연구책임자인 황우석(서울대 수의대), 문신용(서울대 의대) 교수는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의 초청으로 지난 2월 미국 시애틀에서 국제기자회견을 가졌다. 한국 과학자가 뉴욕타임스, BBC, 워싱턴포스트 등 세계 유수의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기자회견을 가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전세계 언론에 대서특필되면서 세계 생명공학계에‘태극기를 휘날린’대단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황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연구를 간단히 요약하면‘사람의 난자에 사람의 체세포핵을 넣어 복제배아를 만들고 배양을 통해 인간배아 줄기세포로 분화시킨 것’이다. 그런데 왜 이 문장 하나에 수많은 사람들이 놀라고 열광하는 것일까. 귀국 이후 쏟아지는 인터뷰 요청을 사양하고 다시 실 험실로 돌아가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황 교수를 어렵게 만났다. 인간배아줄기세포 생산 성공까지의 중요한 과정들을 황 교수와 문답으로 다시 풀어본다.

  • PDF

Public Understanding of Cloning and Internet $\ddot{O}effentlichkeit$ (배아복제의 '공중의 이해'와 인터넷 공론: 2005년 5월 20일 황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성과 발표에 따른 생명윤리논쟁을 중심으로)

  • Suh Yi-Jo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5 no.1 s.9
    • /
    • pp.125-148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tem cell cloning discussed in the Internet, based upon the case study of public discourse about Dr. Hwang's international publication of an advanced research of Stem Cell in Korean context.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tem cell cloning in Kore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1) it was defined as therapeutic cloning, (2) it was legitimized as a national pride and a potential vehicle for long-term economic performance, (3) ethical issues were criticized by the exclusion of early embryo from human life and the ubiquity of abortion in Korea.

  • PDF

Christianity'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ublic attitude towards embryo stem cell research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대중의 태도형성에 기독교가 미친 영향)

  • Shon, Hyang Ko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3 no.2
    • /
    • pp.37-70
    • /
    • 2013
  • Christianity has desperately opposed to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regarding it homicide. It made the opinion public many times and has tried to lead Christian to recognize the situation and make an appropriate decision with no actual result. It means that many other factors than religion have an effect on the process of making decision. This article aims to summarize the attitude of Christian believer towards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and identify the factors interacting in the developing situation. Also, it try to show how the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the others and Christian believers interpret and accept the information, finally leading to make a conclusion that religious factor have only a narrow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believers' attitude.

