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란시기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HRHa 주사에 의한 양식산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배란의 촉진 및 동시화

  • 손송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30-31
    • /
    • 1998
  • 1. LHRHa를 정상배란 시기의 30일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것과 20일 전부터 2회 주사한 모든 실험구에서 난소의 성숙촉진과 배란의 동시화 효과가 나타났다. 2. 은어 배란의 도시화가 유도하고 발안란의 생조율을 높이기 위한 LHRHa 주사방법은 어체중 100g 당 10 $\mu$ g을 정상배란 30일전부터 3회 혹은 20일전부터 2회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LHRHa 주사에 의해 배란된 알의 발안기까지의 생존율은 LHRHa 주사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혈장 estradiol과 testosterone의 농도는 LHR 주사후 배란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배란동기화처리시 인공수정적기 구명에 관한 연구

  • 박정준;박수봉;이명식;임석기;전기준;정영훈;나기준;고대환;이규승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92-92
    • /
    • 2003
  • 한우사육규모가 다두사육화 되어가고 전업화되면서 발정관찰이 어려워지고 인공수정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공수정 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발정관찰이 필요없는 정시인공수정, 배란동기화 처리기술 등이 육우 및 유우에서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한우에 접목시키기 위하여 배란동기화 처리시 적정한 인공수정시기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란동기화 처리는 0일째에 GnRH를 1차 투여하고, 7일째에 PGF$_2$alfa를 투여하였으며, 9일째에 GnRH를 2차 투여하였고 이시점에서 20시간후부터 30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초음파(Sonovet-600. Medison co., Korea)를 이용하여 난소내 난포발달상태를 촬영하였고 이러한 영상을 통해 난포의 배란시점을 검토한 결과, 공시두수 25두중 24~26시간에 4%(1/25), 26~28시간에 8%(2/25), 28~30시간에 48%(12/25), 30시간 이후에 8%(2/25)가 배란되었고, 계통별 1회 수정 수태율은 고급육계통이 48.1%(38/79), 다유계통이 43.9%(51/91)로 나타났으며, 계절별 1회 수정 수태율은 봄, 여름, 가을 별로 각각 45.8%, 33% 그리고 47.3%로 가을철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 PDF

In vitro Effects of TBT, TPhT and Aroclor 1254 on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O1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in vitro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에 미치는 TBT, TPhT 및 Aroclor 1254의 영향)

  • BAEK Hea-Ja;JUNG Jee-Hyun;JEON Joong-Ky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4 no.6
    • /
    • pp.584-587
    • /
    • 2001
  • The effects of tributyltin (TBT), triphenyltin (TPhT) and Aroclor 1254 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and ovula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in in vitro bioassay. TBT, TPhT and Aroclor 1254 showed the inhibition effects on GVBD and ovulation in response to HCG. The oocyte response appeared to be more sensitive to TBT than Aroclor 1254. TBT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on GVBD at concentrations of 0.1 and 1 ppm. However, no significant inhibition was obseued in concentrations tested ($0.0001\~1\;ppm$). Significant inhibition of ovulation in response to HCG occurred at TBT (0.01, 0.1, 1 ppm), TPhT (0.01, 0.1, 1 ppm) and Aroclor 1254 (0.01, 1 ppm, except 0,1 ppm), compared to HCG control, The lowest ovulation rate was measured at 1 ppm TBT, These data suggest that TBT (or TPhT) could possibly interfere the actions of progestogens to induce GVBD and ovulation in in vitro bioassay system.

  • PDF

Synchronization Rate, Size of the Ovulatory Follicle, and Pregnancy Rate after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Method in Hanwoo (한우에 Ov-synch 처리시 배란시기와 수태율 구명에 관한 연구)

  • 박정준;이명식;박수봉;임석기;전기준;정영훈;우제석;나기준;고대환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8 no.3
    • /
    • pp.187-193
    • /
    • 2003
  • Recently a protocol was developed that precisely synchronizes the time of ovulation in Hanwoo. Cows were treated with GnRH on Day 0, PGF$_2$$\alpha$ 7 d later, GnRH 2 d later, and then time-inseminated approximately 24 h after this second treatment with GnRH. Ovarian morphology was monitored cows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6.5MHz linear transrectal probe(Sonovet - 600., Medison co. Korea) from 24 hr to 31 hrs after second GnRH injection. The result obtained summarized as follows - 1. Induced ovulation were 24 to 31hr after the second GnRH injection, but high induced ovulation was 28hr. 2. Conception rate with HML(High meat lin) and HIL(High milk lin) treatment were 48.1%(38/79) and 43.9%(40/91), respectively. 3. Conception rate of 1∼2 parity and 3∼4 parity was 44.3% and 55%, respectively. 4. Conception rate of spring, autumn was more increased, 47.3% than summer.

