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상세포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9초

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항염활성과 Nitric Oxide 생성 저해물질의 생산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Wild Yeasts,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 and Rhodotorula graminis YJ36-1,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in RAW 264.7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Cytotoxic Effects)

  • 배상민;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6-3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산과 섬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항염 효과가 우수했던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무세포 추출물들을 제조하여 대식세포 계열 RAW 264.7 세포에 대한 이들의 NO 생성 저해활성과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NO 생성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 M. guilliermondii YJ34-2와 R. graminis YJ36-1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 시 각각 51.6%와 81.4%를 보여 가장 높았고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도 1,000 mg/mL 처리시 각각 88.4% (${\pm}3.1$)와 77.1% (${\pm}0.3$)로 가장 높았다. 두 효모들의 무세포 추출물 처리에 따른 prostaglandin $E_2$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각각의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했을 때,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생성량이 59.2 (${\pm}43.1$), 73.2 (${\pm}38.1$)%로 감소하였고 prostaglandin $E_2$의 생성량도 52.8 (${\pm}1.9$), 71.2 (${\pm}3.7$)%로 감소하여 이 두 효모들의 항균활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두 효모들의 NO 생성 저해물질 최적 생산조건을 조사한 결과 M. guilliermondii YJ34-2를 yeast extract-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 추출물이 가장 높은 51.6 (${\pm}0.3$)%의 NO 생성 저해율을 보였고 R. graminis YJ36-1를 YPD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81.4 (${\pm}1.3$)%의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V. 자치어 소화관의 구조.기능적 분화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eleostei: Scorpaenidae) - IV. Structural and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Tract in the Larva and Juvenile Stage)

  • 이정식;진평;신윤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7-215
    • /
    • 1998
  • 부화직후 체내자어는 난황주머니를 가지며, 소화관은 거의 직선상이다. 출산직후 전장 5.0mm일때 입과 항문은 열린 상태이며, 전장 5.2mm 크기의 자어 소화관은 초기 분화상태인 인두, 식도, 위, 유문수, 장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전장 5.3mm 자어의 식도에서는 PAS 양성의 점액세포가 나타났다. 전장 5.7mm 부터 장에서는 배상세포가 관찰되었다. 전장 5.9mm 자어의 장에서는 PAS 양성 흡수세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난황은 전장 6.0mm 시기에 거의 흡수되었다. 전장 8.5mm 자어의 위점막층에서는 위선의 형성은 뚜렷하지만, 표면상피에서 PAS 양성 과립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장 9.0mm 이상 자어 식도의 조직학적 구조는 성체와 유사하였다. 전장 13.0~15.0mm의 치어기에 위, 유문수, 장의 조직학적 구조는 성체와 유사하지만 기능적 소화판은 천장 18.0~20.0mm의 치어기에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체내자어의 소화관 발달에 따른 다당류의 흡수 (Uptake of Polysacchride with Development of Alimentary Tract in Embryo of Ditrema temmincki (Teleostei: Imbiotocidae))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8-449
    • /
    • 1996
  •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체내자어의 소화관 발달을 영양분 흡수와 연관하여 조직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체내자어의 입은 부화직후 열리며, 소화관 말단부는 전장 4.0mm에 열린다. 소화관의 점막주름은 전장 5.0m 시기에 후방부에서 부터 형성된다. 전장 30.0mm에 체내자어의 소화관은 인두-식도-전장-중장-후장-직장-항문이 완전히 구별된다. 전장 50.0mm 이후에 소화관의 전체 내부조직상은 성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체내자어가 전장 7.0mm일때 인두에서 처음으로 PAS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점액세포가 출현한다. PAS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배상세포는 장에서는 전장 25.0mm 이후, 직장에서는 전장 30.0 mm 이후, 항문에서는 전장 40.0mm 이후, 그리고 식도에서는 전장 50.0mm 이후에 나타난다. 체내자어의 난황물질은 전장 6.0mm 시기에 완전히 흡수된다. PAS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다당류 흡수세포는 전장 7.0mm 일때 장후방부에서 처음 나타나며, 직장에서는 전장 13.0mm, 장전방부에서는 전장 15.0mm, 그리고 항문전방부에서는 전장 40.0mm부터 관찰할 수 있다. 임신기 동안 망상어 체내자어의 모체내 영양분 섭취 형태는 metrotrophy (모체의존형) 가운데 placental analogues type에 속한다.

