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배양

검색결과 1,899건 처리시간 0.026초

체외배양조건이 체세포 핵이식란의 배발달 및 배반포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이호준;연승은;윤종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43-43
    • /
    • 2002
  •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산자가 양, 소, 염소, 쥐 및 최근에 돼지에서 보고되었지만, 생산된 배반포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결과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세포 핵이식란의 활용과 산업화 촉진을 위해서 체세포 핵이식 유래 배반포의 동결성 향상에 배양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60일령의 태아세포를 10% FBS 가 첨가된 DMEM 에서 39℃, 5% CO₂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monolayer confluent 형성을 유도한 후 0.25%trypsin 처리하였다. (중략)

  • PDF

생물반응기에서의 인삼모상근의 대량배양

  • 박돈희;정귀택;임원봉;이기영;황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254-255
    • /
    • 2000
  • 형질전환된 인삼 모상근의 여러 생물반응기에서의 대량배양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2 MS 배지를 기본배지(호르몬 무첨가, 3% sucrose)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플라스크 배양에 비하여 $2{\sim}3.5$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그 성장이 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배양 후반기에 모상근의 뭉치 형성으로 물질전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성장에 장해를 미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빛 조사시간에 따른 형질전환된 담배세포 성장과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ght on the Production of hGM-CSF in Transgenic Plant Cell Culture)

  • 이재화;이재화;김영숙;홍신영;신윤지;서조은;권태호;양문식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68-572
    • /
    • 2001
  • 빛은 식물에서 성장과 발달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화학적인 역할은 지닌다. 본 연구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한 담배의 callus를 현탁배양하여 hGM-CSF를 생산할 때에 빛을 조사하는 시간에 따른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24시간 명배양, 18시간 명배양과 암배양을 실시하여 세포성장과 분비된 총단백질, hGM-CSF 생산량을 비교 관찰하였다. 세포의 성장은 24시간 명배양일 때 건조중량이 14.4 g/L로 가장 높았다. 분비된 총단백질의 양은 세가지 경우에서 큰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지만, 단위 세포당 분비된 총단백질의 양은 암배양이 다른 것에 비해 1.5배 가량 높았다. hGM-CSF의 생산은 18시간 명배양 조건이 가장 좋았으며 최대생산량이 495.5ug/L에 이르렀다. 또한 분비된 총단백질에서 hGM-CSF가 차지하는 비율은 18시간 명배양이 24시간 명배양에 비해 최대 1.8배 높았다.

  • PDF

카네이션의 미숙화뢰 배양을 통한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Immature Flower Bud Cultures of Carnation)

  • 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69-374
    • /
    • 1997
  • 카네이션의 종묘 급속증식 기술 및 형질전환 연구의 기초 연구로서 체세포배발생 조직배양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Desio' 카네이션의 20 mm 이하의 미숙화뢰를 2,4-D가 1 ㎎/L 함유된 MS 기본배지에서 배양하면 배발생 캘러스가 5-l0%의 효율로 유도되었으나, 줄기 정단분열조직, 잎, 절간조직과 20 ㎜ 이상의 화뢰에서는 비배발생 캘러스만이 형성되었다. 동일한 배양방법을 16품종의 절화용 카네이션에 적용한 결과, 7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일부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는 120주 이상 배발생능 상실 없이 계대배양을 통해 증식할 수 있었으며, 액체 진탕 배양을 통해 배발생 세포괴 상태로 급속 증식하는 배양체가 획득되었다. 배발생 캘러스 또는 액체배양 배발생 세포괴를 호르몬이 포함되지 않은 MS 한천배지에 이식하며 2-3주내에 체세포배 발생을 통하여 식물체가 재분화되었다. 토양이식된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여 20주 후 개화하였다.