Ov-Synch 처리시 bST, HCG, Progesterone 투여가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박정준;이명식;박수봉;임석기;전기준;정영훈;서국현;나기준;고대환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65-265
    • /
    • 2004
  • 한우번식우 사육농가와 사육규모가 확대와 소 값 상승으로 인하며 인공수정 및 수정란 이식에 대한 수태율 향상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한우 암소에 배란동기화 처리 후 인공수정 시 황체기능 강화제인 등을 투여하여 황체기능을 강화시키고, 투여시기에 따라 개체에 대한 신체충실지수(BCS)와 혈중요소태질소화합물(BUN)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투여시기에 따른 혈중 Progesteroner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황체기능강화제의 투여 방법은 HCG 투여구는 배란동기화 처리 후 6일째와 7일째에 각각 1500 IU와 3000 IU를 투여하였고, 투여 후 14일째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P4 분석하였다. (중략)

  • PDF

Effect of Indomethacin on Progesterone Profile in Rabbit (Indomethacin이 가토의 Progesterone 수준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hong;Kwun, Jong-ku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25 no.1
    • /
    • pp.27-32
    • /
    • 1985
  • 배란 및 착상시기에 indomethacin 투여가 혈액의 progesterone 수준과 착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rogesterone수준은 HCG 주사후 4시간이내에 9ng/ml로 증가 되었다가 배란시에는 3ng/ml로 감소하였다. indomethacin투여구에서는 배란시 8ng/ml를 나타내기 까지 계속증가하였다. Indomethacin투여는 착상을 억제하였다. 대조구의 착상율은 83%이나, indomethacin을 HCG 주사후 1일부터 4일까지 투여하면 착상율은 63%, HCG주사후 5일 부터 8일까지 투여하면 착상율은 27%로 감소하였다. Progesterone 수준은 HCG 주사후 12ng/ml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다가 HCG 주사후 3일까지는 3ng/ml이하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였으며 4일 부터는 10ng/ml의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Indomethacin을 HCG 주사후 5일부터 8일까지 투여하면 HCG 주사후 3일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하지만 4일 부터는 5ng/ml이하로 대조구 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 PDF

Induced Ovulation in the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by Sex-Maturation Hormones (성성숙 호르몬 처리에 의한 쏘가리의 배란 유도)

  • 장선일;이완옥;이종윤;손송정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1 no.4
    • /
    • pp.513-519
    • /
    • 1998
  • Ovulation of maturing femal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was induced using single injec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r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analogue (GnRH-a), GnRH-a plus prostaglandin F2 (PG$F_2$) or GnRH-a plus pimozide. The response was evaluated by fertilization, embryo-formation and hatching rate after insemination. Those rates were generally higher in GnRH-a group than in HCG group. The higher hatching rat of above 89% was achived using a dosage of 5,000 IU/kg HCG plus 10 ${\mu}$g/kg GnRH-a, 10${\mu}$g/kg GnRH-a plus 500 ng/kg PGF2, and 10 ug/kg GnRH-a plus 1-5 mg/kg pimozide. Ovulation was induced in all female injected with sex-maturation hormones and stimulator, but blocked in female injected with HCG plus GnRH-a plus dopamine combination, and GnRH-a plus PGF2 plus indometacin combin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ndarin fish in spawning period secrete a sex-mutruation assosiated hormones and gonadotropin-releasing -inhibiting factor(GRIF).

