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수방식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터널시공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의 모델링과 이를 고려한 완전방수 터널의 라이닝 설계 예

  • 남기천;이형원;배정식;나경웅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1994년도 정기총회 및 제 11 회 학술발표회
    • /
    • pp.12-23
    • /
    • 1994
  • 터널의 방수형식은 배수형(Wet System)과 방수형(Dry System)으로 대별된다. 배수형은 터널의 아치부와 측벽부에만 방수막을 설치하고 이의 배면과 바닥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처리하는 방식이며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대부분의 도로 터널 및 지하철 등에 적용되어 왔다. 방수형은 터널의 주변장 전체를 방수시공하여 터널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완전히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수형 터널은 경제성과 시공성은 불리하나,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압밀침하나 생태계 파괴 방지, 터널의 장기적 환경보전 및 운영유지비 감소 등의 이유로 최근 상당수의 도심지 지하철 터널에 계획되어 시공중에 있다. (중략)

  • PDF

자화장치의 배열별 스케일 생성 억제 효과 (The Anti-scale Effect according to Array of Magnetic Device)

  • 남중우;한윤수;이종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17
    • /
    • 2013
  • 배수공의 막힘 현상은 노후화된 터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수 책 공법이 시급한 실정이며 장기적으로 보아 상승된 지하수위는 터널의 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유지 관리 방식은 Water Jet Cleaning과 배수공 내 초고압수를 분사하는 방식 등으로 배수공 내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법은 비용이 비싸고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반영구적으로 배수공 내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중 자화장치를 사용하였다. 자화장치를 상하 내부(CASE I), 상내부 하외부(CASE II), 좌우 내부 배열(CASE III)로 배치하여 무게 분석과 육안 분석을 통하여 각 배열별 스케일 생성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내부 하외부 배열에서 가장 스케일이 적게 생성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좌우 내부 배열, 상하 내부 배열 순으로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시추 방식에 의한 해저터널 시공중의 막장 수압경감 (New Horizontal Pre-Drainage System in Subsea Tunnelling)

  • 홍은수;신희순;박찬;김형목;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1호
    • /
    • pp.10-19
    • /
    • 2008
  • 대부분의 터널 침수사고는 파쇄대나 단층대 등과 같은 큰 투수성을 가진 구간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용수와 관련이었다. 침수사고의 원인과 대책을 알아보기 위해 시공중 사고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사례분석 결과 침수가 사전에 예측되고 터널 굴착 전에 사전 배수가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사고는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전 지반조사와 사전 배수 개념에 의한 새로운 수평 배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해저터널 시공중에 배수관에 의한 터널 막장의 수압 감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침투류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배수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배수 시스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제안된 사전 배수 시스템이 명백한 배수와 수압감소 효과를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해저 터널에 적용되는 기존의 배수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저수지 하류의 유량 모의를 위한 하천망 모형의 보정 및 검정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Streamflow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discharge on a Downstream River of a Reservoir)

  • 송정헌;강문성;송인홍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2-432
    • /
    • 2015
  • 농업용 저수지의 하류유역은 저수지로부터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지구와 산림지 등 관개를 실시하지 않는 비관개지구의 수문순환이 복합적으로 연계된다. 이러한 저수지 하류유역의 하천유량은 배후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역 유출량, 관개지구의 농업용수 회귀수량, 저수지에서 방류되는 환경용수 방류량과 제한수위 및 만수위 방류량, 그리고 지하수 유출량 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하류의 하천유량 구성 요소를 해석하는 하천망 모형을 구성하였고, 대상지구의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비관개지구의 유출량 모의는 수정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관개지구의 배수량은 논 포장 배수량과 용수로 배수량을 구분하여 모의하며, 논 포장 배수량은 논 물수지식을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저수지 방류량은 저수지 유입량과 저수지 운영방식을 고려하여 모의하도록 구성하였다. 하도 추적은 Muskingum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지로 이동저수지 유역을 선정하여 기상, 지형, 수문, 그리고 영농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모형의 평가를 위한 통계적 지표는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root mean square error-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 (RSR), 그리고 percent bias (PBIAS)를 이용하였다. 보정 및 검정 결과 구성된 모형의 모의 결과는 실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농촌유역 물순환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저수지 하류유역 유량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규모 관개지구의 가뭄시 물관리 -1994년 일본 관개 사상 최대 가뭄시의 춘천 용수지구 사례로- (Water Management in the Large-scale Irrigation Area against the Drought in Japan -As the Case Study of the Gagawa Irrigation Project in 1994-)

  • 궁본행일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94-104
    • /
    • 1996
  • 1994년에 일본 서부지역에서 100년 빈도 이상의 극심한 가뭄으로 각지에서 농작물의 가뭄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비해 온 관개시설과 물관리의 새로운 방식으로 과거와 같은 심한 피해를 피할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평년 이상 풍작이었다. 구체적인 물관리의 갈수 대책으로는 취수량을 제한하고, 물의 용도별 배분, 급수율을 철저히 감시하는 방법, 윤환관개, 비상용 양수기를 설치하는 등이 가뭄 극복의 효과적인 대책이었다. 이번 가뭄 경험으로