  • PDF

감귤 embryogenic callus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derived from embryogenic callus of Citrus)

  • 안현주;이동훈;이지현;최영훈;강병철;박효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81-86
    • /
    • 2008
  • 감귤에 있어서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체세포잡종체 생산을 위해서는 우선 캘러스 원형질체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주밀감의 캘러스 원형질체로 부터 배형성과정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흥진조생의 어린 미성숙 배주의 주심조직으로부터 유기된 배형성 캘러스를 사용하여 건강한 원형질체를 분리하고 0.6 M $BH_3$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배양방법에 따른 plating efficiency를 비교해 본 결과 liquid over solid 배양시 원형질체로부터의 미소괴 형성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 배형성 배지 선발에서는 1500 mg/L malt extract 첨가 배지에서 배형성율이 높았다. 자엽형 배로부터의 신초유기를 위한 배지비교에서는 1.0 mg/L GAB 첨가배지에서 발근과 함께 정상적으로 재분화된 신초를 얻을 수 있었다. 원형질체 배양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순화과정을 거쳐 온실 육묘중에 있으며, 생장상이나 형태적인 특성에 있어서 모본 식물체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바탕으로 이종속간 감귤의 원형질체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교배육종이 불가능한 품종들로부터 우수한 형질을 지닌 감귤 품종 및 대목용 품종 생산에 활용하고자 한다.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색도 제거 (Decolorization of Landfill Leachate by White-Rot Fungi)

  • 김현영;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8
    • /
    • 1997
  • 여러가지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생분해능을 지닌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탈색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분리한 Coriolus versicolor KR-11W와 Irpex lacteus KR-39W가 이제까지 주로 연구되어 온 Phanerochaete chrysosporium보다 높은 탈색능을 나타내었는데 I. lacteus KR-39W는 산소공급시 10%의 침출수가 함유된 YMG 배지의 진탕배양에서 85%의 색도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최소배지에서도 80%의 탈색율을 보였다. P. chrysosporium에 의한 리그닌 분해능 및 분해효소 생성 보고들과 달리 진탕배양이 정치배양보다 탈색능이 높았으며 산소공급은 색도제거에 증가효과가 있었다. 균체 접종량(10-30%)과 온도(25,37.deg. C)는 탈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는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리그닌 분해효소군의 여러 가지 inducer와 cofactor를 C. versicolor KR-11W 배양에 첨가한 결과 많은 경우 균접종 대조군보다 2배 이상의 탈색율과 lignin peroxidase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며 FeS $O_{5}$ 첨가시에는 최대 2.9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탈색에 관여하는 효소군은 접종물에 이미 어느 정도 존재할 수 있으며 배지 및 배양조건에 따라 그 생성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런 조건들을 잘 맞출 경우 보다 높은 탈색능이 기대된다.

  • PDF

Cysteamine의 첨가배양이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steamine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and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이경본;한만희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1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배양액과 배발달 배양액에 저분자량의 황화합물인 cysteamine을 각자 0, 25, 50 및 100$\mu$M 첨가배양함으로서 cysteamine이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H가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ysteamine을 각각 0, 25, 50 및 100$\mu$M 첨가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률, 다정자침입률 및 평균침입정자수에서 유의적(P〉0.05)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은 각각 17.9$\pm$6.1, 17.4$\pm$6.3, 24.2$\pm$l.9 및 16.9$\pm$2.0%로서 50$\mu$M의 cysteamin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각각 30.7$\pm$2.4, 34.9$\pm$2.8, 39.6$\pm$2.3 및 36.8$\pm$3.6개로서 50$\mu$M의 cysteamin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3. 작성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총세포수에 대한 내부세포괴세포(ICM/total cells)가 20~40%범주에 드는 비율은 각각 20.5, 41.6, 19.5 및 31.8로서 25$\mu$M 처리구가 가장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4. 체외에서 생산된 초기 수정란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ysteamine을 각각 0, 25, 50 및 100$\mu$M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기 도달률은 각각 16.0$\pm$0.2, 13.6$\pm$1.7, 25.0$\pm$0.8 및 15.7$\pm$4.5%로서 50$\mu$M의 cysteamin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27.0$\pm$3.7, 36.1$\pm$4.8, 34.0$\pm$3.8 및 25.2$\pm$4.4개로서 25$\mu$M의 cysteamin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5. 작성된 배반포기 수정란의 총세포수에 대한 내부세포괴세포(ICM/total cells)가 20~40% 범주에 드는 비율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성숙을 유기할 때 효과적인 cysteamine의 농도는 50$\mu$M이 적당하며, 초기배발달을 유기할 때의 효과적인 cysteamine의 농도는 25~50$\mu$M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 접합자배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from Zygotic Embryo-derived Callus of Native Prunus yedoensis in Mt. Halla)