  • PDF

프로폴리스 섭식이 X-선에 의해 손상된 랫드의 여러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polis Feeding on Rat Tissues Damaged by X-ray Irradiation)

  • 이지훈;지태정;서을원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51-57
    • /
    • 2007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가 방사선에 조사된 랫드의 여러 조직에 미치는 방사선 방어 효과를 조사하였다. 혈장성분 중 백혈구의 수는 방사선 조사 20일 경과 후에 방사선만 조사한 실험군보다 프로폴리스 섭식 실험군에서 높은 증가를 나타냈으며, 혈장 성분 중 GOT의 활성도는 GPT에 비해 낮아지고 있다. 간 조직 내 미량원소 중 Mg, Fe, Ca, Mn, Cu, Mo, Ni, As의 함량은 대조 군에 비해서는 증가하였으나 방사선만 조사한 실험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즉 프로폴리스는 백혈구 수의 회복에 효과적이며 방사선으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을 보호해 줌으로서 미량원소의 방출을 억제하고 GOT의 활성을 낮춰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학적으로 방사선조사 전에 프로폴리스를 섭식하면 정소에서는 훼손된 미분화 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소장에서도 손상된 배상세포와 점막근판 조직의 형태가 부분적으로 정상적인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프로폴리스의 섭식은 방사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직을 보호하거나 훼손된 세포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두부횡문근육종의 1례 (A Case of Laryngeal Rhabdomyosarcoma)

  • 이순철;김석도;김시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3-9
    • /
    • 1981
  • 횡문근육종은 간배세포에서 발생한 비교적 드물고 악성도가 극히 높은 종양이다. 환자는 50세 남성으로 약 2개월간의 사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결과 우측 성대의 전 1/3부위에 0.5 cm$\times$0.3cm크기의 종물을 볼 수 있었다. 전신마취하에서 종물을 절제하였으며 생검결과 배상형의 횡문근육종임 이 확진됐다. 저자들이 알기로는 후두부횡문근육종의 증례는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24례의 보고가 있었다. 후두부에서 발생한 횡문근육종의 1례를 문헌적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총담관 결찰이 집토끼 십이지장 점막내 배상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uodenal Goblet Cells of Rabbit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 김인호;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20권1호
    • /
    • pp.51-64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goblet cells in the rabbit duodenal mucosa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Healthy adult rabbits weighting about 2kg body weight were divided to normal and bile duct ligated groups.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st, 3rd, 5th, 7th and 14th day after the operation. Mucosal specimens from the upper part of duodenum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followed by 1% osmium tetroxid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cut with LKB-V ultratom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 lead citrat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 II electron microscop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the early stages(1st-5th day) of the experiments, the goblet cells showed apocrine and merocrine secretion. But those of the late stage(7th and 14th day) groups showed exocytotic merocrine secretion. 2. In the late stage of the experiments, there found than increase of newly formed goblet cells that contain electron lucent cytoplasms. 3. In the goblet cells of normal rabbit, mucous granules with higher or lower electron densities are found together in the cytoplasm, and electron lucent mucous granules occasionally fused together. But in the early stage of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goblet cells contained granules of higher electron densities. 4.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common bile duct ligation probably initiates the hypersecretion of mucous granules of goblet cells in the early stage, and may facilitate the differentiation of goblet cells in the later stage.

  • PDF

상품 사료에 첨가한 감귤발효액이 치어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fermented Orange in Commercial Diet on Growth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송영보;문상욱;김세재;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10
    • /
    • 2002
  • 제주산 온주 밀감을 EM (Effective Microorganism)에 의해 발효시킨 감귤발효액을 넙치 사료에 첨가하여 공급하였을 때 넙치의 성장 및 소화기관 활성 그리고 혈액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귤발효액이 넙치 사료의 사료첨가제로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감귤발효액을 사료량의 10.00%, 0.20%, 0.10% 그리고0.02% 첨가한 처리구와, 감귤발효액을 첨가하지 않고 사료만을 공급한 대조구로 하였다 성장실험에 있어서 전장은 감귤발효액 0.20%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체중 감귤발효액 0.20%와 0.10%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양호한 성장을 하였다(P<0.05). 총 증중량은 감귤발효액 0.20%와 0.10%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26.24∼29.35% 증중 효과가 있었다. 사료계수 그리고 일간먹이섭취율에서 감귤발효액 0.20% 와 0.10%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전장(anterior intestine)과 중장(mid intestine)의 점막 주름에 존재하는 배상세포(goblet cell)의 수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많았고, 전장 보다 중장으로 갈수록 많았다 (P<0.05). 혈장내 total cholesterol의 값은 감귤발효액 0.02%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감귤발효액을 넙치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넙치의 사료효율 증가와 장 활성으로 넙치의 성장과 생리활성에 보조하는 사료첨가제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행소탕(杏蘇湯) 및 가미팔미환(加味八味丸)이 호흡기(呼吸器) 배상세포(杯狀細胞)로부터의 뮤신 분비(分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engSoTang(HST), Gami-PalMiHwan(GPMH) on mucin secretion from airway goblet cells)

