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색 조화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 캠퍼스 이미지 통합을 위한 환경 색채 계획 - Y 대학교 S 캠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mpus Color Plan for the University Identity - Focused on the S Campus of Y University -)

  • 박영순;이현정;김은정;조은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55-266
    • /
    • 2003
  •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을 통한 대학 캠퍼스의 정체성과 이미지 확립에 바람직한 도움이 되고자 캠퍼스 내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색채 사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오랜 역사와 고유의 학풍을 지닌 Y-대학교 S-캠퍼스를 대상으로 향후 건축물조성에 사용할 수 있는 색채 팔레트를 제시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다가올 미래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으며, 대학의 특성화 및 차별화 된 환경 디자인의 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의 진행은 기초조사, 본 조사, 분석 및 색채 팔레트 제안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초조사 단계에서는 문헌을 통해 대학교의 역사와 교육 이념 등의 대학교 이미지를 형용사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다양한 건축 외장재를 수집하여 측색하고, 현재 캠퍼스 내의 건축물 색채 및 사계절에 해당하는 자연 색채를 계절별로 실측 조사하였다. 이 때에는 측색기와 NCS 표준 색채, 디지털 카메라 등이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위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Y 캠퍼스의 지향 이미지 색채를 설정하고, 현재 건축물 색채와 자연 색채와의 조화를 고려한 배색 팔레트를 최종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최종 대표 색으로 주조 색은 중 명도/중 채도의 화강암을 주재료로 하는 YR 계열 및 무채색에 해당하는 색을 선정하였고, 보조 색은 고 채도와 어둡고 무거운 색을 제외한 P, Lgr, Dl, Dp에 해당하는 주조 색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두운 중 명도, 중 채도에 해당하는 색들을 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조 색은 한국인 단색감성척도를 사용하여 추출한 Y 대학교가 지향하는 이미지 색채와 캠퍼스의 자연 색을 함께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은 자연 색 체계(NCS System)에 기초하고 색채 조화 원리에 의거한 Y 캠퍼스의 지향 이미지 색채를 설정하고, 현재 건축물 색채 및 자연 색채와의 조화를 고려한 배색 팔레트이다. 또한 건축물, 자연 색, Y대학교 지향 이미지를 바탕으로 향후 종합적인 색채 계획에 필요한 색채 팔레트 메뉴얼 제안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최종적으로 Y 대학교 캠퍼스 이미지 통합을 위한 연구의 보조적 자료로서의 색채 팔레트 제안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ColorDictionary를이용한 가상도시색채Web3D시뮬레이션 (Web3D Simulation for Virtual City Coloring Using Color Dictionary)

  • 한선미;원은숙;이현호;조은애;편혜리사;진성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4-90
    • /
    • 2005
  • 본 연구는 임의의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의 환경 색채를 분석한 후 NCS색체계와 히스토그래밍을 이용하여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을 추출한 후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배색코드들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색채조화론에 근거한 Color Dictionary를 제작하였으며 특정 지역을 3D모델링 한 최적의 배색 코드를 추출하여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색채 시뮬레이션을 제시하고 Web3D 표준기술을 이용하여 상호작용과 다양한 뷰포인트에서 시연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국가 홍보에 있어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과. 둘째, 도시환경 색채계획의 기준틀 제시. 셋째, 색채계획의 단순화. 넷째, 도시문화를 형성. 다섯째, 색채계획에 관련된 학문에 응용 가능. 여섯째, 국가 문화산업, 콘덴츠 등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피스 실내 색채계획을 위한 이미지별 예측모델 작성 (Developing the Prediction Model for Color Design by the Image Types in the Office Interior)

  • 진은미;이진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2호
    • /
    • pp.97-10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color design by the image types in the office interior. This prediction model of the color design is for the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by using suitable, various colors fitted with business functions.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the evaluation experiment with the variables such as the color on ceiling, wall, floor and the harmonies of color schemes. We set the prediction index through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ediction model was made by these results. The design methods by the prediction model are as follows. 1) The $\ulcorner$variable$\lrcorner$ imag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value and chroma and it was marked high in low value and high chroma and the harmonies of contrast and different color. 2) The $\ulcorner$comfortable$\lrcorner$ image was related to the value and chroma and it was marked high in high value and low chroma and harmonies of homogeneity and similar. 3) The $\ulcorner$warm$\lrcorner$ imag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hue and the harmony of color schemes, and it was marked high in the warm colors and harmonies of homogeneity.

패션 디자인에서 색채 비례에 의한 배색 연구 (A Study on Color Coordination of Fashion Design by Color Proportion)

  • 문영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armonious color schemes based on a length proportion of upper and lower parts of a body by; understanding of the harmonious length proportion of a square measure of a color in color coordination of fashion design, and presenting a mutual relation of the length proportion of a square measure of a color according to the various way of color schemes and proportions. For this study, monochromatic scheme, analogous scheme and complementary scheme were adapted as the color schemes, and each color scheme was coordinated by analogous tone and contrast tone. Also, 1:1 symmetry proportion, 1:2 harmonic proportion, 1:1.618 golden section, 1:3 and 1:5 contrast proportion were used as the square measure of a color. For the survey, 12 sets of color sample were organized. The survey was conducted 182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fashion design, and 143 respond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5 contrast proportion is most inharmonious in general, and 1:1 symmetry proportion is followed. It is thought that too much or same length of the square measure of colors has less attractive effect of coloring. On the other hand, 1:1.618 golden section and 1:2 harmonic proportion are accepted to be harmonious in all color schemes. The length proportion of the square measure of a color had more influence on harmony of color coordination in fashion design rather than color schemes. Though, on the assumption that people have a similar perception about the color image of fashion design,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or diminution of color in cloth if the coloring effect of the length proportion of the square measure of a color is used in fashion design and wearing of clothes.