  • PDF

생쥐 배아의 전사와 발생에서 DNA/RNA 메틸화의 역할

  • 김종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32-33
    • /
    • 1998
  • 생물체에서 유전외적 변형의 하나인 DNA 메틸화는 cis-acting factor의 조성변화를 통하여 세포특이 유전자의 발현과 virus latency, genomic imprinting, mutagenesis등과 같은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viewed by Olle Heby, 1995). 5-azaCR, 5-azaCdR 그리고 6-azaCR의 처리결과는 배아자체의 DNA 메틸화의 유지가 정상발생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으며, 메틸화에 의한 배아발생 조절기작이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5-azaCR과 5-azaCdR은 서로다른 경로를 통하여 배아발생에 관여함을 보여주었다. 즉, 5-azaCdR은 주로 DNA에 incorporation되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5-azaCR은 DNA 보다는 RNA에 incorporation되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록 소수의 유전자만이 조사되었지만, 5-azaCdR의 incorporation에 의한 cis-acting factor의 변화는 전사인자인 c-myc proto-oncogene과 fluid 수송에 관여하는 $Na^{+}$, $K^{+}$-ATPase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지 않았다. 반면, 5-azaCR의 RNA로의 incorporation은 전사인자인 c-myc proto-oncogene의 전사를 억제하였으며, 연이어 fluid 수송에 관련되어있는 $Na^{+}$, $K^{+}$-ATPase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RNA로 incorporation된 5-azaCR은 RNA의 post-transcriptional processing에 영향을 주어 trans-acting factor의 조성을 변화, 전사적 repression을 유발한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착상전 초기배아에서 DNA 메틸화는 short-term하게는 cis-acting factor로써 전사적 수준에서 유전자발현 조절하며, 그리고 유전자발현을 통하여 long-term하게는 배아발생에 관여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미토콘드리아 미세구조의 변형과 생쥐 초기 배아의 발생능력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전진현;임천규;궁미경;고경남;김문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6-106
    • /
    • 2002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의 에너지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내 소기관이며, 자체의 유전물질이 모계를 통해 유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포유류 초기 배아의 발생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초기 배아의 발생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미세구조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와 초기 배아의 발생 능력과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과배란 유도된 ICR 생쥐로부터 배란된 난자와 2-세포기 배아를 수획하여 76 배양액으로 포배기까지 체외배양하면서, 각각의 발생단계에 따라 시료를 수획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미세구조의 변화는 일반적인 투과전자현미경방법(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미세구조는 배란 난자에서 4-세포기 배아까지는 구형이고 크리스타가 발달하지 않은 원시형태였지만, 포배기로 발달함에 따라 크리스타가 발달된 막대형의 전형적인 미토콘드리아로 분화됨이 관찰되었다. 체외배양 중에 발생이 지연되거나 정지된 배아에서 관찰한 미토콘드리아의 미세구조는 공포화 (vacuolization), 크리스타 발달 지연,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변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극체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의 미세구조는 정상적인 핵내의 유전자와의 상호작용이 없어 미분화 상태로 포배기까지 유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정상적인 분화 과정이 초기 배아의 발생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포유류 초기 배아의 체외배양시스템을 개선하는데 미토콘드리아 미세구조의 관찰과 변화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buffer A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 petri dish의 바닥에 부착된 macrophage만을 cell scraper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macrophage는 0.5-1 $\times$ $10^{6}$ cells/$m\ell$가 되게 조정하여, IL-I 을 0.001, 0.01, 0.1 또한 1 ng/$m\ell$를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고, 각각 24, 48, 72, 96 또한 120시간을 배양하여 시간에 의한 효과도 실시하였다. 각 배치구에서 얻어진 배양액은 TGF-$\beta$를 조사하기 전까지 -2$0^{\circ}C$에 동결 보존하였다. TGF-$\beta$의 측정은 TGF-$\beta$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est를 Statview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의 결과 대조구에 비해 IL-I 첨가구는 2-3배의 TGF-$\beta$생산을 보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른 생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IL-I의 농도에 따른 생산의 변화는 IL-I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 및 비임신의 경우 임신우의 비장 macrophage가 비임신보다는 약간 상승하는 거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IL-I $\alpha$$\bet

  • PDF

Patterns of Protein Synthesis During the Second Cleavage of Mouse Two-Cell Embryos: Effects of Colcemid and a-Amanitin (생쥐 배아의 2세포기 분열과정에 있어서의 단백질 합성 분석 : Colcemid와 a-Amanitin의 영향)

  • Kang, Hae-Mook;Kvu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4
    • /
    • pp.404-411
    • /
    • 1989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precise patterns of protein synthesis during the second cleavage in mouse. F1 hybrid 2-cell embryos showing a highly synchronized cell cycle and outbreed ICR strain 2-cell embryos were used. The patterns of protein synthesis during the second cleavage showed the sequential changes in the F1 hybrid and ICR strain 2-cell embryos. Moreover, we examined the effects of mitotic and transcriptional inhibitors such as colcemid and a-amanitin on the protein synthesis in the late 2-cell embryos of ICR strain. Treatment of colcemid (0.1mg/ml) blocked the second cleavage, but did not affect on the change of protein synthesis. However, treatment of a-amanitin induced the synthesis of two set of polypeptides without affecting on synthesis of other proteins and cleavage. It thus seems that the appearance of a-amanitin-sensitive proteins may be not involved in the second cleavage.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cond cell cycle in mouse embryos appears to be regulated at post transcriptional level, presumably independent on the expression of embryonic genome. 본 연구는 생쥐 배아의 2세포기 분열과정중 단백질 합성양상과 단백질합성에 미치는 colcemid와 $\alpha$-amanit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체내 수정된 ICR strain의 2세포기 배아와 매우 일치된 초기배아 분열양상을 보여주는 체외 수정된 F1 (C57BL x CBA) hybrid 2세포기 배아를 사용하였다. 두 종류의 2세포기 배아에서 단백질 합성은 분열단계에 따라서 매우 일치된 변화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사분열 억제제인 colcemid (0.1mg/ml)의 처리는 2세포기 배아분열을 억제하였으나, 단백질 합성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하였다. 그리고 후기 2세포기 배아에 전사 억제제인 a-amanitin (100mg/ml)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분열이나 다른 단백질의 합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이 단지 두개의 단백질의 합성만을 유도하였다. 이는 아마도 a-amanitin의 stress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생쥐 2세포기 배아의 분열과정은 배아게놈의 유전자 발현과는 무관하게 이미 합성되어 존재하는 mRNA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ies on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Wheat Germ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균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Bong-Soon;Kang, Kun-Og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9 no.4
    • /
    • pp.585-592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heat germ. The fatty acid components of the wheat germ included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Furthermore, the acid value was 8.5, the peroxide value was 7.1, the iodine value was 126.8, the saponification value was 159.7, and the refractive index was 1.547. In the unsaponifiable matter, the total phenol concentration extracted by ethanol, along with physiological activity were 2.02% and 0.45%, respectively, and the amount of flavonoids and activity were 6.89% and 6.90%, respectively. The amount of flavonoids was larger than the phenol concentration in the wheat germ. In addition,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the wheat germ was lower than ascorbic acid but greater than BHT and tocopherol. The peroxide value in the linoleic acid changed over 5 days, presenting as 0.67, 22.70, 44.25, 5.81, and 91.17 meq/kg, and increases were also consistently shown as time passed for the ethanol extractions and unsaponifiable. Additional data showed that antimicrobial effects could not be detected in the wheat germ concentration or method of extraction.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cker Using Vacuum Packaging and its Effects on the Rice Quality