  • 임도희;이정은;한영주;황지호;조철준;배한호;채은영;박양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1-228
    • /
    • 2005
  •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wo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s named haengsotang(HST) and gami-palmihwan(GPMH) significantly effect mucin release from cultured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HTSE) cells, Confluent HTSE cells were metabolically radiolabeled with $^3H-glucosamine$ for 24 hrs and chased for 30 min in the presence of HST or GPMH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agent on $^3H-mucin$ release. Possible cytotoxicities of each agent were assessed by measuring lactate dehydrogenase(LDH) release. Also, the effects of HST and GPMH on contractility of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consistant with the following assertions: (1) HST significantly inhibited mucin release from cultured HTSE cells, without cytotoxicity; (2) GPMH did not effect mucin release without cytotoxicity; (3) HST and GPMH did not effect contractility of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HST and its components, for its potential in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and novel agents that effectively regulate (inhibit) mucin secretion from airway goblet cells.

  • PDF

미만형 악성 중퍼세포종의 늑막폐절제술 -1례 보고- (Extrapleural Pneumonectomy for Diffuse Malignant Mesothelioma -A Case Report-)

  • 김병구;배상일;오태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64-668
    • /
    • 1996
  • 미만형 악성 중피세포종은 4∼18개월의 평균생존율을 지닌 치명적인 질환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종양을 최대한 절제한 후 다양한 접근을 통한 치료방법으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최근 저자들은 미만형 악성 중피세포종을 가진 49세 남자환자를 치험하였기 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 는 수개월 동안 혈성객담 및 우측흥통을 호소하였고, 단순흉부사진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우측 전흥 강이 진한 음영으로 가리워 져 있었으며 많은 양의 혈성삼출, 미만성 늑막비후와 폐허탈, 파괴 등의 소견 을 보였다. 저자들은 늑막케절제술을 시행하였고, cisplatin과 mitomycin으로 보조적인 항암화학요법을 하였다. 그후 환자는 수 개월간 외래 추적관찰을 받았으며 술후 4개월 현재까지 국소재발의 증거는 없었다.

  • PDF

벼 성숙종자로부터 배상체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DNA methylation 억제제인 5-azacytidine의 영향 (Effects of 5-azacytidine, a DNA methylation inhibitor, on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and shoot regeneration from rice mature seeds)

  • 이연희;이정숙;김수윤;손성한;김둘이;윤인선;권순종;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33-140
    • /
    • 2008
  • DNA와 histone 단백질의 변형은 식물 발달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 조직 배양 및 식물 발달 단계에서 methylatio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벼 종자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단계에서 demethylation 물질인 5-azacytidine을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식물체로의 재분화 능력이 있는 벼 배상체 캘러스는 5-azaC가 첨가된 H6A 배지에서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갈색을 띠는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정상적인 캘러스를 5-azaC가 첨가된 MSRA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도 대조구와는 달리 식물체 재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5-azaC가 정상적인 배상체 캘러스 및 shoot 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DNA methylation이 식물 조직배양에서의 정상적인 세포 dedifferentiation과 differentiation에 필수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벼 캘러스 형성 및 재분화 과정 동안의 methylation 영향을 알아보고자 각 단계별로 5-azaC를 처리 후 $GeneFishig^{TM}$ DEG와 DNA chip을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Epigenetic regulation, 전자전달, 핵산대사,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일부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현 차이가 있는 일부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확인하였고 RT-PCR 및 northern 분석으로 각 단계에서의 발현 차이를 할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