  • PDF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cdot}$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 (제4보) - 콘트라스트 배색을 중심으로 - (A Study in the Perception of the Harmony of 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n Dress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Part IV) - On the Contrast Coloration -)

  • 강경자;정수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25-8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armony of contrast color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for women's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The sense of harmonious coloration for 64 colorations was evaluated based on a yellow and a green Korean jackets, to be contrast colorization, by combining four different tones, vivid, light, dull, and dark tones in a purple and a blue skirt with a yellow jacket, a red and a purple skirt with a green jacket. We tried to make sure of the cultural difference by the distinction in the perception of women's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the contrast coloration of a yellow jacket with a purple and a blue skirt, Korean women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coloration that skirt is more dark than jacket, dull and dark tone is harmonious. On the other hand, American women students perceived harmonious skirt tone is various depending on the jacket tones. In the coloration of a green jacket and a red skirt, the women students of two countries are in common that the coloration of a vivid skirt with a vivid, a dull, and a dark jacket are harmonious. However, Korean women students indicated that a light jacket with a dark tone skirt as a harmonious coloration. American women students evaluated that various tones of coloration as a harmonious coloration. In the coloration of a green jacket and a purple skirt, Korean women students perceived that the coloration is incompatible coloration. American women students perceived the coloration is congruous in the coloration of a dull and a dark tone jacket and skirt. In the response of the perception for 64 contrast coloration, Korean students evaluated 14 sets and American students judged 28 sets as harmonized colors. Therefore, it drew the conclusion that Korean students had the sense of harmonious coloration of more narrow range than American studen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in the standard far contrast coloration.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색의 순서 변경을 이용한 색의 조화 개선 방법 (Enhancing harmony of color theme by changing the order of colors)

  • 유민준;이인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15
    • /
    • 2012
  • 색의 조화로움(harmony)은 조화로운 색들의 선택 뿐 아니라 각 색들의 배치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의 배치 순서에 따라서 사람이 느끼는 조화로움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인다. 특히 색의 배색 및 선택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 테마(Color Theme)의 구성 색들에 대한 예제를 보인다. 이를 위해서, 먼저 Ou [1][2]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한 색상 배치 방법을 소개하고, 색 간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을 한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색이 구성되어 있을 때는, 각 색들 간의 조화로움을 계산하여 순서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전체 색들 간의 차이가 적을 때 더욱 조화롭게 느껴진다는 것을 보인다.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색 테마의 전체적인 조화로움을 더욱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그림으로부터 감성인식 및 색채심리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nsibility Recognition and Color Psychology from The Children's Pictures)

  • 안은미;신성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1-48
    • /
    • 2012
  • 작금의 현대 사회는 바쁜 일상 속 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한 자녀들에 대한 심리적 안정과 환경 적응력을 위한 색채심리치료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아동의 그림 등으로 아동의 감성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감성의 실증적 연구는 크게 심리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감성은 감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한편 공학적 관점에서 이해되는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 공간에서의 단색, 배색의 정보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를 식별하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심리를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색채 이미지공간을 기반으로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 영상을 K-Means알고리즘을 이용해 클러스터링 하여 방대한 컬러 값들을 그룹화 시킨 후에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을 시켜 감성을 추출해 내고, 아동의 그림에서의 컬러 분포도를 이용하여 아동색채심리를 알아보았다.

셔츠와 넥타이의 톤 온 톤 배색 면적비 변화에 따른 조화감 비교 (A Comparative of the Harmany of Tone on Tone Color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in Shirt and Necktie)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8-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harmony of tone on tone color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in shirt and necktie.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48 stimuli of the shirt and necktie with the coloration of the shirt/necktie, the necktie/shirt was separately compounded to be 4 tones such as vivid, light, dull, dark. The subjects were 288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alysis methods were ANOVA, LSD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ea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As to the red, combination of v-lt made a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As to the blue, combination of v-lt, v-dk, lt-d made a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As to the purple, v-lt, v-d was evaluated as harmonized coloration regardless of area-ratio b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s to the green, v-lt, lt-d was evaluated as harmonized coloration regardless of area-ratio b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컨트라스트 배색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색과 톤의 영향 - 남성복 셔츠와 타이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lor and Tone on Harmony of Contrast Coloration -Focus on Shirt and Tie of Menswear-)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3-37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ed color and tone on harmony perception by applying contrast coloration of shirt and necktie. This experiment designed by shirt color(red, blue, purple, green), tie color(green or blue tie with red shirt, yellow or red tie with blue shirt, yellow or green tie with purple shirt, purple or red tie with green shirt), shirt tone(vivid, light, dull, dark), tie tone(vivid, light, dull, dark), and perceiver gender(a male, a female).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we harmonized those colors of shirts and neckties contrast, then made shirt and necktie tone differentl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640 male and 64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 program. Shirt color, tie color, shirt tone, tie tone, perceiver gender influenced on harmony perception independently. Shirt color and tie color, shirt color and shirt tone, shirt color and perceiver gender, tie color and tie tone, tie color and perceiver gender, shirt tone and tie tone influenced on the harmony perception by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