  • Yan, T.Y.;Chung, J.H.;Rhee, C.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131-1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배아미, 현미, 가능성쌀들 및 진공을 요하는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배아미의 진공포장 성공률은 92.6%이었고, 실패율 7.4%에서 진공포장기 자체에서 불완전 테이핑의 밀봉작업으로 진공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가 5.5%, 그리고 진공하기 전 자동비닐포장기에서 포장시 봉지 윗부분 밀봉이 불완전해 1.9%가 진공이 풀렸다. 이에 개발한 자동진공포장기의 진공포장성공률은 약 94.5%수준이었다. 진공포장기로 진공시간에 따른 진공압력을 측정하였고, 배아미 2, 3, 5 kg를 진공포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 8, 11초이었다. 진공포장으로 처리한 배아미와 진공포장 처리하지 않은 배아미를 각각 3재월간 저장실험하여 백도, 함수율, 과산화물가, 산가를 저장기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도는 진공처리가 2 감소, 비처리가 4 감소하였고, 함수율은 진공처리가 0.8%감소, 비처리가 1.3%감소, 과산화물가는 진공처리가 최대 1.89 meq/k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가 3.45 meq/k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가 역시 진공처리가 최대 0.71 mg/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의 경우는 0.98 mg/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현미의 진공포장에서도 산가 및 과산화물가 변화가 배아미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진공포장 제품에 인위적으로 쌀벌레들을 넣은 경우 15일 지나면 산소부족으로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진공포장기로 진공포장한 경우 배아미 및 현미의 품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Toxicity Evaluation of Chemicals using Asian Toad Embryos, Bufo gargarizans (두꺼비 배아를 활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연구)

  • Ko, Sun-k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4
    • /
    • pp.705-711
    • /
    • 2016
  • In this experiment, embryos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oxicity of chemicals along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protocol. Asian toad, Bufo gargarizans, embryos incubated and investigation of Zn and Benomyl effect by probit analysis. As a result, depends on the concentrations of Zn and Benomyl, mortality and malformation rates were increases and larval body length were decreased. The teratogenic concentration($EC_{50}$) of Zn and Benomyl were 2.3, $1.0mg/{\ell}$, respectively and the embryo lethal concentration($LC_{50}$) Zn and Benomyl were 10.3, 6.9, respectively. The teratogenic index(TI) were 4.4 in Zn and 6.7 in Benomyl, thus showed teratogenicity in embryonic development of B. gargarizans. These results reveal that Zn and Benomyl in this experiment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embryos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Much of B. gargarizans embryos can be secured, and easy to incubate. In addition, mortality, malformation ratios, malformation patterns and growth rates are similar to the results from the other assay systems. Therefore, the B. gargarizans embryo teratogenesis assay system could be a useful tool to evaluate toxicity of pollutants i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