  • PDF

Effectof of Hormonal Treatment of Induced Maturation and Ovulation in the Spotted Halibut, Verapser variegatus (호르몬 처리에 의한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 의 성숙과 배란유도)

  • Baek, Hea-Ja;Kim, Yoon;An, Cheul-Min;Cho, Kee-Chae;Myeong, Jeong-In;Lee, Nam-Ju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3 no.1
    • /
    • pp.47-53
    • /
    • 2000
  • Hormone induction in maturation and ovulation was carried out with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which normally does not spawn spontaneously in captivity. Prior to spawning females were treated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265-678 IU/kg BM) 17 ${\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 (17 ${\alpha}$ 20${\beta}$ OHP 0.5-1.0${\mu}$g/kg BW) and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nalogue pellet (LHRHa pellet 63-81 ${\mu}$g/kg BW) In all the trials HCG injection succeeded in inducing ovulation at 265-300 IU/kg BW. HCG at 620 or 678 IU/kg BW was ineffective in inducing a good rate of ovulation. Final maturation and ovulation were not stimulated by treatment of 17 ${\alpha}$ 20${\beta}$OHP and LHRHa pell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CG injection (around 300 IU/kg BW) i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LHRHa pellet implantation.

  • PDF

Anti-Inhibin Serum 및 Follicular Fluid처리가 한우 난소의 난포발달과 혈중 호르몬변화에 관한 연구

  • 성환후;박성재;노환국;임기순;장유민;장원경;탁태영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34-3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anti-inhibin serum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Anti-inhibin serum(AI)은 항원으로서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접종 후 얻어진 항혈청을 사용하였다. 난포액(bFF; bovine follicular fluid)은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한우 난소로부터 직경 1.0cm 이하의 난포로부터 회수하여 스테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10% chacoal so lution(50 mg/$m\ell$, Norrit-A, Fisher Sci., USA)을 처리하여 45분간 배양후 원심분리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공시동물은 1산후 정상적으로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한우암소 9두를 난소감정후 황체를 확인하여 PGF2$\alpha$제제(lutylase. USA)를 주사하여 발정을 유기한 다음, 난소의 first wave가 시작되는 시기인 배란직후 12시간째부터 4일간 일일 2회 5 $m\ell$씩 총 8회 40 $m\ell$의 AI와 bFF를 각각 경정맥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으며 채혈 및 정맥주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정맥에 카테타를 설치하여 6시간간격으로 총 200시간까지 채혈하였으며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포의 발달을 검토하였다. 채혈후 혈중Inhibin, progesterone 및 Estrad iol-17$\beta$농도의 분석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중 Progesterone농도는 대조구와 AI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째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부터 170시간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혈중 Estradiol-17$\beta$농도는 대조구의 경우 bFF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배란후부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나, AI 처리구는 배란후 36시간이후부터 108시간까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되었다. 한편, 혈중 Inhibin농도는 전 구간에서 배란후 84시간까지 불규칙한 농도를 보이다가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84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files of Plasma Sex Steroid Hormone and Vitellogenin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황점볼락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의 변동)

  • Kim, Dae-Hyun;Jeong, Jee-Hyun;Yoon, Seong-Jong;Hwang, Hyung-Gue;Lee, Yoon-Ho;Kim, Dae-Jung
    • Journal of Aquaculture
    • /
    • v.22 no.1
    • /
    • pp.23-27
    • /
    • 2009
  • To understand the steroidogenic activities and plasma vitellogenin (VTG) profiles according to the reproductive phases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e examined changes in sex steroid hormones and plasma vitellogenin. Plasma levels of testosterone (T) w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only ovulation stage (P<0.05). In vitellogenesis, plasma estradiol-$17{\beta}$ ($E_2$) had a high level in August which was a similar higher level until ovulation than other ovarian development stages (P<0.05). However, $E_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mbryo stage (P<0.05). This indicates that variability in $E_2$ at different stage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oocytes. Plasma levels of $1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were significantly high at the stages of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P<0.001). It is assumed that DHP plays an important role in vitellogenesis. Also, We determined the plasma levels of vitellogenin (VTG)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 into four steps: immaturation,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and parturition. A significant lower levels of VTG were shown in immaturation and parturition (P<0.05), which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them. However, in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were shown in a remarkable higher levels of VTG(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Consequently, plasma VTG levels were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October and maintained a higher concentration until ovulation,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ovulation. It is suggested that VTG plays also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vitellogenesis and oogenesis.