  • PDF

자화장치와 퀀텀스틱을 이용한 노후터널의 배수공내 침전물 방지 방법 (The Control Method of Scale in Drainage Pipe of Deteriorated Tunnel used Magnetic Field and Quantum Stick)

  • 남중우;이창기;이종휘;도종남;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1호
    • /
    • pp.59-64
    • /
    • 2011
  • 배수공의 막힘 현상은 노후화된 터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수 대책 공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는 Water Jet Cleaning과 배수공내 초고압수를 분사하는 방식 등으로 배수공내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법은 비용이 비싸고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영구적으로 배수공내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화장치와 퀀텀스틱 신기술을 적용하여 배수공내 스케일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_{3}$) 침전물을 SEM분석과 XRD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SEM분석과 XRD분석 결과, 자화장치를 적용하였을 경우 탄산칼슘($CaCO_{3}$)의 생성입자가 Calcite에서 Aragonite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퀀텀스틱의 경우에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스케일의 생성량이 확연히 줄어들었음을 볼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자화장치와 퀀텀스틱을 이용하여 배수공 내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한 우수배수시스템 배수층의 체적공극과 투수도 결정 (Determination of Volume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Drainage Layer in Rainwater Drainage System Using 3-D Numerical Method)

  • 염성일;박성원;안정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49-455
    • /
    • 2019
  • 최근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지표 유출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기존의 배수시스템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의 우수배수시스템은 표면유출수와 함께 이송되는 각종 쓰레기, 낙엽, 등의 부유물질에 의해 배수면적이 감소하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형태의 배수시스템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전산 유체역학 프로그램 중 하나인 ANSYS CFX를 이용하여 투수성 포장 하부에 위치한 배수층의 체적 공극과 투수도 결정을 위한 모의를 각각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35% 체적공극을 가진 배수층의 배수구 유속이 20%, 50%에 해당하는 배수층보다 큰 값을 보여 체적공극과 배수성능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투수도는 구성물질의 입경에 따라 결정되며, 5가지 조건을 모의하여 배수구 유속을 분석한 결과 입경 2 mm의 사질토가 사용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배수층의 적절한 체적 공극과 구성물질의 입경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조건을 갖는 배수층이 침수피해를 저감 및 방지의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산배수의 적극적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Sludge generated from Active Treatment System of Mine Drainage)

  • 김정은;지원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409-419
    • /
    • 2023
  • 산성광산배수 처리방법은 적극적 처리방식과 소극적 처리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부산물인 슬러지는 국내에서 약 5천 톤/년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적극적 처리방식 중 물리·화학적 처리방식으로 정화 후 발생되는 슬러지의 특성을 조사하여 재활용 가능여부를 검토하기 위함이다. 5개소(D, H, S, T, Y) 수질정화시설의 슬러지의 특성을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pH는 pH 5.86 ~ pH 7.89로 측정되었고, 수분함량은 51 % ~ 82 %로 분석되었으며, 입자크기는 대부분 25 ㎛보다 작은 미립자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CP-OES를 이용한 슬러지 내 무기물질 분석결과, Al, Fe, Mn의 농도범위는 각각 1,189 mg/kg ~ 129,344 mg/kg, 106,132 mg/kg ~ 338,011 mg/kg, 3,472 mg/kg ~ 11,743 mg/kg로 조사되어 고농도로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외 무기물질 중 중금속류에 대해서는 T-슬러지는 As와 Zn, D-슬러지는 Cd, H-슬러지는 Ni, S-슬러지는 Zn, Y-슬러지는 Cd의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였다. 또한 슬러지의 용출 특성을 알기위해 폐기물 용출시험(KSLT) 및 TCLP 시험을 진행하였다. 슬러지 재활용시 용출되어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확인을 위해 지하수 수질기준(생활용수) 20개 항목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용출시험결과 특정유해물질 16개 항목에서 모두 불검출로 확인되었으며, 일반항목 4개 항목에 대해서는 모두 생활용수 기준치 이내로 만족하였다. XRD, SEM-EDS의 분석결과, 슬러지는 주로 방해석, 석영의 패턴을 보였으며, 높은 Fe, O의구성비율로철수산화물이높은비중을차지하는것으로보였다. 이를 통해서 비매체접촉형 방식의 재활용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량 산정 시스템 개발

  • 주욱종;김진택;박기욱;이용직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2-90
    • /
    • 2006
  • The practical date of rice growing stages and the date for calculating the water demand in paddy field have differences. The causes are rice planting water requirement, nursery bed area and change of average temperature and so on. Some recent papers have shown the same results. So we have investigated the nursery period,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mid-summer drainage and developed a system for estimating water demand. And we calculated the water demand by using the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calculation by using the new system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alculation by using the established period. But because water losses in canals and crop coefficient are not determined appropriately, we can calculate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more accurately by dstablishing canal losses ratio, crop coefficient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