  • 고정군;박영철;양두영;김응식;오문유;고석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45-349
    • /
    • 1997
  • 한라산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의 미성숙 접합자배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를 거쳐 체세포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들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시킬 수 있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1.0 mg/L 2,4-D와 0.1 mg/L BAP가 혼합 처리된 MS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되었으며, 그 중에서 90%가 배발생 캘러스였다. 또한 배발생 캘러스는 만개 후 45일된 종자의 접합자배에서 전체 60%가 발생되어 가장 양호하였다. 유도된 배발생 캘러스를 1.0 mg/L 2,4-D와 0.1 mg/L BAP가 혼합처리된 MS 배지에서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구형 또는 심장형으로 발달한 체세포배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 체세포배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서 배양하여 정상적인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체세포배들은 배지의 종류에 따라 발아율은 0~49%로 맡은 차이를 보였으나,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1/2 MS 배지에서 49%의 발아율을 보여 가장 양호하게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 PDF

기내 통기처리에 의한 백합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Lily by the Treatment of Aeration in vitro)

  • 구대회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1-244
    • /
    • 1999
  • 백합 'Dame Blanche', 94-36' 조직배양시 배양용기 뚜껑에 Milliwrap및 시판용 Uniwrap을 부착한 통기처리가 생육 및 순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초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Milliwrap처리구가 가장 컸고 'Dame Blanche'가 1.6배, ‘94-36'은 1.2배 였으며 생체중은 'Dame Blanche'의 경우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고 ‘94-36'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30%이상 높았다. 엽폭도 Milliwrap처리구에서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Dame Blanche'의 경우 1.0㎝였고 대조구 0.4 ㎝에 비하여 2.5배 였다. 소인경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형성수는 적었지만 ’94-36'의 경우 소인경 한 개의 무게는 처리구에서 더 무거웠다. 배양용기내 공기조성 중 ethylene은 Milliwrap처리구에서 0.03 ppm으로 가장 낮았고, 대조구가 0.32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탄소 함량도 대조구에서 0.11%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일반 공기 0.03%의 3배 정도였다. 순화율도 Milliwrap처리구에서 85.1%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와 Uniwrap처리구에서는 비슷하였다.

  • PDF

고추 (Capsicum annuum L.)의 약배양 시 온도 전처리가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Pretreatment on the Production of Microspore Embryos in Anther Culture of Capsicum annuum L.)

  • 김문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76
    • /
    • 1999
  • 약배양에 대한 반응이 비교적ㆍ높은 것으로 알려진 고추의 두 품종 계룡산재래와 밀양재래의 약을 2,4-D와 kinetin이 각각 0.1 mg/L씩 첨가된 배지에 치상한 후 4$^{\circ}C$와 32$^{\circ}C$의 온도 전처리가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포자배의 발생은 사용한 두 품종 중 밀양재래에서 높았다. 고온처리는 저온처리에 비해 소포자 배의 발생이 많았고 캘러스의 발생은 거의 없었으며 발생한 배는 동일 배지에서 또는 호르몬이 없는 배지에 옮겼을 때 대부분이 정상적인 유식물로 발달하였다. 저온처리에서는 캘러스의 발생이 많았고 발생한 배는 대부분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였다. 소포자배 발생에 효과적인 고온처리 기간은 밀양재래에서는 3일, 계룡산재래에서는 6일이었다. 고추의 약배양 시 고온처리는 소포자배의 유기뿐만 아니라 유기된 배의 생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